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양갈보’와 ‘양공주’ 그리고 아메리칸드림
6.25전쟁과 미군, 매춘부에 관한 노학자의 자전적 에세이
이 책은 식민지와 전쟁, 그리고 성(Sex)을 연구해 온 재일 문화인류학자인 최길성 교수가 어릴 적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적 에세이이다.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나 열 살 무렵 6.25전쟁을 겪는 동안 직접 차례로 체험한 북한군, 한국군, 중공군 그리고 미군이 주축인 유엔군의 행태를 가감 없이 서술하고, 그 후의 삶의 체험과 연구 성과를 담담하게 기행문으로 이야기한 드문 증언이기도 하다. 특히 전쟁의 그늘에서 일어난 ‘전쟁과 성’의 문제를 자신이 직접 목격한 사실들을 통해 담담하게 담아낸 이 책은 6.25전쟁으로부터 비롯한 기지촌 매춘에 관한 보고서이기도 하다.
저자의 연구는 본디 식민지 연구로부터 출발했다. 저자의 연구는 당초 한국만의 식민지 시대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일본에 유학하여 일본의 연구자가 되고부터는 한일관계가 대상이 되었다. 청산해야 할 식민지로서의 쓰라린 과거와 정치적 가치를 공유해야 하는 이웃이라는 현실을 마주하고, ‘가해와 피해’의 양면이 항상 대립되는 양국관계에는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가 더해져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식민지라는 비참한 역사는 나날이 멀어져 간다. 그러한 가운데에서 역사는 역사, 현실은 현실이다. 역사에 있어서 부負의 유산을 발굴하고 문제를 크게 만들려고 하는 것은 생산적인 태도는 아니다. 물론 국가 정책으로서도 마찬가지이다”라고 저자는 충고한다. 후손들을 위해서라면 더더구나 지양止揚해야 할 태도라는 점 또한 저자의 신념이다.
저자는 오래전부터 전쟁 중의 성폭행 등에 관해 연구, 발표해 왔다. 저자는 그 연장선에서 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어 왔고, 이 책은 그 연구 성과에 대한 보고서이다. 한일간의 민감한 외교적 갈등의 중심이 되는 주제를 다루면서 그러나 저자는 희망한다. ‘이 책이 한일관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일조하고 양국의 우호 관계에 다소나마 이바지할 수 있다면 저자로서는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일본어로 기술되어 일본에서 출판된 이 책의 원제목은 ‘미군 위안부의 진실(米軍慰安婦の??)이다. 그러나 책의 내용은 거기에 국한되어 있지는 않다. 저자는 문화인류학자로서의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적인 관점, 지역적인 특수성을 더해 전쟁과 성, 위안부란 주제에 접근한다.
“나는 한반도의 38선 근처 남쪽에 있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열 살 무렵에 한국전쟁의 비참한 상황을 체험했다. 그곳에서는 유엔군 병사에 의한 성폭행이 있었고 그것을 막기 위해 매춘부들이 마을에 들어왔다. 그녀들은 이른바 ‘미군 위안부’이다. 나는 이런 것들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독자를 향해 말하고 싶다.”
“당시 내게는 반전사상 같은 것은 없었다. 괴롭고, 무섭고, 그리고 한편으로는 재미있는 그런 혼란스러운 심리였다. 이러한 복잡한 생각을 배경으로 ‘한국전쟁’ 그리고 ‘전쟁과 성(性)’이라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싶다.”
그녀들의 매춘, 병사들의 위안
6.25 전쟁통에 미군 또는 미군 중심의 유엔군이 주둔한 곳을 중심으로 군인을 상대로 한 매춘부가 생겨났다. 특히 미군을 상대로 한 매춘부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양갈보’나 ‘양공주’로 불렸다. 두 용어 다 기본적으로 비하하는 말이지만, 전자가 그저 ‘매춘부’를 일컫는다면 후자에 쓰인 ‘공주’라는 용어에는 매춘의 상대였던 미군과의 관계가 특별해졌음의 의미가 담겨 있다. 즉, 신분의 극적인 전환이 일어났거나 일어날 가능성을 ‘양공주’란 용어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렇게 단어 상으로도 부정과 긍정의 두 측면을 갖는 셈이다. 미군 기지촌을 중심으로 생겨난 매춘부들은 전쟁 시기뿐 아니라 전쟁이 끝난 뒤에 때와 장소, 경우에 따라 멸시받기도 하고 영웅시되기도 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사회가 극도로 혼란스럽거나 전쟁이 벌어지면 다이내믹하게 변동한다. 즉, 그녀들이 ‘매춘부(갈보)’와 ‘아가씨’라는 두 가지 면을 갖듯이, 소위 위안부도 ‘희생자=애국자’가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1970년대 매춘부=위안부는 외화를 버는 조국 근대화의 영웅이라는 미화가 그것이다.
전쟁 중의 미군 병사들은 한국 여성들에게서 성과 위안을 구했다. 휴전 후 한국에 주둔한 미군 병사들도 한국의 매춘 여성들로부터 성과 위안을 구했다. 즉, 그녀들이 하는 일은 매춘일지라도 병사들에게는 위안의 의미도 강했다. 반대로 매춘부들에게는 결혼의 행운을 얻는 기회이기도 했다. 성에 대한 유교의 이중성이 절대적으로 작용하는 한국인의 전통 가치 속에서 매춘부들은 어떻든 타락한 존재들로서 한국 남성의 선택을 받아 정상적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신분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녀들이 기회마저 박탈당한 것은 아니었다. 그녀들 중 다수가 궁핍과 속박의 한국으로부터 풍요와 자유의 나라 미국으로 탈출하려 했다. 그것은 미국이라는 땅에서의 새로운 삶, 그 꿈을 향한 출발이기도 했다. 전쟁과 빈곤, 한국의 가부장제에서 해방되어 꿈의 미국으로 가는 지름길이 곧 미군 병사와의 만남이자 성적 관계를 통한 일체감 확보였다. 그리고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현대 한국인들 다수가 가진 아메리칸드림의 기원이었다.
1950년에 시작된 6.25전쟁은 ‘남북통일을 위한 전쟁’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긴장된 동족 간의 적대 관계를 만들어냈다. 저자는 6.25 전쟁통에 수많은 사람이 죽어 나가고, 그렇게 죽어 널브러져 있는 사체를 수도 없이 보았다. 그런 지워지지 않는 잔인한 기억 한편으로, 전쟁에는 파괴나 살인만 있는 게 아니라 오락과 낭비, 외국인, 신문물과의 만남도 있었다는 저자의 고백을 통해서 독자들 또한 전쟁의 여백과 마주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최길성
1940년(1938년) 경기 양주 출생
1963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 졸업
1966~69년 육군사관학교 교관. 육군 대위
1969~72년 문화공보부 문화재전문위원
1972년 일본 유학
1985년 츠쿠바대학 문학박사
경남대학교 계명대학교에서 일본학 교수
1991년부터 일본 중부대학 교수
1995년부터 히로시마 대학 교수. 현재 명예교수
2005년부터 일본 동아대학교 교수 겸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
주요 저서
『恨の人類學』, 『韓國民俗への招待』, 『帝國日本の植民地を步く』, 『米軍慰安婦の眞實』, 『これでは困まる韓國』, 『哭きの文化人類學』, 『일제시대 한 어촌의 문화 변용』, 『한국 무속의 연구』, 『한국의 무당』 등 다수. 『米軍慰安婦の眞實』(2017)은 일본 국가기본연구소에서 주는 ‘일본연구특별상’ 수상.
주요 역서
『일본의 사회구조』, 『일본의 사회와 종교』, 『일본의 종교』, 『한국의 유사종교』, 『조선의 풍수』,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등 다수.
옮긴이 : 이신범
용산중고를 거쳐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민주화운동으로 제적 투옥되어 5년 8개월을 복역하고 워싱턴 소재 국제정책개발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제15대 국회의원, 한국LPG산업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서울법대학생운동사』(2008)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가 있다.
목 차
글머리에 5
제1장
전전·전후의 한국·북한 19
일본 통치로부터의 해방 21
국민학교의 전쟁 전과 후 24
반일 감정의 고조 27
38도선과 휴전선 29
호적에 이름이 없는 어머니 31
제2장
한국전쟁과 미군위안부 39
내가 본 한국전쟁 41
전쟁 발발 43
나문재의 추억 48
고향으로의 귀로 49
마을의 공산주의자 50
인민군에게 학살당한 일가 53
인민군의 퇴각 54
다시 한국 측이 되었던 시대 55
중공군에 점령된 마을 59
유엔군 낙하산 부대 64
마을을 강타한 거센 폭격 67
중공군 사체 처리 69
유엔군에 의한 성폭행 피해 71
군인이 여자를 강간하는 이유 74
중공군에 의한 성폭행은 없었다 78
미군의 주둔과 유곽의 탄생 80
메밀밭의 추억 82
미군 위안부의 양면성 85
매춘촌의 활황 87
‘오야’라고 불린 매춘부 88
콘돔과 영어의 범람 89
국제결혼을 꿈꾸며 90
마을에 정착한 매춘부 96
네 명의 매춘부를 낸 집 99
미군이 가져온 미국 문화 101
아버지의 죽음과 친구의 배신 103
수도 서울로의 전학 105
판문점 ‘관광’ 여행 108
제3장
현대 한국의 ‘다방 매춘’ 115
다방을 이용한 매춘 시스템 117
제4장
일본의 통치와 한국의 새마을운동 131
한국에서의 독재와 자유 133
고교 교사 시절의 쓰라린 추억 137
독재자 박정희의 시대 141
새마을운동은 ‘일본 기원’인가 149
박정희 생가를 방문하다 151
제5장
육군사관학교 교관이 본 한국군 167
입대까지의 혹독한 훈련 169
군사분계선의 진실 175
경찰관을 걷어차는 군인 179
군 복무와 학술 연구의 양립 183
국민교육헌장 강의 191
육군 대위로서 194
징병제도와 애국심 197
군사 쿠데타에 대한 실망 200
제6장
성고문과 민주화운동 205
경찰관에 의한 성폭행 사건 207
기생과 매춘 212
한국전쟁과 반공의식의 확대 218
제7장
한국인의 정조 관념 221
반일과 내셔널 아이덴티티(국가 정체성) 223
드라마 《겨울 연가》에서 보는 한국인의 정조관 225
종교관과 정조관 232
피임과 중절 241
전통과 남존여비 247
조선조의 대리모 제도 249
결혼과 정절 252
한국의 전통적인 정조관 255
제8장
한국의 반일 내셔널리즘 261
일본의 ‘성적’으로 ‘저속’한 대중문화 263
외적外敵이 노린 처녀-섹스 내셔널리즘 265
위안부 문제의 역사적인 배경 268
제9장
전쟁과 성 273
①중국의 난징대학살기념관을 방문하여 276
②‘정의로운 전쟁’은 있는 것인가? 283
③전쟁과 성 288
글을 마치며 293
참고문헌 299
역자 후기 302
역자 소개
null
재화 등의 배송방법에 관한 정보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
주문 이후 예상되는 배송기간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 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반품비용 등에 관한 정보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경우 그 구체적 사유와 근거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재화등의 교환ㆍ반품ㆍ보증 조건 및 품질보증 기준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재화등의 A/S 관련 전화번호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대금을 환불받기 위한 방법과 환불이 지연될 경우 지연에 따른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및 배상금 지급의 구체적 조건 및 절차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소비자피해보상의 처리, 재화등에 대한 불만처리 및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분쟁처리에 관한 사항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거래에 관한 약관의 내용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및 페이지 하단의 이용약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