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한반도에는 바보 정말 바보들이 모여 산다”
공광규 시인, 신간 시집 ‘파주에게’서 복잡한 분단현실을 서정적으로 풍자
1. 1986년 월간 ‘동서문학’으로 등단하여 윤동주상문학대상(2009)과 현대불교문학상(2011) 등을 수상한 위안과 치유, 저항과 창조의 시인 공광규(57, 사진) 씨가 신간 시집 ‘파주에게’(실천문학사)를 냈습니다.
2. 공시인은 시집에서 현재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와 남한의 사드배치로 복잡해진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 남북관계를 주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주변국의 눈치를 보면서 전쟁불안에 떠는 삶을 사는 남북사람 모두를 파주 부근의 휴전선 철책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철새들의 입을 빌려 한반도에 사는 “바보 정말 바보들”이라고 풍자하고 있습니다.
3. 시집에는 표제시 ‘파주에게’ ‘모텔에서 울다’ ‘자화상’ ‘흰빛을 얻다’ ‘열매는 왜 둥근가’ ‘나쁜 짓들의 목록’ 등 모두 60편의 시가 실려 있습니다. 시집 뒤에 해설 대신에 시인의 고향인 충남 청양에서 보낸 청소년기 체험을 시로 형상한 시인의 산문 ‘고향 체험과 시’가 실려 있어 시인의 시 세계와 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3. 문학평론가 유성호 씨는 표4 글에서 “공광규는 인간 존재에 대한 궁극적 긍정을 통해 평정의 미학과 현실탐색의 긴장을 결합하여 노래해온 우리 시단의 수범 사례”에 속하며, “근원 지향과 현실탐색의 결속을 통해 우리 시가 나아가야 할 한 표지標識를 세워주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 공광규의 시 “안에는 위안과 치유” “저항과 창조”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4. 표제시 ‘파주에게’는 지리적으로 북한과 마주한 휴전선 부근의 파주시 시민들이 만드는 신문 ‘파주에서’ 창간 1주년 기념축시로 발표했던 시입니다. 이 시를 표제시로 잡은 이유는 현재 북핵과 사드배치로 복잡하고 불안해진 남북관계와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을 ‘바보’들이라고 꼬집어, ‘바보’라는 소리를 듣지 않으려면 현재 지속하고 있는 분단 상황에 관심을 더 갖고 주체적으로 해결하도록 노력해달라는 시인의 서정적 주문입니다.
5. 이번 공시인의 시집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사회정치적 상상력의 복원입니다. 그동안 첫시집 ‘대학일기’(1987) ‘마른잎 다시 살아나’1989) ‘지독한 불륜’(1996)에서 보여주었던 주제들을 다시 복원하고 있습니다. 표제시 ‘파주에게’는 파주 임진강변으로 군대에 간 아들을 면회하고 오면서 경험한, 논바닥에서 모이를 줍던 철새들이 일제히 날아올라 화자를 비웃듯 철책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데서 발상한 시입니다. 새들은 철책을 넘어 남북을 자유롭게 오가는 것은 물론 개성과 일산, 먼 지나반도에서 러시아와 유럽까지 오가며 한반도에 한심한 바보들이 산다고 소문을 냅니다. 그러면서 철책을 두르고 있는 한반도가 얼마나 아픈지 자기 자신의 허리에 가시 철책을 두르고 있어보라고 합니다. 그리고 파주 철책선 부근에 철새가 유난히 많은 이유가 “자유를 보여주려는 단군할아버지의 기획”이라고 합니다. 군에 간 아들 면회를 가서 쓴 ‘유월독서’나 댓잎 끝에 매달린 이슬방울이 모여서 섬진강을 만나 서해나 동해로 흘러가 “슬픈 한반도의 해안을 흰 포말로 쓰다듬”는다는 역사적 연민을 표현한 ‘평사리에서’, 히로시마 평화공원에서 체 게바라가 서있던 자리에서 묵념을 했다는 내용의 ‘동지’, 촛불집회 경험을 쓴 ‘11월26일’, 세월호 사건을 형상한 ‘노란리본을 묶으며’와 대통령 선거 결과에 대한 세대 차이를 동물의 생존경쟁으로 비유한 ‘먹이다툼’, 이동의 자유를 구속하는 현실을 자유롭게 날아오르는 새를 통해 비판하는 ‘겨울 화제’도 분단현실을 상상하게 합니다. 그리고 시 ‘지금 당장!’을 통해 독일 통일이 말실수를 해서 이루어졌듯 남북한도 말실수를 통해 통일을 하면 어떻겠느냐는 황당하지만 의미 있는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둘째, 불교적 제재와 사유의 형상입니다. 이전 시집 ‘소주병’(2004)과 ‘말똥 한 덩이’(2008) 그리고 ‘담장을 허물다’(2013) 에서 돋보였던 방법의 시입니다. 시에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형상하는 방법은 공시인의 특기이기도 합니다. 더운 여름날 절간에서 백일장과 사생대회 심사를 하는데 곤줄박이가 날아 들어와서 선풍기에 앉는 바람에 새가 다칠까봐 선풍기를 켜지 않고 심사를 새와 같이 했다는 ‘곤줄박이 심사위원’이나, 마당가에 감나무가 있고 감나무에 탱화를 걸어놓았던 경남 산청 절에서 보내온 밤을 깎으며 쓴 ‘율곡사’, 달리던 자동차를 정지선에 정지하고서야 꽃을 보았다는 ‘정지’, 사하촌 가는 길을 묻는 화자에게 물을 따라 가라고 하는 선승과 같은 말을 하는 공양주보살이 있는 ‘마곡사’, 그리고 시집을 보내주겠다고 주소를 알려달라고 했더니 자신의 주소가 바람이라고 한 스님의 예화를 쓴 ‘주소’, 번화한 도시의 길가에 있는 ‘상해 안정사’, 가벼운 찻잔도 오래 들고 있으면 무거우니까 내려놓아야 한다는 ‘그만 내려놓으시오’, 시인의 어머니가 남기고 간 가래나무 염주를 다시 꿰면서 어머니를 생각하는 ‘가래나무 열애를 꿰며’, 다시 태어난다면 대구를 파는 외포항의 생선장수가 되어 상자에 두 마리씩 다정하게 담아놓는 선업을 쌓겠다는 ‘외포항’ 등의 시들입니다.
셋째, 낡음과 늙음, 그리고 죽음에 대한 관조와 긍정적 수용입니다. 시골인 고향을 찾아갔다가 오래 사용하지 않아서 잘 수 없는 빈집에서 나와 읍내 모텔에서 자면서 쓴 유장한 우울이 넘치는 ‘모텔에서 울다’, 시골 독거노인의 죽음을 다룬 ‘고독사에 대한 보고서’, 장례식장 앞에 있는 여관 간판을 보고 삶이라는 것이 잠시 여관에 드는 것이라는 상상과 관을 들고 묻으러 가면서 사람이 죽고 사는 것과 상관없이 새와 초목은 즐겁게 노래하고 화사하게 꽃을 피운다는 ‘그러거나 말거나’, 주변의 기독교 학교와 중남미문화원은 사람들이 많이 드나들지만 아무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시골에 사는 독거노인을 닮았다는 쓸쓸한 ‘고향향교’ 등의 시입니다.
넷째, 자기 성찰과 위로의 시들입니다. 시 ‘병’에서는 고지대에 사는 야크가 낮은 곳에 내려오면 세속에 물들지 않아서 시름시름 아프다는 비유를 통해, 역설적으로 이미 세속에 물이 잔뜩 들어서 아부도 잘하고 돈벌이도 무난한 화자 자신이 병이 든 것이라고 합니다. ‘선물’은 명절선물을 쌓아놓은 딸의 방을 치우다가 딸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큰 선물이라고 합니다. 수십 년 동안 도심 빌딩에서 돈벌이를 하느라 마음과 몸이 일그러졌다는 ‘자화상’, 사람의 일생을 무거운 짐을 지고 다니는 낙타의 삶과 비유한 ‘낙타의 일생’, 고통스러운 순간을 쉽게 잊어버리고 장래를 대비하지 못하는 인간의 속성을 비유한 ‘산박쥐’, 항문이 헐거워지고 화장실 물을 깜박 잊고 내리지 않아 아내와 다투었다는 웃음을 짓게 하는 ‘근황’, 방에 꽉 찬 가구나 책들을 치우고 햇빛을 방에 받아들였다는 ‘흰빛을 얻다’, 집을 나가 사는 자식들을 걱정하며 잠을 못 이루는 부모의 심정을 다룬 ‘새벽에 잠이 깨어’, 자기의 주장보다 평생 남의 말을 들으며 사느라 자신의 내면적 집 한 채 짓지 못했다는 ‘헛간을 짓다가’, 잘 익어서 떨어진 매실을 보고 그것이 인내의 결과이며 성인들이 그렇다는 것을 암시하는 ‘열매는 왜 둥근가’ 등의 시입니다.
다섯째, 자연친화적 심상입니다. 시 ‘나쁜 짓들의 목록’에서 공시인은 자신의 나쁜 짓이라는 것이 길을 가다가 개미를 밟고 풀잎을 꺾고 꽃을 따고 돌멩이를 함부로 옮기는 일이라며 절대적인 자연친화주의자임을 피력하고 있습니다. 시 ‘본적’은 시인의 본적 번지가 지금은 시골의 빈 밭이라며 “개미와 땅강아지와 귀뚜라미와 지렁이가 모여살고/ 산비둘기가 오고 참새가 와서 발자국을 찍고 가는 밭이/ 내 본적이”라고 합니다. 화자 자신을 포함한 인간은 본래 빈 밭에서 왔다는 사유입니다. 시 ‘새벽비’는 도시의 새벽 잠결에 아파트 베란다 스테인리스 난간에 부딪혀 실로폰 소리를 내는 맑은 심상을 통해 시골집 양철지붕에 떨어지는 빗줄기를 연상합니다. 울릉도 여행경험에서 “왕오장나무 발을 쳐서 꽁치를 잡는 마을이 있다면/ 한 오년쯤 머슴살이 하며 보내고 싶다”고 싶다는 원망을 담은 ‘저동항’, 메뚜기 귀뚜라미 여치 방아깨비 등 곤충들이 가을을 이고 지고 안고 찧으며 오느라 곤충들의 뒷다리가 가을밤만큼 길어졌다는 심상과 색깔이 선명한 ‘가을이 왔다’, 중국 상해박물관에서 편종 소리를 듣고 청동기시대의 짐승과 벌레소리가 귓바퀴를 굴러다닌다는 ‘편종’ 등의 시입니다.*
작가 소개
글 : 공광규
어린 풀과 벌레와 곤충을 밟지 않으려고 맨발로 산행하면서 자연과 교감하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1960년 서울 돈암동에서 태어나 충남 홍성과 보령을 거쳐 청양에서 자랐습니다.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86년 ≪동서문학≫ 신인문학상에 당선된 이후에 신라문학대상, 윤동주상 문학대상, 동국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김만중문학상, 고양행주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2013년, 그의 자연 친화적이고 호방한 시 〈담장을 허물다〉가 시인과 평론가들이 뽑은 가장 좋은 시로 선정되었습니다. 시집으로 『대학일기』, 『마른 잎 다시 살아나』, 『지독한 불륜』, 『소주병』, 『말똥 한 덩이』, 『담장을 허물다』가 있으며, 어린이를 위하여 『성철 스님은 내 친구』, 『마음 동자』, 『윤동주』, 『구름』을 쓰기도 했습니다.
목 차
제1부
병 007
곤줄박이 심사위원 012
선물 014
대전역 가락국수 016
새벽 비 018
유월 독서 020
위대한 사건 022
평사리에서 024
주소 026
본적 028
나쁜 짓들의 목록 030
외포항 032
저동항 034
마곡사 036
가을이 왔다 037
제2부
근황 041
자화상 042
율곡사 044
가래나무 열매를 꿰며 045
겨울 화제 046
꽃잎 한 장 047
머리핀 048
전주시민 여러분께 050
강화도 052
울릉도 054
살구나무 056
새벽밥 058
한화리조트 060
신경주역 061
흰빛을 얻다 062
제3부
새벽에 잠이 깨어 067
그러거나 말거나 068
장항선 069
모텔에서 울다 070
지금 당장! 072
정지 074
헛간을 짓다가 076
고양향교 077
빨간 내복 078
난분을 옮기다가 079
편종 080
상해 정안사 082
도굴꾼 083
미포에서 084
겨울에 한 해가 바뀌는 이유 086
제4부
열매는 왜 둥근가 091
파주에게 092
동지 094
11월 26일 096
노란 리본을 묶으며 099
운명 102
아버지와 아들 104
낙타의 일생 106
모덕사에 와서 108
닭둘기 110
주먹을 펴며 112
고독사에 대한 보고서 114
먹이 다툼 116
그만 내려놓으시오 117
산박쥐 118
시인의 산문/ 고향 체험과 시
시인의 말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