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주요 목차
축 사 | 다시 쌓은 시문학사 금자탑 _ 문효치(시인·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발간사 | 다시 문화적 사건 _ 정성수(한국문인협회 시분과 회장)
강계희 | 겨울 전봇대
강명수 | 법성포 부르스
강별모 | 오후 5시와 6시 사이의 북천은
강봉중 | 흘러간 사람
강성오 | 가을 여행
강소이 | 소난지도의 영웅들
강신기 | 배꽃이 눈처럼 내리는 고향
강영석 | 꽃잎이별
강영순 | 노인정의 경관
강옥희 | 흑조
강외숙 | 도마
강우식 | 페테르부르크의 백야
강진구 | 녹슨 철조망
강희근 | 그 섬을 주고 싶다
강희동 | 시인
경달현 | 이곳에 살리라
고광수 | 청춘의 약속
고광자 | 마라도
고성일 | 연가
고수진 | 고인돌
고옥귀 | 고립된 자(者)와의 산책
고용석 | 꿈 찾기
고창수 | 가족
공계열 | 냉장고에서 바다를 꺼내다
공현혜 | 뿌리
곽종철 | 내 삶을 물으면
곽춘진 | 스쳐가는 삶이었던가
권숙월 | 글자
권오정 | 유년의 고향
권우용 | 짜장면
권이영 | 새
권장섭 | 어떤 윤회
권희자 | 인동초
김건배 | 별은 시(詩)가 되어
김건일 | 뜸북새는 울지도 않았다
김경명 | 연탄재
김경숙(안양) | 춘(春)
김경순 | 타임캡슐
김관형 | 서시
김교희 | 해국(海菊)
김귀자 | 백지가 되려하오
김규은 | 화응(和應), 절정의 하모니
김기원 | 비무장지대·1
김기원(진주) | 부부차
김기진 | 한강
김기화 | 깨라
김남구 | 부활의 아침
김남웅 | 합창
김년균 | 산새
김능자 | 능수벚꽃
김달현 | 춤추는 오륙도
김대식 | 고향 마을
김대응 | 너에게로 가는 마음의 기차
김동원 | 부부
김동주 | 지구 위에서
김말분 | 인도 여행 12박 13일
김명동 | 그 단칸방 시절
김명숙 | 반사된 햇살은 그늘 안으로 들어오지 않았다
김문한 | 꽃과 나그네
김미옥 | 연어의 길
김미윤 | 장지에서
김밝은 | 뒤돌아 앉은 시간을 가진
김백경 | 바다로 가자, 내일은
김보림 | 사금파리의 꿈
김보선 | 저수지의 달
김복래 | 흐르는 물처럼
김봉겸 | 민들레 홀씨
김봉균 | 고백
김봉철 | 눈꽃처럼
김사빈 | 아버지
김사윤 | 해바라기
김 산 | 비빔밥
김석기 | 북악산
김석호 | 바람소리
김선아 | 문신을 읽다
김선옥 | 떠나가는 가을
김선우 | 지리봉 가는 길
김성기 | 바람의 시
김성대 | 내 고향 언덕
김성영 | 꿈꾸는 겨울나무
김세창 | 외갓집 가던 길
김송배 | 정중동-중(靜中動-中)
김송포 | 곡절
김수원 | 기저귀
김수화(김천) | 에움길
김숙경 | 귀가
김 순 | 토담집
김시종 | 우는 농
김안로 | 차천(車川)에서
김애순 | 겨울 그 뒤
김애희 |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여정 | 아바타
김영호 | 달빛 비상금
김옥녀 | 꽃이 필 때까지
김완성 | 절구질하는 여인
김용길 | 물방울의 노래
김용언 | 북악스카이라운지
김용주 | 재동 백송
김운기 | 한낮, 개심사에서
김운향 | 항아리
김원배 | 아침 햇살
김원욱 | 마라도
김원중 | 나의 이력서
김유명 | 울 엄니
김유진 | 연어
김은수 | 염화미소·1
김이대 | 쑥부쟁이꽃
김인숙로사 | 연어캔
김장출 | 팽이
김장환 | 각혈
김재준 | 석류
김정원 | 벽시계
김 종 | 주머니에게
김종각 | 원(圓)
김종두 | 지리산
김종섭 | 내 뼈가 걸려 있다
김좌영 | 그땐 몰랐네
김준기 | 참회록
김증일 | 모두 모두 흘러가면 그만인데
김지용 | 고샅길
김진동 | 미래
김진태(광주) | 흑룡이 나르샤
김진태 | 가위 바위 보
김창근 | 단추를 달면서
김창완 | 통일로 코스모스
김철교 | 아침에 읽는 시
김탁제 | 꽃 속에 내가 피네
김태경 | 깨지를 마오, 이 잠에서
김태룡 | 산책길
김태옥 | 해남 물고구마
김학균 | 아침 정경
김학산 | 바둑 한 수
김한선 | 탄생설화
김현숙 | 풀꽃으로 우리 흔들릴지라도
김현숙(안호) | 강남의 하루하루
김현순(청주) | 푸른 창가에서
김현신 | 전송
김현찬 | 백두산 천지에서
김현희(은하) | 달팽이 예찬
김형덕 | 우포사계(牛浦四季)
김형식 | 죽은 나무의 언어
김형오 | 꽃을 다시 보면
김화수 | 당신과 함께 살아가는 법
김환식 | 버팀목
김후란 | 우리 글 한글
김훈동 | 김유정역(驛)
김휘열 | 고백
남구봉 | 너가 간 가을에
남상진 | 카푸치노
남재현 | 조국
남태현 | 내 거인 줄 알았는데
노민환 | 매화의 계절
노유섭 | 에덴아 너는 가고
노정애 | 지구를 향한 빛
라기주 | 붕어빵 서설
류금선 | 목련꽃 사연
류기환 | 목련화야!
류선모 | 연인들
류수인 | 굳이 말한다면
류인순 | 서향나무
류제욱 | 우중일상(雨中日常)
리영숙 | 사별
리 형 | 소래포구
맹기영 | 사람 냄새가
문경훈 | 목수라는 이름으로
문덕수 | 악양루
문상원 | 질화로
문연자 | 눈물꽃
문인선 | 기다림
문재학 | 연꽃
문종환 | 손녀딸과 가야금
문차숙 | 나는 굽 없는 신발이다
문효치 | 비천(飛天)
민문자 | 태극기
민병재 | 의롭게 가신 임 앞에
민용태 | 우화
박근수 | 재회의 약속
박기임 | 가을 편지
박대순 | 신탄진 도서관 언덕길에서
박막례 | 지리산 예찬
박명규 | 그 섬
박명수 | 청개구리는 운다
박명자 | 템플 스테이
박미림 | 감나무 아래서
박미현 | 여행·4
박민석 | 도시의 오후
박범석 | 산목련
박병래 | 수몰지의 달빛
박복금 | KTX 타고 대관령 넘어가자
박상경 | 여름 소식
박상렬 | 동백에게 말하다
박상일 | 달맞이꽃 연가
박상철 | 우주의 꽃
박상태 | 용사의 소리
박성기 | 자작나무를 심어 놓고
박성철 | 가을 시첩(詩帖)
박수중 | 볼레로
박순남 | 절정기
박언휘 | 처방전
박얼서 | 삶이 곧 애증인 것을
박영대 | 서툰 봄
박영덕 | 부부
박영률 | 울고 있는 빛
박영수 | 이런 남자
박영춘 | 와, 단풍 봐라
박영희 | 새아침
박유진 | 여름, 저녁노을
박은혜 | 움직임의 이미지
박이도 | 소시장에서
박일동 | 시, 왜 쓰는가
박일소 | 장미
박재화 | 사람이 위안이다
박정이 | 영산강
박정필 | 자화상
박종명 | 비빔밥
박종해 | 탱자
박주병 | 진눈깨비
박준상 | 물망초
박준영 | 홍시
박진구 | 아버지의 섬
박찬선 | 바늘 길을 베고
박찬욱 | 거미
박찬현 | 오월
박창목 | 달빛 속삭임
박채호 | 옹이
박철수 | 그림자
박현자 | 삶의 얼굴
박현조 | 부두(埠頭)의 꿈
박혜선 | 이별 그 뒤에
박희익 | 크게 울었단다
방극률 | 홍매화를 봅니다
배갑철 | 해를 안자
배귀선 | 안부
배막희 | 벚꽃
배 영 | 만장(輓章)
배윤희 | 그곳에 가면
배정규 | 안부
변우택 | 독도
변재열 | 콩코지
변종환 | 풀잎의 고요
빈명숙 | 백로
빈봉완 | 삶의 연속성
사홍만 | 정남진에 가면
서귀순 | 뿌리에게 말을 걸다
서봉석 | 신발을 닦다가
서부련 | 해돋이
서선아 | 아버지의 발
서선호 | 동무
서영림 | 한티의 낙엽
서영석 | 특별함에 대하여
서정남 | 가을
서정문 | 푸른 신호등
서주영 | 편백나무 숲을 지날 즈음
석용호 | 아~ 빈집이었지
석정희 | 아버지 집은 따뜻했네
석희구 | 나의 세레나데여!
선진규 | 울음
설경분 | 하얀 겨울
성갑숙 | 무학(舞鶴)은 날개를 접지 않는다
성동제 | 부엉이
성백원 | 기다림
성성모 | 꼽추의 아픔
성지월 | 계란의 함성
성춘복 | 폭풍의 노래
소재호 | 인생
손민수 | 아버지의 기도
손수여 | 웃기돌 같은 그 여자
손은교 | 사랑, 그대 안으로
손정숙 | 유월의 고향
손해일 | 새벽바다 안개꽃
송낙현 | 바람에 앉아
송동균 | 산골 풍경
송명섭 | 늦은 강가에서
송문호 | 세계는 지금
송봉현 | 낙원 세우기
송윤채 | 나목(裸木)
송진현 | 구멍 난 양말
송현숙 | 아픔 없이 어찌 사랑을 알랴
송 희(우화) | 야생화
수예분자 | 토마토 소묘
신광호 | 하늘색 읽다
신달자 | 유심사 터
신동명 | 그 여자
신두업 | 이름 값
신세균 | 사과나무
신세훈 | 잠실 밤개구리
신소대 | 끝이 없는 길
신정일 | 노-란 봄 편지
신종현 | 어머니와 바람소리
신지영 | 여자의 바다
신표균 | 손
신필주 | 시인과 꽃
심미지 | 물소리
심서섭 | 새벽산길
심억수 | 아버지
심재교 | 강물은 바다로 쓸려가고
심정욱 | 천상의 언어
심정자 | 경계(境界)
안기찬 | 독도, 그대는…
안용석 | 동대구역에서
안익수 | W-에게 부치는 시
안재동 | 내 안의 우주
안종관 | 징검다리
안주수 | 꿈에 본 고향
안준탁 | 시계
안효진 | 사랑하는 그대여
양경모 | 겨울나무
양길순 | 시를 점등하다
양동식 | 휴전선
양명학 | 청자상감
양왕용 | 깜부기
양윤덕 | 여보
양주석 | 사회봉사
양채운 | 검은 강물 위로
양치중 | 외로운 들국화
엄순복 | 나무
여주현 | 길 잃은 새
여학구 | 순리
연규봉 | 성지순례
오미경 | 도시 위의 낙타
오병욱 | 아름다운 언덕
오선장 | 술보다 더 독한 세월
오세영 | 자화상
오소후 | 자화상
오인자 | 나무는 달다
오종순 | 봄은 돌아눕지 않는다
오 청 | 영원히 가슴에 피는 꽃
우덕호 | 황혼에 대한 묵시
우상현 | 친구
우성영 | 윤회(輪廻)의 흔적
위맹량 | 진달래
위무량 | 선상의 이별
유병기 | 오월새
유병만 | 산부인과병원엔 영안실이 없다
유승우 | 시심(詩心)
유안진 | 다보탑을 줍다
유영애 | 시래기
유영호 | 나무 되신 아버지
유옥경 | 욕심낸 사랑
유진숙 | 떠나가는 실바람에
유후남 | 산다는 것은
윤경숙 | 차라리 침묵하고
윤고방 | 달팽이의 꿈
윤고영 | 내가 너를 잊어도 우주는 변하지 않는다
윤만영 | 어머니
윤명학 | 인생역
윤문자 | 수박
윤영석 | 설중매
윤인환 | 막걸리
윤재학 | 피뢰침에 찔린 둥근 달
윤하섭 | 손금
윤한걸 | 오늘 하루
윤희자 | 탱자나무
은희태 | 강골떡
이가인 | 그리움 실은 파도
이 경 | 씨앗들의 전쟁
이금자 | 그리움
이돈배 | 금강(金剛) 가는 길
이만균 | 배신자
이만수 | 개똥망태
이명란 | 어머니·112
이명우 | 산골풍경 325
이문조 | 김장
이병두 | 은퇴
이복래 | 옐로카드
이상아 | 나무의 흔적
이상조 | 서울
이상현(겨레돌) | 기찻길 옆
이석현 | 용접
이성남 | 겨레의 서시(序詩)
이소희 | 꽃길
이수동 | 골짜기의 노래
이수옥 | 월광(月光)
이수정 | 포도주 너를 마시며
이수화 | 단군 한아버님 전상서
이순희 |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에 서서
이순희(서초) | 산 그림자
이승남 | 미숫가루
이승필 | 슬픔을 위한 네 줄의 시
이영순(불광) | 향기
이영순(양주) | 복수초
이영춘 | 길을 묻다
이옥녀 | 토양
이옥진 | 풀잎색 빗소리 듣는 검은머리물떼새
이옥천 | 푸른 열매
이용섭 | 그늘
이용수 | 부처님은 말씀하셨다네
이용호 | 불효자의 한탄
이운선 | 내 곁에 그대가 있어
이원용 | 충정의 깃
이유식 | 잡초의 생리
이유진 | 아나스타시스(부활)
이은별 | 섬초롱꽃 사랑
이은춘 | 흑립(黑笠)
이은희 | 여름, 외가의 추억
이일현 | 외유내강(外柔內剛)
이재옥 | 수련화
이재호 | 별님
이제민 | 강물
이종철 | 후회
이종호 | 오륙도 변천사
이주랑 | 봄날은 길지 않다
이지윤 | 늦여름 해바라기
이창원 | 여운
이채민 | 손톱
이청진 | 종소리
이학덕 | 소쩍새
이한식 | 잃어버린 휘파람을 찾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행자 | 나는 그렇게 계절을 세척한다
이향아 | 물푸레나무 혹은 너도밤나무
이현원 | 저녁
이후재 | 행복의 계단
이흥규 | 새벽
이희선 | 봄이었나요
임갑빈 | 아직도 못 다한 말
임광남 | 어머니
임미형 | 모시옷 한 벌
임백령 | 화력(花曆)
임병현 | 천륜의 사랑
임병호 | 겨울강가에서 봄을 만나다
임 보 | 길 없는 길
임보선 | 마음의 꽃
임봉주 | 황금연못
임애월 | 억새꽃에 대하여
임정남 | 오래된 손
임정희 | 바다와 새
임제훈 | 석송령(石松靈)
임현택 | 평화시장
장문영 | 야생화
장봉천 | 행복
장승기 | 조약돌
장영길 | 첫돌 맞이
장영준 | 초승달
장윤우 | 그 겨울 전차의 포신이 느린 그림자
장지홍 | 안테나
장태윤 | 별
장하지 | 강가에서
장형주 | 원두막의 추억
전병철 | 나이테
전석홍 | 내 이름과 수작을 걸다
전세원 | 빛나는 꽃다발
전영모 | 억새의 울음
전우용 | 그리움 감나무 심기
전재승 | 우리가 만나서
전정희 | 종로3가 꽃집에서
전현배 | 식칼
정경림 | 오월의 축제
정경완 | 천사의 눈물
정관웅 | 능소화
정광지 | 이 가을 매향리 앞바다 개펄에는…
정구조 | 11월, 고향으로
정귀봉 | 기다림
정다겸 | 봉사자의 기도
정도경 | 꽃
정득복 | 시간이 가네 시간이 오네
정민호 | 어느 시인의 묘비
정삼일 | 행복을 위하여
정선수 | 한양에서의 나흘
정성수 | 내 이름은 몽상가
정세나 | 점새
정수영 | 하늘과 땅
정순영 | 사랑
정순자 | 홍대 앞거리
정양숙 | 그리움
정연국 | 소래포구
정연덕 | 백제의 아낙·2
정영례 | 전화
정용진 | 나의 연인 융프라우(Jungfrau)
정 원 | 문풍지 우는 집
정원철 | 타향을 떠돌다
정인관 | 수련화(睡蓮花)
정일화 | 황혼을 바라보며
정종규 | 오는 봄을 역으로
정창운 | 사모곡, 어머님을 그리워한다
정태조 | 아카시아 꽃
정태호 | 겨울 장미의 꿈
정하선 | 희망촌, 재개발지구에서
정해각 | 보릿고개, 먹자고개
정형석 | 전봉준은 슬프다고 말했다
정형택 | 침묵, 그 순교의 백합을 먹으며
정호승 | 서울의 예수
정호영 | 한강의 밤
정홍성 | 인생의 가나다라
조경화 | 꽃 숨
조광현 | 겨울밤을 위하여
조규화 | 청춘이여, 꿈하늘을 노래하라
조남명 | 어떻게 살고 있나
조덕혜 | 옛 하늘이 그립다
조두희 | 동반자
조미애 | 관계
조서희 | 낙타
조성아 | 해바라기
조성희 | 들러리
조양호 | 시골 풍경
조은미 | 벼루 아침
조재화 | 허기
조춘삼 | 떨어진 배춧잎 하나
조한석 | 이화세계(理化世界)
조항춘 | 하얀 목련
조환국 | 바다에 닿을 때까지
주광현 | 고향
주동하 | 설중매(雪中梅)
주영욱 | 동박새 생각
지인수 | 강나루
진동규 | 부레옥잠
진 란 | 가을, 누가 지나갔다
진명화 | 동경(銅鏡)
진명희 | 비 오는 날엔
차영한 | 시골햇살
차옥혜 | 서리꽃
채수영 | 낙화 유정(有情)
채형기 | 오늘의 선물인생
채희인 | 옥셈이라도 하자꾸나
최경숙 | 성묘
최광호 | 창(窓)에게
최대락 | 눈 내리는 하얀 꽃
최동화 | 대한민국 민주건국 4·19혁명
최명숙 | 첫눈
최민석 | 통일 아리랑
최상근 | 걸레·3
최상화 | 소나무처럼
최승규 | 지렁이(土龍)
최승옥 | 박제
최승혁 | 돈 안 되도
최영희 | 백석산 진달래
최은하 | 꽃밭에서
최의용 | 만남
최인숙 | 삼베 홑이불
최재열 | 더블베이스처럼
최정남 | 상처
최정수 | 찻잔
최정숙 | 그 마음
최종규 | 흘러가는 저 강물에
최탁환 | 금병산에 올라
최해동 | 석류
태동철 | 영흥도 만조(滿潮)
편효성 | 꽃지
표영수 | 별 밭에서 헹구어내는 영혼
표회은 | 싱그런 바람아
한길수 | 풍장(風葬)
한수종 | 붉은 치마
한숙자 | 겨울새, 겨울새야
한은숙 | 도시의 마네킹·2
한희정 | 깨달음
함동선 | 선운사 골짜기
함지은 | 선녀의 꿈
허말임 | 코스모스
허소미 | 먼 먼나무
허영자 | 감
허 전 | 미운 아버지
허진숙 | 양화진의 봄
허혜자 | 수놓은 봉황 한 쌍
현명숙 | 멸치
현용식 | 달빛바다에서
홍경흠 | 촉촉한 지옥에 갇히다
홍기연 | 숨겨둔 그리움 하나
홍대복 | 청산
홍성수 | 꽃 한 송이
홍윤표 | 눈꽃의 단상
홍정희 | 가거라, 슬픔아
홍중완 | 달구지
홍춘표 | 소나무처럼 살고 싶다
홍해리 | 가을 들녘에 서서
황규홍 | 장모님 영전에
황금찬 | 별과 고기
황무룡 | 구름은 고통이 없다
황주철 | 금성 뱃머리
황진화 | 생오지의 봄
축 사 | 다시 쌓은 시문학사 금자탑 _ 문효치(시인·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발간사 | 다시 문화적 사건 _ 정성수(한국문인협회 시분과 회장)
강계희 | 겨울 전봇대
강명수 | 법성포 부르스
강별모 | 오후 5시와 6시 사이의 북천은
강봉중 | 흘러간 사람
강성오 | 가을 여행
강소이 | 소난지도의 영웅들
강신기 | 배꽃이 눈처럼 내리는 고향
강영석 | 꽃잎이별
강영순 | 노인정의 경관
강옥희 | 흑조
강외숙 | 도마
강우식 | 페테르부르크의 백야
강진구 | 녹슨 철조망
강희근 | 그 섬을 주고 싶다
강희동 | 시인
경달현 | 이곳에 살리라
고광수 | 청춘의 약속
고광자 | 마라도
고성일 | 연가
고수진 | 고인돌
고옥귀 | 고립된 자(者)와의 산책
고용석 | 꿈 찾기
고창수 | 가족
공계열 | 냉장고에서 바다를 꺼내다
공현혜 | 뿌리
곽종철 | 내 삶을 물으면
곽춘진 | 스쳐가는 삶이었던가
권숙월 | 글자
권오정 | 유년의 고향
권우용 | 짜장면
권이영 | 새
권장섭 | 어떤 윤회
권희자 | 인동초
김건배 | 별은 시(詩)가 되어
김건일 | 뜸북새는 울지도 않았다
김경명 | 연탄재
김경숙(안양) | 춘(春)
김경순 | 타임캡슐
김관형 | 서시
김교희 | 해국(海菊)
김귀자 | 백지가 되려하오
김규은 | 화응(和應), 절정의 하모니
김기원 | 비무장지대·1
김기원(진주) | 부부차
김기진 | 한강
김기화 | 깨라
김남구 | 부활의 아침
김남웅 | 합창
김년균 | 산새
김능자 | 능수벚꽃
김달현 | 춤추는 오륙도
김대식 | 고향 마을
김대응 | 너에게로 가는 마음의 기차
김동원 | 부부
김동주 | 지구 위에서
김말분 | 인도 여행 12박 13일
김명동 | 그 단칸방 시절
김명숙 | 반사된 햇살은 그늘 안으로 들어오지 않았다
김문한 | 꽃과 나그네
김미옥 | 연어의 길
김미윤 | 장지에서
김밝은 | 뒤돌아 앉은 시간을 가진
김백경 | 바다로 가자, 내일은
김보림 | 사금파리의 꿈
김보선 | 저수지의 달
김복래 | 흐르는 물처럼
김봉겸 | 민들레 홀씨
김봉균 | 고백
김봉철 | 눈꽃처럼
김사빈 | 아버지
김사윤 | 해바라기
김 산 | 비빔밥
김석기 | 북악산
김석호 | 바람소리
김선아 | 문신을 읽다
김선옥 | 떠나가는 가을
김선우 | 지리봉 가는 길
김성기 | 바람의 시
김성대 | 내 고향 언덕
김성영 | 꿈꾸는 겨울나무
김세창 | 외갓집 가던 길
김송배 | 정중동-중(靜中動-中)
김송포 | 곡절
김수원 | 기저귀
김수화(김천) | 에움길
김숙경 | 귀가
김 순 | 토담집
김시종 | 우는 농
김안로 | 차천(車川)에서
김애순 | 겨울 그 뒤
김애희 |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여정 | 아바타
김영호 | 달빛 비상금
김옥녀 | 꽃이 필 때까지
김완성 | 절구질하는 여인
김용길 | 물방울의 노래
김용언 | 북악스카이라운지
김용주 | 재동 백송
김운기 | 한낮, 개심사에서
김운향 | 항아리
김원배 | 아침 햇살
김원욱 | 마라도
김원중 | 나의 이력서
김유명 | 울 엄니
김유진 | 연어
김은수 | 염화미소·1
김이대 | 쑥부쟁이꽃
김인숙로사 | 연어캔
김장출 | 팽이
김장환 | 각혈
김재준 | 석류
김정원 | 벽시계
김 종 | 주머니에게
김종각 | 원(圓)
김종두 | 지리산
김종섭 | 내 뼈가 걸려 있다
김좌영 | 그땐 몰랐네
김준기 | 참회록
김증일 | 모두 모두 흘러가면 그만인데
김지용 | 고샅길
김진동 | 미래
김진태(광주) | 흑룡이 나르샤
김진태 | 가위 바위 보
김창근 | 단추를 달면서
김창완 | 통일로 코스모스
김철교 | 아침에 읽는 시
김탁제 | 꽃 속에 내가 피네
김태경 | 깨지를 마오, 이 잠에서
김태룡 | 산책길
김태옥 | 해남 물고구마
김학균 | 아침 정경
김학산 | 바둑 한 수
김한선 | 탄생설화
김현숙 | 풀꽃으로 우리 흔들릴지라도
김현숙(안호) | 강남의 하루하루
김현순(청주) | 푸른 창가에서
김현신 | 전송
김현찬 | 백두산 천지에서
김현희(은하) | 달팽이 예찬
김형덕 | 우포사계(牛浦四季)
김형식 | 죽은 나무의 언어
김형오 | 꽃을 다시 보면
김화수 | 당신과 함께 살아가는 법
김환식 | 버팀목
김후란 | 우리 글 한글
김훈동 | 김유정역(驛)
김휘열 | 고백
남구봉 | 너가 간 가을에
남상진 | 카푸치노
남재현 | 조국
남태현 | 내 거인 줄 알았는데
노민환 | 매화의 계절
노유섭 | 에덴아 너는 가고
노정애 | 지구를 향한 빛
라기주 | 붕어빵 서설
류금선 | 목련꽃 사연
류기환 | 목련화야!
류선모 | 연인들
류수인 | 굳이 말한다면
류인순 | 서향나무
류제욱 | 우중일상(雨中日常)
리영숙 | 사별
리 형 | 소래포구
맹기영 | 사람 냄새가
문경훈 | 목수라는 이름으로
문덕수 | 악양루
문상원 | 질화로
문연자 | 눈물꽃
문인선 | 기다림
문재학 | 연꽃
문종환 | 손녀딸과 가야금
문차숙 | 나는 굽 없는 신발이다
문효치 | 비천(飛天)
민문자 | 태극기
민병재 | 의롭게 가신 임 앞에
민용태 | 우화
박근수 | 재회의 약속
박기임 | 가을 편지
박대순 | 신탄진 도서관 언덕길에서
박막례 | 지리산 예찬
박명규 | 그 섬
박명수 | 청개구리는 운다
박명자 | 템플 스테이
박미림 | 감나무 아래서
박미현 | 여행·4
박민석 | 도시의 오후
박범석 | 산목련
박병래 | 수몰지의 달빛
박복금 | KTX 타고 대관령 넘어가자
박상경 | 여름 소식
박상렬 | 동백에게 말하다
박상일 | 달맞이꽃 연가
박상철 | 우주의 꽃
박상태 | 용사의 소리
박성기 | 자작나무를 심어 놓고
박성철 | 가을 시첩(詩帖)
박수중 | 볼레로
박순남 | 절정기
박언휘 | 처방전
박얼서 | 삶이 곧 애증인 것을
박영대 | 서툰 봄
박영덕 | 부부
박영률 | 울고 있는 빛
박영수 | 이런 남자
박영춘 | 와, 단풍 봐라
박영희 | 새아침
박유진 | 여름, 저녁노을
박은혜 | 움직임의 이미지
박이도 | 소시장에서
박일동 | 시, 왜 쓰는가
박일소 | 장미
박재화 | 사람이 위안이다
박정이 | 영산강
박정필 | 자화상
박종명 | 비빔밥
박종해 | 탱자
박주병 | 진눈깨비
박준상 | 물망초
박준영 | 홍시
박진구 | 아버지의 섬
박찬선 | 바늘 길을 베고
박찬욱 | 거미
박찬현 | 오월
박창목 | 달빛 속삭임
박채호 | 옹이
박철수 | 그림자
박현자 | 삶의 얼굴
박현조 | 부두(埠頭)의 꿈
박혜선 | 이별 그 뒤에
박희익 | 크게 울었단다
방극률 | 홍매화를 봅니다
배갑철 | 해를 안자
배귀선 | 안부
배막희 | 벚꽃
배 영 | 만장(輓章)
배윤희 | 그곳에 가면
배정규 | 안부
변우택 | 독도
변재열 | 콩코지
변종환 | 풀잎의 고요
빈명숙 | 백로
빈봉완 | 삶의 연속성
사홍만 | 정남진에 가면
서귀순 | 뿌리에게 말을 걸다
서봉석 | 신발을 닦다가
서부련 | 해돋이
서선아 | 아버지의 발
서선호 | 동무
서영림 | 한티의 낙엽
서영석 | 특별함에 대하여
서정남 | 가을
서정문 | 푸른 신호등
서주영 | 편백나무 숲을 지날 즈음
석용호 | 아~ 빈집이었지
석정희 | 아버지 집은 따뜻했네
석희구 | 나의 세레나데여!
선진규 | 울음
설경분 | 하얀 겨울
성갑숙 | 무학(舞鶴)은 날개를 접지 않는다
성동제 | 부엉이
성백원 | 기다림
성성모 | 꼽추의 아픔
성지월 | 계란의 함성
성춘복 | 폭풍의 노래
소재호 | 인생
손민수 | 아버지의 기도
손수여 | 웃기돌 같은 그 여자
손은교 | 사랑, 그대 안으로
손정숙 | 유월의 고향
손해일 | 새벽바다 안개꽃
송낙현 | 바람에 앉아
송동균 | 산골 풍경
송명섭 | 늦은 강가에서
송문호 | 세계는 지금
송봉현 | 낙원 세우기
송윤채 | 나목(裸木)
송진현 | 구멍 난 양말
송현숙 | 아픔 없이 어찌 사랑을 알랴
송 희(우화) | 야생화
수예분자 | 토마토 소묘
신광호 | 하늘색 읽다
신달자 | 유심사 터
신동명 | 그 여자
신두업 | 이름 값
신세균 | 사과나무
신세훈 | 잠실 밤개구리
신소대 | 끝이 없는 길
신정일 | 노-란 봄 편지
신종현 | 어머니와 바람소리
신지영 | 여자의 바다
신표균 | 손
신필주 | 시인과 꽃
심미지 | 물소리
심서섭 | 새벽산길
심억수 | 아버지
심재교 | 강물은 바다로 쓸려가고
심정욱 | 천상의 언어
심정자 | 경계(境界)
안기찬 | 독도, 그대는…
안용석 | 동대구역에서
안익수 | W-에게 부치는 시
안재동 | 내 안의 우주
안종관 | 징검다리
안주수 | 꿈에 본 고향
안준탁 | 시계
안효진 | 사랑하는 그대여
양경모 | 겨울나무
양길순 | 시를 점등하다
양동식 | 휴전선
양명학 | 청자상감
양왕용 | 깜부기
양윤덕 | 여보
양주석 | 사회봉사
양채운 | 검은 강물 위로
양치중 | 외로운 들국화
엄순복 | 나무
여주현 | 길 잃은 새
여학구 | 순리
연규봉 | 성지순례
오미경 | 도시 위의 낙타
오병욱 | 아름다운 언덕
오선장 | 술보다 더 독한 세월
오세영 | 자화상
오소후 | 자화상
오인자 | 나무는 달다
오종순 | 봄은 돌아눕지 않는다
오 청 | 영원히 가슴에 피는 꽃
우덕호 | 황혼에 대한 묵시
우상현 | 친구
우성영 | 윤회(輪廻)의 흔적
위맹량 | 진달래
위무량 | 선상의 이별
유병기 | 오월새
유병만 | 산부인과병원엔 영안실이 없다
유승우 | 시심(詩心)
유안진 | 다보탑을 줍다
유영애 | 시래기
유영호 | 나무 되신 아버지
유옥경 | 욕심낸 사랑
유진숙 | 떠나가는 실바람에
유후남 | 산다는 것은
윤경숙 | 차라리 침묵하고
윤고방 | 달팽이의 꿈
윤고영 | 내가 너를 잊어도 우주는 변하지 않는다
윤만영 | 어머니
윤명학 | 인생역
윤문자 | 수박
윤영석 | 설중매
윤인환 | 막걸리
윤재학 | 피뢰침에 찔린 둥근 달
윤하섭 | 손금
윤한걸 | 오늘 하루
윤희자 | 탱자나무
은희태 | 강골떡
이가인 | 그리움 실은 파도
이 경 | 씨앗들의 전쟁
이금자 | 그리움
이돈배 | 금강(金剛) 가는 길
이만균 | 배신자
이만수 | 개똥망태
이명란 | 어머니·112
이명우 | 산골풍경 325
이문조 | 김장
이병두 | 은퇴
이복래 | 옐로카드
이상아 | 나무의 흔적
이상조 | 서울
이상현(겨레돌) | 기찻길 옆
이석현 | 용접
이성남 | 겨레의 서시(序詩)
이소희 | 꽃길
이수동 | 골짜기의 노래
이수옥 | 월광(月光)
이수정 | 포도주 너를 마시며
이수화 | 단군 한아버님 전상서
이순희 |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에 서서
이순희(서초) | 산 그림자
이승남 | 미숫가루
이승필 | 슬픔을 위한 네 줄의 시
이영순(불광) | 향기
이영순(양주) | 복수초
이영춘 | 길을 묻다
이옥녀 | 토양
이옥진 | 풀잎색 빗소리 듣는 검은머리물떼새
이옥천 | 푸른 열매
이용섭 | 그늘
이용수 | 부처님은 말씀하셨다네
이용호 | 불효자의 한탄
이운선 | 내 곁에 그대가 있어
이원용 | 충정의 깃
이유식 | 잡초의 생리
이유진 | 아나스타시스(부활)
이은별 | 섬초롱꽃 사랑
이은춘 | 흑립(黑笠)
이은희 | 여름, 외가의 추억
이일현 | 외유내강(外柔內剛)
이재옥 | 수련화
이재호 | 별님
이제민 | 강물
이종철 | 후회
이종호 | 오륙도 변천사
이주랑 | 봄날은 길지 않다
이지윤 | 늦여름 해바라기
이창원 | 여운
이채민 | 손톱
이청진 | 종소리
이학덕 | 소쩍새
이한식 | 잃어버린 휘파람을 찾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행자 | 나는 그렇게 계절을 세척한다
이향아 | 물푸레나무 혹은 너도밤나무
이현원 | 저녁
이후재 | 행복의 계단
이흥규 | 새벽
이희선 | 봄이었나요
임갑빈 | 아직도 못 다한 말
임광남 | 어머니
임미형 | 모시옷 한 벌
임백령 | 화력(花曆)
임병현 | 천륜의 사랑
임병호 | 겨울강가에서 봄을 만나다
임 보 | 길 없는 길
임보선 | 마음의 꽃
임봉주 | 황금연못
임애월 | 억새꽃에 대하여
임정남 | 오래된 손
임정희 | 바다와 새
임제훈 | 석송령(石松靈)
임현택 | 평화시장
장문영 | 야생화
장봉천 | 행복
장승기 | 조약돌
장영길 | 첫돌 맞이
장영준 | 초승달
장윤우 | 그 겨울 전차의 포신이 느린 그림자
장지홍 | 안테나
장태윤 | 별
장하지 | 강가에서
장형주 | 원두막의 추억
전병철 | 나이테
전석홍 | 내 이름과 수작을 걸다
전세원 | 빛나는 꽃다발
전영모 | 억새의 울음
전우용 | 그리움 감나무 심기
전재승 | 우리가 만나서
전정희 | 종로3가 꽃집에서
전현배 | 식칼
정경림 | 오월의 축제
정경완 | 천사의 눈물
정관웅 | 능소화
정광지 | 이 가을 매향리 앞바다 개펄에는…
정구조 | 11월, 고향으로
정귀봉 | 기다림
정다겸 | 봉사자의 기도
정도경 | 꽃
정득복 | 시간이 가네 시간이 오네
정민호 | 어느 시인의 묘비
정삼일 | 행복을 위하여
정선수 | 한양에서의 나흘
정성수 | 내 이름은 몽상가
정세나 | 점새
정수영 | 하늘과 땅
정순영 | 사랑
정순자 | 홍대 앞거리
정양숙 | 그리움
정연국 | 소래포구
정연덕 | 백제의 아낙·2
정영례 | 전화
정용진 | 나의 연인 융프라우(Jungfrau)
정 원 | 문풍지 우는 집
정원철 | 타향을 떠돌다
정인관 | 수련화(睡蓮花)
정일화 | 황혼을 바라보며
정종규 | 오는 봄을 역으로
정창운 | 사모곡, 어머님을 그리워한다
정태조 | 아카시아 꽃
정태호 | 겨울 장미의 꿈
정하선 | 희망촌, 재개발지구에서
정해각 | 보릿고개, 먹자고개
정형석 | 전봉준은 슬프다고 말했다
정형택 | 침묵, 그 순교의 백합을 먹으며
정호승 | 서울의 예수
정호영 | 한강의 밤
정홍성 | 인생의 가나다라
조경화 | 꽃 숨
조광현 | 겨울밤을 위하여
조규화 | 청춘이여, 꿈하늘을 노래하라
조남명 | 어떻게 살고 있나
조덕혜 | 옛 하늘이 그립다
조두희 | 동반자
조미애 | 관계
조서희 | 낙타
조성아 | 해바라기
조성희 | 들러리
조양호 | 시골 풍경
조은미 | 벼루 아침
조재화 | 허기
조춘삼 | 떨어진 배춧잎 하나
조한석 | 이화세계(理化世界)
조항춘 | 하얀 목련
조환국 | 바다에 닿을 때까지
주광현 | 고향
주동하 | 설중매(雪中梅)
주영욱 | 동박새 생각
지인수 | 강나루
진동규 | 부레옥잠
진 란 | 가을, 누가 지나갔다
진명화 | 동경(銅鏡)
진명희 | 비 오는 날엔
차영한 | 시골햇살
차옥혜 | 서리꽃
채수영 | 낙화 유정(有情)
채형기 | 오늘의 선물인생
채희인 | 옥셈이라도 하자꾸나
최경숙 | 성묘
최광호 | 창(窓)에게
최대락 | 눈 내리는 하얀 꽃
최동화 | 대한민국 민주건국 4·19혁명
최명숙 | 첫눈
최민석 | 통일 아리랑
최상근 | 걸레·3
최상화 | 소나무처럼
최승규 | 지렁이(土龍)
최승옥 | 박제
최승혁 | 돈 안 되도
최영희 | 백석산 진달래
최은하 | 꽃밭에서
최의용 | 만남
최인숙 | 삼베 홑이불
최재열 | 더블베이스처럼
최정남 | 상처
최정수 | 찻잔
최정숙 | 그 마음
최종규 | 흘러가는 저 강물에
최탁환 | 금병산에 올라
최해동 | 석류
태동철 | 영흥도 만조(滿潮)
편효성 | 꽃지
표영수 | 별 밭에서 헹구어내는 영혼
표회은 | 싱그런 바람아
한길수 | 풍장(風葬)
한수종 | 붉은 치마
한숙자 | 겨울새, 겨울새야
한은숙 | 도시의 마네킹·2
한희정 | 깨달음
함동선 | 선운사 골짜기
함지은 | 선녀의 꿈
허말임 | 코스모스
허소미 | 먼 먼나무
허영자 | 감
허 전 | 미운 아버지
허진숙 | 양화진의 봄
허혜자 | 수놓은 봉황 한 쌍
현명숙 | 멸치
현용식 | 달빛바다에서
홍경흠 | 촉촉한 지옥에 갇히다
홍기연 | 숨겨둔 그리움 하나
홍대복 | 청산
홍성수 | 꽃 한 송이
홍윤표 | 눈꽃의 단상
홍정희 | 가거라, 슬픔아
홍중완 | 달구지
홍춘표 | 소나무처럼 살고 싶다
홍해리 | 가을 들녘에 서서
황규홍 | 장모님 영전에
황금찬 | 별과 고기
황무룡 | 구름은 고통이 없다
황주철 | 금성 뱃머리
황진화 | 생오지의 봄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