하룻밤에 읽는 삼국지

고객평점
저자나관중
출판사항모든북, 발행일:2018/02/05
형태사항p.615 A5판:21
매장위치문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60401198 [소득공제]
판매가격 15,800원   14,22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711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원래 삼국지(三國志)는 진(晉)나라의 진수(陣壽)가 쓴 역사서이지 소설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삼국지라고 부르는 소설의 원명은 삼국연의(三國演義) 또는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인데, 이를 줄여서 삼국지라 통칭하고 있다. 삼국이란 말할 것도 없이 후한(後漢) 뒤에 일어난 위(魏)·촉(蜀)·오(吳)의 세 나라를 말하는 것이다. 이 세 나라가 서로 싸우다가 진(晉)나라로 통일되는 약 97년(184~280) 동안의 일을 기록한 삼국지를 바탕으로 명나라 사람 나관중(羅貫中)이 이를 소설화한 작품이 곧 삼국지연의이다.
삼국지연의는 모두 120회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제1회 “도원에서 잔치를 베풀고 호걸 셋이 결의하여”에서 시작하여, 120회 “손호가 항복하매 셋으로 나뉘었던 것이 하나로 통일되었다”로 끝나고 있다.
미루어 짐작컨대 원본의 원문은 지극히 간략한데 후세 사람들이 함부로 가필하고 또 번역자들이 제멋대로 갖다 붙이고 늘여서 오늘날 흔히 보는 일부 삼국지는 실로 엄청난 분량으로 늘어나고 말았다.
따라서 이 책은 그 늘어난 삼국지를 한 권으로 줄였다기보다는 군더더기와 사족(蛇足)을 가능한 한 빼고 원문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골라 실었다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원본 권두(券頭)에 적혀 있듯이 서유기(西遊記)와 수호전(水滸傳)이 흥미진진하고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과는 달리, 삼국지는 어디까지나 역사적인 사실에 입각하여 서술해야 하는 것이므로, 문장도 비록 소설체라고는 하지만 유려 장중한 고문(古文)의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당시의 원저자 역시 시류에 영합하지 않으려는 꿋꿋함과 함께 고뇌의 일단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도 우리가 쉽게 수용할 수 있는 현대적 감각과 관행적인 표현과는 다소 동떨어진 바가 없지 않다. 원문의 분위기를 살리려고 노력하다 보니, 일부 지나치게 고풍스런 표현과 생소한 낱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어휘와 표현 방법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도 이미 나와 있는 삼국지와는 달리 고풍스런 맛과 멋을 지닌 삼국지도 한 권쯤은 있어야겠다고 평역자로서 고집스럽게 주장한 결과인 것도 사실이다. 원본 권두에 ‘삼국지 읽는 법(三國志讀法)’이 적혀 있는데, 그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삼국지를 읽는 사람은 마땅히 정통(正統)과 윤운(閏運)과 잠국(潛國)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정통은 누구이냐, 촉한이다. 잠국은 누구이냐, 오(吳)와 위(魏)이다. 윤운은 누구이냐, 진(晉)이 곧 이것이다.
위(魏)가 정통이 될 수 없다 함은 무슨 까닭인가? 땅으로 논하면 중원으로 주장을 삼아야 하겠지만, 정리(情理)로 따진다면 마땅히 유 씨(劉氏)로 주장을 삼을 수밖에 없다.
땅으로 논하는 것이 정리로 논하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에, 정통을 위(魏)에다 두는 것은 사마광 통감(通鑑)의 잘못이고, 정통을 촉(蜀)에 둔 것은 자양강목(紫陽綱目)이 바르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인민을 위주로 한다는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근래에 위(魏)를 정통으로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도 모순이거니와, 중국의 각처를 돌아보면 각 지방마다 그 지역 출신의 인물을 정통으로 삼고 있는 것도 우스운데, 이는 애교가 있는 향토애(鄕土愛)쯤으로 이해하고 넘겨야 할까 보다. 역사서 삼국지가 위(魏)를 정통으로 삼은 까닭은 저자인 진수가 위나라로부터 선양을 받은 진나라의 신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작자 나관중(羅貫中)의 이름은 본(本), 관중(貫中)은 그의 자(字)이며, 전당(錢塘)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데, 월(越)나라 사람이라는 설도 있다. 원나라 말과 명나라 초에 걸쳐 생존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정확한 생애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가 쓴 소설이 많아 명나라 때에는 수십 종이 되었다고 하는데, 지금 남아 있는 것으로는 삼국지연의 외에도 수당지전(隋唐之傳)·잔당오대사연의(殘唐五代史演義)·평요전(平妖傳)·수호전(水滸傳) 등이 남아서 빛을 발하고 있다.
나관중 본(本)의 삼국지연의로서 볼 수 있는 것은 명나라 홍치갑인간본(弘治甲寅刊本)이 최고(最古)이며 가장 유명한데, 청나라 사람 모종강(毛宗崗)이 가필하여 이를 스스로 성탄외서(聖嘆外書)라 일컬었다. 이 책의 저본(底本)도 모두 12회 본(本)으로 된 성탄외서임을 밝힌다.

2018년 01월
평역자 이 언 호

작가 소개

평역 : 이언호

부산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나 중국 문학에 심취하여 중국 소설을 연구하였다. 평역 및 저서로는 『공자를 알아야 나라가 산다』 『수호지』 『삼국지』 『제자백가』 『열국지』 『금병매』 『초한지』 『도쿠가와 이에야스 야망』 『미야모도 무사시』 『손자병법』 『권모술수』 『정관정요』 『허허실실』 『연개소문』 등 다수의 작품이 있다.  

 

목 차

제1편 도원결의(桃園結義)
1. 황건적의 난 9
2. 도원결의(桃園結義) 10
3. 황건적 토멸 14
4. 가시덤불 속의 봉황 19
5. 대장군의 무모(無謀) 22
6. 늑대의 득세 27
7. 간웅(姦雄) 조조(曹操) 29
8. 제후들의 회맹(會盟) 34
9. 동탁의 전횡 39
10. 옥새(玉璽)의 행방 41
11. 원소와 공손찬의 싸움 43
12. 손견의 죽음 47
13. 미녀 초선(貂蟬) 49
14. 미인계(美人計) 51
15. 잔당들의 발호 56
16. 인과응보(因果應報) 57
17. 서주 태수 유비 64

제2편 왕패지업(王覇之業)
1. 대권을 잡은 조조 68
2. 구호탄랑계(驅虎呑狼計) 72
3. 신의 없는 여포 74
4. 소패왕(小覇王) 손책 77
5. 말 도둑과 땅 도둑 81
6. 주인이 바뀌는 수춘성 84
7. 곤궁에 처한 유비 89
8. 여포(呂布)의 말로 91
9. 영웅론(英雄論) 97
10. 새장을 벗어난 새 105
11. 밀수(蜜水)와 혈수(血水) 107
12. 무능한 원소 109
13. 유예된 싸움 111

제3편 전변무상(轉變無常)
1. 형제 이산(兄弟離散) 112
2. 토산(土山) 삼약(三約) 115
3. 새로운 은혜와 옛 의리 117
4. 관우의 맹활약 119
5. 오관 참장(五關斬將) 129
6. 형제들의 재회 137
7. 다시 모인 군신(君臣) 140
8. 손권(孫權)의 등장 144
9. 관도대전(官渡大戰) 150
10. 유비의 의거(義擧) 155
11. 원소의 죽음 160

제4편 삼고초려(三顧草廬)
1. 준마(駿馬) 적로(的盧) 166
2. 수경(水鏡) 선생 171
3. 팔문금쇄진(八門金鎖陣) 174
4. 어진 어머니와 효자 179
5. 일고초려(一顧草廬) 184
6. 이고초려(二顧草廬) 185
7. 삼고초려(三顧草廬) 188
8. 강동의 영준(英俊) 193
9. 제일공(第一功) 197
10. 전운(戰雲) 감도는 강동 203
11. 화공(火攻)과 수공(水攻) 206
12. 유비의 애민(愛民) 209
13. 상산(常山) 조자룡 214
14. 연인(燕人) 장익덕 222
15. 허허실실(虛虛實實) 224

제5편 적벽대전(赤壁大戰)
1. 강동의 군신(群臣) 231
2. 대도독(大都督) 주유 235
3. 역이용당한 첩자 242
4. 화살 10만 개 247
5. 고육계(苦肉計) 252
6. 연환계(連環計) 257
7. 칠성단(七星壇) 260
8. 주유와 공명의 용병 266
9. 적벽대전(赤壁大戰) 270
10. 공명의 신기묘산(神機妙算) 283

제6편 잠룡(潛龍)의 비상
1. 기반을 얻은 유비 285
2. 노장(老將) 황충(黃忠) 288
3. 위연(魏延)의 반골(反骨) 292
4. 손권의 만용 293
5. 반간계(反間計) 310
6. 주유의 죽음 312
7. 봉추(鳳雛) 선생 318
8. 대사를 망친 소인배 324
9. 마초의 복수 328
10. 속임수에 넘어가다 336

제7편 비입서천(飛入西川)
1. 하늘이 주는 기회 342
2. 유비의 출정(出征) 352
3. 아두(阿斗)를 구한 조자룡 354
4. 순욱을 죽이는 조조 358
5. 방통의 세 가지 계책 364
6. 낙봉파(落鳳坡)의 비극 368
7. 공명의 원군(援軍) 372
8. 사륜거(四輪車) 377
9. 무인(武人)에게 주는 선물 381
10. 장비와 마초의 대결 383

제8편 한중왕(漢中王)
1. 익주(益州)를 거둔 유비 388
2. 황후의 비밀 편지 390
3. 맹장 방덕(龐德) 394
4. 왕위에 오른 조조 398
5. 장비의 책략 401
6. 노장(老將)의 활약 407
7. 한중 공략(漢中攻略) 410
8. 용장 하후연의 최후 413
9. 조자룡의 맹활약 415
10. 의심 많은 조조 419
11. 야간 암호‘계륵(鷄肋)’ 423
12. 왕위에 오르는 유비 426
13. 위명을 떨치는 관우 435
14. 오나라 군대의 기습 444
15. 육손(陸遜)의 지략 447
16. 위·오 협공의 제물 449

제9편 대성귀천(大星歸天)
1. 관우의 최후 457
2. 지모(智謀)의 싸움 462
3. 단장(斷?)의 통곡 465
4. 조조의 죽음 469
5. 비정한 권력의 생리 477
6. 한(漢)나라의 종언 482
7. 설한(雪恨)의 일념 489
8. 선주(先主)의 출사 491
9. 위·오의 책략전 497
10. 노장(老將) 황충의 분전 501
11. 영전에 바친 원수의 목 506
12. 육손(陸遜)의 용병 509
13. 불바다 속의 촉군 513
14. 팔진도(八陣圖) 518
15. 오·위의 결전 520
16. 백제성의 위촉 523
17. 등지의 말재주 527
18. 장수 서성 534

제10편 천하통일(天下統一)
1. 남만 정토(南蠻征討) 541
2. 제갈공명의 출사표(出師表) 563
3. 참새를 풀어 주고 봉황을 얻다 571
4. 가정(街亭) 전투 580
5. 제2차 위나라 정벌 591
6. 손권(孫權)의 칭제(稱帝) 594
7. 무심한 창천(蒼天) 596
8. 사마의(司馬懿)의 득세 609
9. 손권(孫權)의 병사(病死) 611
10. 촉한(蜀漢)의 멸망 612
11. 위나라의 최후 613
12. 대진(大晋)의 천하 통일 614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