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전집 2 산문

고객평점
저자권영민
출판사항민음사, 발행일:2016/11/04
형태사항p.473 국판:23
매장위치문학부(1층)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37433559 [소득공제]
판매가격 27,000원   24,3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1,215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 출판사서평

정지용의 생애

1902년 음력 5월 15일 충북 옥천의 농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순수의 시인으로 알려진 그는 휘문고보 재학 시절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三人)」을 발표했으며 ‘문우회’ 학예부장, 《휘문》 창간호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문재(文才)를 발휘했다. 일본 도시샤 대학교 입학 당시에는 대표작의 하나인 「향수」를 썼고, ‘시문학’ 동인 시대와 더불어 가장 왕성한 시작(詩作) 활동을 했다. 시문학 동인 시대 이후 《가톨릭청년》의 편집을 도우면서, ‘구인회’를 결성하여 반카프적 입장에서 순수 문학을 옹호하는 활동을 했다. 이후 《경향잡지》, 《문장》, 《경향신문》 등의 편집위원으로서 청록파 시인들을 비롯해 이상, 윤동주 등 수많은 시인을 발굴해 냈다. 광복 후에는 이화여대와 서울대에 출강하며 시론, 평문, 번역시를 발표했다. 한국전쟁 당시 녹번리 초당에서 설정식 등과 함께 정치보위부에 나가 자수 형식을 밟다가 잡혀 납북된 것이 자진 월북으로 오인되어, 그의 작품은 오랫동안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출간조차 되지 못했다. 1982년 유족과 원로 문인, 학계가 중심이 되어 진정서를 관계에 제출했으나 당시는 해금되지 못하다가 1988년 월북 문인 해금 조치와 함께 모든 작품이 공개되었다.

민족어 위기의 시대에 민족어를 찾아내어 갈고 닦은 한국 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은 한국 현대시의 발전 과정에서 시적 언어에 대한 자각을 각별하게 드러낸 시인으로 평가된다. 그의 시는 시적 대상에 대한 다양한 감각적 인식을 선명한 심상과 절제된 언어로 포착해 냈다. 이 같은 시적 방법은 언어에 대한 그의 남다른 관심과 자각에 의해 가능했다. 어떤 연구자들은 정지용의 초기 시와 후기 시를 각각 감각적인 시와 동양적인 시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세계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가 초기의 시에서부터 시를 통해 발견하고자 한 것이 자연 그 자체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물론 정지용이 시적 대상으로서 자연을 노래하는 방법은 그 이전의 서정시와 본질적인 차이를 드러낸다. 그는 자연을 통해 자신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주관적 감정을 절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자신의 인식 그 자체를 감각적 언어를 통해 새롭게 형상화하고 있다. 이 새로운 시법은 모더니즘이라는 커다란 문학적 조류 안에서 설명되기도 하고 이미지즘이라는 이름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원래 이미지즘은 단순한 시적 기술(技術)만을 의미하지 않고, 일종의 정신적인 훈련을 요구한다. 정지용은 감각과 언어를 금욕주의의 엄격함을 가지고 단련했으며 그런 시각적 단련은 무욕(無慾)의 철학이 된다. 이러한 정신적 자세는 모두 그의 객관적·과학적이고 정확한 글쓰기에 기여했다. 분명 정지용에 이르러 현대 한국인의 혼란된 경험은 하나의 질서를 부여받은 것이다.

정지용은 스스로 시인임을 자각하고 시작 행위를 예술 행위로 열렬히 의식한 최초의 시인이다. 20세기 최초의 직업 시인이라고 부르는 게 온당할 것이다. 정지용이 구사한 언어는 발명이라는 이름에 값할 만큼 창의적이고 개성적이다. 민족어 위기의 시대에 그처럼 민족어를 찾아내어 갈고 닦은 사람은 그 이전에 없었다. 정지용은 ‘부족 방언의 순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시범한 최초의 시인이다. -유종호/문학평론가

한국문학사에서 단 한 명의 시인을 꼽는다면 정지용이다. 정지용은 민족 지도자가 되려는 욕심이 없었고, 현실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았다. 인간 심성과 현실을 본 대로 충실하게 그리려 했지, 남이 본 것을 비판하지 않았다. 자기 내면에 충실했기 때문에 그 뒤에 큰 이야기가 숨어 있었다. 이런 역설이 예술이다.-김우창/문학평론가


전집의 구성

이 전집은 정지용의 모든 작품을 총망라하여 정지용 작품의 ‘정본’을 확립하고 전문 연구자들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꾸몄다. 이를 위해 편자는 원문을 정밀히 대조하고 세밀한 주석을 붙여, 정지용의 시와 산문을 『정지용 전집 1 시』, 『정지용 전집 2 산문』, 『정지용 전집 3 미수록 작품』 등 전체 3권으로 구성했다.

『정지용 전집 1 시』는 정지용이 생전에 발간했던 시집의 작품들로 구성했다. 정지용은 생전에 세 권의 시집을 펴냈다. 첫 시집 『정지용 시집』(1935)에는 1920년대 후반부터 시집이 발간될 때까지 등단 초기 10년에 가까운 시작 활동을 총망라한 작품 89편이 수록되어 있다. 둘째 시집『백록담』(1941)에는 첫 시집을 간행한 후에 발표했던 33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셋째 시집 『지용 시선』(1946)에 수록한 작품은 모두 25편인데, 『정지용 시집』과 『백록담』에서 자신이 직접 가려 뽑은 것들이다. 이 세 권의 시집은 정지용이 발표했던 대부분의 작품들을 싣고 있는 데다 시인 자신이 직접 선별 편집한 것이기 때문에 ‘정본’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새 전집에서는 이 세 권의 작품들을 기본 텍스트로 삼고 신문 잡지에 발표했던 원문을 찾아 함께 수록했으며, 일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모든 작품을 현대어 표기로 바꾸어 별도로 실었다.

『정지용 전집 2 산문』은 정지용이 펴낸 산문집의 작품들로 구성했다. 정지용은 광복 직후 두 권의 산문집을 펴냈다. 첫 산문집 『문학 독본』(1948)에는 37편의 시문과 수필 및 기행문이 수록되어 있다. 둘째 산문집『산문』(1949)에는 총 55편이 실려 있으며 시문, 수필, 역시(휘트먼 시) 등으로 엮였다. 새 전집에서는 앞의 두 산문집에 수록된 작품들을 일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모두 현대어 표기로 바꾸었다. 편자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했고 주석을 덧붙였으며, 원문의 발표 지면을 확인하여 표기했다.

『정지용 전집 3 미수록 작품』은 세 권의 시집과 두 권의 산문집에 수록되지 못한 작품들로 구성했으며, 시와 산문으로 크게 구분해 놓았다. 정지용이 자신의 시집에 수록하지 않은 시는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광복 직후의 몇몇 작품들은 주목할 만하다. 미수록 시 작품의 대부분은 일본 유학 시절에 발표했던 일본어 시이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한국어로 개작되어 국내 잡지와 신문에 다시 발표되었다. 이 전집에서는 정지용의 이중 언어적 시 창작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본어 시의 원문을 모두 수록했고, 이와 관련되는 한국어 작품도 함께 실었으며, 편자의 초역도 붙였다. 정지용의 산문 가운데에는 광복 직후 펴낸 두 권의 산문집에 수록되지 못한 작품들이 많다. 특히 《경향신문》에 근무하면서 발표했던 신문 칼럼은 제대로 찾아내지 못한 것들이 남아 있을 것이다. 미수록 작품 가운데 시는 1권의 편집 원칙대로 따랐고, 산문은 2권의 원칙을 따랐다. 다만 번역시, 번역 산문 등은 모두 발표 당시의 원문을 그대로 옮겼다.

▣ 작가 소개

저 : 정지용
섬세하고 독특한 언어를 구사, 생생하고 선명한 대상 묘사에 특유의 빛을 발하는 시인 정지용. 한국현대시의 신경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이상을 비롯하여 조지훈, 박목월 등과 같은 청록파 시인들을 등장시키기도한 시인이었다.

1902년 음력 5월 15일 충북 옥천읍에서 좀 떨어진 구읍의 청석교 바로 옆 촌가에서 한약상을 경영하던 영일 정씨 태국(泰國)을 아버지로 하동정씨 미하(美河)를 어머니로 탄생한 그는 그 당시 풍습에 따라 12살 때(1913) 동갑의 부인 송재숙과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처가에서 결혼하였다. 이 부인 사이에 3남 1녀가 태어났으며, 그 가운데 차남과 3남은 6.25사변중에 행방불명 되었고, 현재 장남 구관과 장녀 구원만 생존해 있다.

그는 휘문고보 재학 시절 <서광> 창간호에 소설 「삼인」을 발표하였으며, 일본 유학시절에느 대표작의 하나인 「향수」를 썼다. 1930년에 시문학 동인으로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전개하였고, 구인회를 결성하기도 하였으며 문장지의 추천위원으로 활동했다. 해방이 되서는 경향신문의 주간으로 일하고, 이화여대와 서울대에 출강하여 시론, 수필, 평문을 발표하였다.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이후 행적은 알지 못하나 북한이 최근 발간한 조선대백과사전에 1950년 9월 25일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정지용 시집』『백록담』『지용문학독본』등이 있다. 그의 고향 충북 옥천에서는 매년 5월에 지용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1989년부터는 시와 시학사에서 정지용문학상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편 : 권영민
1948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하버드대 객원교수, 버클리에서 한국문학 초빙 교수를 역임했다. 1990년 현대문학평론상, 1992년 김환태평론상, 2006년 만해대상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이외에도 서울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 교수이며, 단국대학교 석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 현대문학사』, 『우리문장강의』,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한국 계급문학 운동사』, 『한국 근대문학과 시대 정신』, 『월북 문인 연구』, 『한국문학 50년』, 『윤동주 연구』, 『작은 기쁨』 『문학의 이해』등이 있다.

▣ 주요 목차

머리말: 『정지용 전집』을 다시 펴내며

1부 『지용 문학독본(文學讀本)』
몇 마디 말씀/사시안(斜視眼)의 불행(不幸)/공동 제작(共同製作)/신앙(信仰)과 결혼(結婚)/C 양(娘)과 나의 소개장(紹介狀)/녹음 애송시(綠陰愛誦詩)/구름/별똥이 떨어진 곳/가장 시원한 이야기/더 좋은 데 가서/날은 풀리며 벗은 앓으며/남병사(南病舍) 7호실(七號室)의 봄/서왕록(逝往錄) 상(上)/서왕록 하(下)/우산(雨傘)/합숙(合宿) /다방(茶房) ‘ROBIN’ 안에 연지 찍은 색씨들/압천상류(鴨川上流) 상(上)/압천상류 하(下)/춘정월(春正月)의 미문체(美文體)/인정각(人定閣)/화문점철(畵文點綴) 1/화문점철 2/안악(安岳)/수수어(愁誰語) 1/수수어 2/수수어 3/수수어 4/옛글 새로운 정 상(上)/옛글 새로운 정 하(下)/내금강 소묘(內金剛素描) 1/내금강 소묘 2/꾀꼬리—남유 제1신(南遊第一信)/동백나무—남유 제2신/때까치—남유 제3신/체화(棣花)—남유 제4신/오죽(烏竹)・맹종죽(孟宗竹)—남유 제5신/석류(石榴)・감시(甘枾)・유자(柚子)—남유 제6신/이가락(離家樂)—다도해기(多島海記) 1/해협병(海峽病) 1—다도해기 2/해협병 2—다도해기 3/실적도(失籍島)—다도해기 4/일편낙토(一片樂士)—다도해기 5/귀거래(歸去來)—다도해기 6/선천(宣川) 1—화문행각(畵文行脚) 1/선천 2—화문행각 2/선천 3—화문행각 3/의주(義州) 1—화문행각 4/의주 2—화문행각 5/의주 3—화문행각 6/평양 1(平壤)—화문행각 7/평양 2—화문행각 8/평양 3—화문행각 9/평양 4—화문행각 10/오룡배(五龍背) 1—화문행각 11/오룡배 2—화문행각 12/오룡배 3—화문행각 13/생명(生命)의 분수(噴水)—무용인(舞踊人)/조택원론(趙澤元論) 상(上)/참신(斬新)한 동양인(東洋人)—무용인 조택원론 하(下)/시(詩)의 위의(威儀)/시(詩)와 발표(發表)/시(詩)의 옹호(擁護)

2부 『산문(散文)』
1 머리에 몇 마디만/헨리 월레스와 계란(鷄卵)과 토마토와/민족 광복과 공식주의(公式主義)/산문(散文)/민주주의(民主主義)와 민주주의 싸움/남의 일 같지 않은 이야기/도야지가 사자(獅子) 되기까지/동경대진재(東京大震災) 여화(餘話)/평화일보(平和日報) 기자(記者)와 일문일답(一問一答)
2 조선시(朝鮮詩)의 반성(反省)/시(詩)와 언어(言語)/달과 자유(自由)/비/봄/새 옷/대단치 않은 이야기/「창세기(創世記)」와 「주남(周南)」, 「소남(召南)」/한 사람분과 열 사람분/장난감 없이 자란 어른
3 기상 예보와 미소공위(美蘇共委)/플라나간 신부(神父)를 맞이하여/남북 ‘회담’에 그치랴?/쌀/민족 반역자(民族反逆者) 숙청(肅淸)에 대하여/스승과 동무/응원단풍(應援團風)의 애교심(愛校心)/학생과 함께/여적(餘滴)/오무(五畝) 백무(百畝)
4 알파・오메가/‘여인소극장(女人小劇場)’에 대하여/무대(舞臺) 위의 첫 시험(試驗)—여인소극장 첫 공연 「고향」을 보고/무희(舞姬) 장추화(張秋華)에 관한 것/정훈모(鄭勳謨) 여사(女史)에의 재기대(再期待)—제7회 독창회를 앞두고/조택원(趙澤元) 무용에 관한 것—그의 도미 공연(渡美公演)을 계기로/관극소기(觀劇小記)—‘고협(高鋏)’ 제1회 공연/「정어리」에 대한 것/「어머니」 소인상(小印象) 부기(附記)/시집(詩集) 『종(鐘)』에 대한 것/『포도(葡萄)』에 대(對)하여/서(序) 대신—시인(詩人) 수형(琇馨)께 편지로/윤동주(尹東柱) 시집(詩集) 서(序)/윤석중(尹石重) 동요집(童謠集) 『초생달』/『가람시조집(嘉藍時調集)』에/『가람시조집』 발(跋)
5 역시* 평등(平等) 무종(無終)의 행진(行進)/눈물/신엄(神嚴)한 주검의 속살거림/나는 앉아서 바라본다
제자(弟子)에게/자유(自由)와 축복(祝福)/대로(大路)의 노래/군대(軍隊)의 환영(幻影)/관심(關心)과 차이(差異)
청춘(靑春)과 노년(老年)/목적(目的)과 투쟁(鬪爭)

3부 시집 수록 산문
1 『정지용 시집(鄭芝溶詩集)』: 밤/램프
2 『백록담(白鹿潭)』: 이목구비(耳目口鼻)/예양(禮讓)/아스팔트/노인(老人)과 꽃/꾀꼬리와 국화(菊花)/비둘기/육체(肉體)

부록
해설: 『문학독본』과 『산문』의 글—시정신과 산문적 글쓰기/정지용 산문 연보/정지용 연보

작가 소개

목 차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