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고학 진 한

고객평점
저자조화성 외
출판사항사회평론, 발행일:2017/08/25
형태사항p.296 B5판:24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88108275 [소득공제]
판매가격 20,000원  
포인트 40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중앙집권체제 국가 모델 확립

중국고고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왕조를 기준으로 시기 구분을 한다.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에 이어 하상주, 진한, 위진남북조, 수당, 송원명으로 나눈다. ‘진한 고고학’은 역사고고학의 범주에 속하며, 중국이 국가로서의 기틀이 형성되는 시기인 서기전 221년 진의 통일에서 서기 220년 동한 왕조의 멸망까지 진, 서한, 신, 동한에 이르는 4왕조 400여 년의 역사를 대상으로 한다. 지역 범위는 현재 중국 영역의 경계를 기본으로 하며 한족(漢族) 주체인 한문화(漢文化) 지역과 같은 시기 주변 소수민족문화 지역을 포함한다.
진한 시기는 진시황의 6국 통일을 통해 전국시대 제후할거의 정치적 국면이 마감되고 군현제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집권체제 통치구조가 출현하는 새로운 역사단계이다. 진 왕조는 비록 단명하였지만 한 왕조는 진의 통치제도를 계승함으로써 이러한 중앙집권체제 국가 모델은 이후 왕조에서도 하나의 일관된 정치질서와 사회제도로 운용되었다.

고고학 자료의 대대적 발굴

중국고고학에서 20세기 전반기에 진행된 서북지역 탐험조사 및 출토 간독(簡牘)에 대한 연구와 동북지역의 한묘(漢墓) 발굴은 비록 보물찾기의 성격을 띠고 있었지만 근대적 의미에서 진한 고고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 일본의 중국 침략과 더불어 동북지역에서 일본인에 의해 다수의 한묘가 발굴되고 보고서도 출간되었다. 중국학자들도 이 시기 100여 기의 한묘를 발굴하였다.
1950-70년대에 고고학 조사와 발굴은 대대적으로 전개되었으며 고고학 자료도 축적되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한 전문화된 연구와 종합연구도 초보적인 성과를 축적하면서 진한 고고학의 편년과 연구영역의 체계가 수립되었다. 이 시기 전국적으로 발굴된 한묘의 수량은 1만여 기에 이른다. 대형 한묘의 발굴은 기남(沂南) 화상석묘의 발굴과 허린거얼(和林格爾) 벽화묘의 발굴이 대표적이며, 중소형 한묘의 발굴은 낙양 소구한묘(燒溝漢墓)의 발굴과 편년 연구가 알려져 있다.
197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말까지, 중요한 고고학 발견이 차례로 이어졌으며 고고학 자료의 축적은 더욱 풍부해졌다. 진시황릉과 병마용, 한 장안성 미앙궁(未央宮), 경제(景帝) 양능(陽陵) 등 10여 기의 대형 제후·열후묘가 발굴되어 한대 문명의 찬란함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 전국적으로 발굴된 중소형 한묘는 대략 10만여 기에 이르며 이를 통해 한대 지역문화의 특징을 인식하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그리고 『고고(考古)』, 『문물(文物)』, 『고고학보(考古學報)』를 비롯한 10여 종의 고고학 잡지에 다수의 진한 고고학 자료가 발표된 것 외에도 20여 권의 정식 발굴보고서가 출간되었다. 진한 고고학 자료의 이러한 지속적 축적은 종합연구를 새로운 단계로 도약시켰다. 현재까지 국내외에 발표된 연구논문은 1천여 편에 이르며 전문저서도 수십 권이 출간되었다.

중요한 발굴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

이 책은 이러한 발굴성과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20세기 이루어진 진한 고고학의 중요한 발견과 발굴 및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중국고고학 입문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진한 시기 고고학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1장 진의 도성 함양과 진시황릉, 2장 한대 장안성, 낙양성과 황제릉, 3장 한대 제후왕과 열후의 무덤,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분구와 분기, 5장 한대 화상석과 화상전, 벽화 및 백화, 6장 한대 청동기, 7장 진한 칠기, 8장 한대 직물, 9장 한대 변경유적과 간독, 10장 진한 무덤 출토 간백, 11장 진한 시기 주변민족 등의 11개 부분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그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특히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편년연구에서는 한대 무덤을 다시 낙양 중심의 중원지역, 관중지역, 하서지역, 북방장성 일대, 동북과 북경지역, 산동과 강소성 북부지역, 장강중류지역, 장강하류지역, 서남지역, 광동 및 광서지역의 10개 권역으로 세분하여 고고학적 성과와 지역적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연구영역의 구분과 지역 구분은 진한 시기 고고학 자료의 불균형을 극복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서술방식이며 발굴조사 자료의 연구사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측면이 있다. 아울러 이 책의 각 장에서는 관련 고고학 자료에 대한 서술과 더불어 출토자료에 반영된 다양한 문화양상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으며,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와 더불어 연구 현황과 향후 연구 전망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진한 시대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이전에 번역 출판된 중국고고학 서적
중국 고고학-위진남북조, 나종진 지음 / 정대영 옮김, 2012
중국 고고학-수·당, 제동방 지음 / 이정은 옮김, 2012

 

작가 소개

저 : 조화성

1952년 산시(陝西)성 한중(漢中)에서 태어났다. 1977년 시베이대학 (西北大學) 역사학과 고고학전공, 1984년 베이징대학(北京大學) 고 고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베이징대학 고고학과 교 수이며 한당고고연구실 주임이다. 주요 논저로는 「감숙동부지역 진 과 강융문화의 고고학적 고찰(甘肅東部秦和羌戎文化的考古學探索)」, 「주대 관곽다중제도 연구(周代棺槨多重制度硏究)」, 「진시황 능원배 치구조의 재인식」 등이 있으며 다수의 고고학 발굴조사보고서가 있다.

 

저 : 고숭문

1948년 허베이(河北)성 옌산(鹽山)에서 태어났다. 1975년 베이 징대학(北京大學) 역사학과 고고학전공. 현재 베이징대학 고고학 과 교수이다. 주요 논저로는 「서한제후왕묘의 거마순장제도 고찰」, 「초기사용예제고(楚器使用禮制考)」, 「초영도예제고」 등이 있다.  

역 : 정대영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7년 현재 동양대 학교 문화재발굴보존학과 교수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중국 탐원공정과 선사고고학』(공저), 『동아시아 옹관묘』(공저), 「중국문명 기원연구의 동향과 성과」, 「중국 동북지방 청동기시대 석관묘제와 장속의 지역성」 등이 있다.

 

목 차

서문   5

1장 진도(秦都) 함양(咸陽)과 진시황릉에 대한 고고학 발견과 연구   15
1. 진도 함양에 대한 고고조사와 발굴  15
1) 궁전 유적  16
2) 수공업공방 유적  20
3) 함양 부근의 능묘(陵墓)구역  21
4) 진도 함양에 대한 종합연구  23
2. 진시황릉과 병마용갱의 고고학 발견  25
1) 능원의 건축 유적  25
2) 능원 주변의 배장갱  30
3) 배장묘  35
4) 형도(刑徒)무덤과 수능(修陵)의 공장(工匠)무덤  36
5) 진시황릉과 병마용의 고고자료  37
3. 요령성 수중(綏中) 강녀석(姜女石) 행궁(行宮) 유적  38

2장 서한 장안성과 동한 낙양성 및 한대 제릉(帝陵)   41
1. 서한 장안성의 조사, 발굴과 연구  41
1) 성벽, 성문 및 내부도로  43
2) 궁전과 무고  45
3) 시장, 수공업 유적, 주거구역  50
4) 남교(南郊)의 예제성(禮制性) 건축군  51
5) 장안성 주변의 기타 건축 유적  53
6) 한대 장안성의 종합연구  54
2. 동한 낙양성의 조사, 발굴과 연구  57
3. 서한 황제릉의 조사, 발굴과 연구  65
1) 서한 제릉  65
2) 동한 제릉  74

3장 한대 제후왕과 열후 무덤의 발굴과 연구   77
1. 한대 제후왕묘  79
1)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초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79
2)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까지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81
3)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제후왕묘의 발굴과 연구  91
2. 한대 열후묘  102
1) 1950~60년대 열후묘의 발굴과 연구  102
2) 1970년대 열후묘의 발굴과 연구  104
3. 제후왕과 열후묘에 대한 종합연구  110

4장 한대 중소형 무덤의 발굴과 분구(分區) , 분기(分期) 연구   115
1) 낙양(洛陽) 중심의 중원지역 한묘  118
2) 관중지역의 한묘  120
3) 하서(河西) 지역과 청해(靑海) 동부지역의 한묘  122
4) 북방 장성지대(長城地帶) 의 한묘  125
5) 동북 및 하북 북부, 북경지역의 한묘  127
6) 산동과 강소성 북부 및 주변지역의 한묘  128
7) 장강 중류지역의 한묘  130
8) 장강하류[江南] 지역의 한묘  132
9) 서남(西南) 지역의 한묘  134
10) 양광(兩廣) 지역의 한묘  136

5장 한대 화상석, 화상전, 벽화, 백화의 발견과 연구   139
1. 화상석  139
2. 화상전  154
3. 벽화  157
4. 백화(帛畵)  160

6장 한대 청동기의 발견, 기록과 연구   163
1. 한대 청동기의 발견과 기록  163
2. 한대 청동기의 종합연구  168
1) 한대 청동기 제조업 연구  170
2) 한대 청동기명문 연구  172
3) 한대 청동기 기물학(器物學) 연구  177
3. 한대 청동기 연구의 평가와 전망  182

7장 진한 시기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5
1. 진대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5
2. 한대 칠기의 발견과 연구  188
1) 한대 칠기의 연구  188
2) 한대 칠기 제조업의 관리  190
3) 한대 칠기의 공예기술  194
4) 한대 칠기의 종류와 공예 특징  195

8장 한대 방직품의 발견과 연구   201

9장 한대 변새 유적 및 간독의 발견과 연구   213
1. 제1단계(1906~1949년) 의 발견  213
1) 스타인의 발견  213
2) 주병남의 발견  216
3) 중국-스웨덴 서북과학고찰단의 발견  216
4) 서북과학고찰단의 발견  218
2. 제2단계(1949년에서 현재까지) 의 발견  219
1) 거연한간의 신발견  219
2) 돈황한간의 신발견  220
3) 서역한간의 신발견  223
3. 중국 서북지구 출토 한간의 연구  224

10장 진한 무덤 출토 간백의 발견과 연구   231
1. 진간의 발견과 정리  231
1) 운몽 수호지 진간  231
2) 청천 학가평 진간  234
3) 천수 방마탄 진간  234
4) 운몽 용강 진간  235
5) 강릉 양가산 진간  236
6) 강릉 왕가대 진간  236
7) 사시 주가대 진간  237
2. 한대 간백의 발견과 정리  237
1) 무위 『의례』간  239
2) 임기 은작산 한간  239
3) 마왕퇴 한묘의 간독과 백서  240
4) 강릉 장가산 한간  244
5) 연운강 윤만 한간  244
3. 진한 무덤 출토 간백 연구 개요  245
1) 일서간(日書簡) 의 연구  245
2) 법률류 간독의 연구  246
3) 마왕퇴 간백의 연구  247

11장 진한 시기 주변지역 민족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3
1. 흉노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3
2. 오환과 선비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257

참고문헌  265
옮긴이의 글  267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