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으로 보는 동아시아-비슷하며 다른, 가까우며 낯선 이웃 동아시아, 열린 시각으로 살펴보기-

고객평점
저자가미즈루 히사히코, 오타 심페이 외
출판사항눌민, 발행일:2021/11/30
형태사항p.413 A5판:21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87750482 [소득공제]
판매가격 18,000원   16,2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81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동아시아를 통해 문화인류학을 배우고, 문화인류학을 통해 동아시아를 바라본다
이 책은 2017년에 일본 쇼와도(昭和堂)출판사에서 출간한 『동아시아로 배우는 문화인류학(東アジアで学ぶ文化人類学)』을 완역한 책이다.


이 책의 특징을 세 가지 키워드로 설명하자면, “일본 인류학자들”이 “동아시아”를 주제로 쓴 “문화인류학 개론서”이다. 일본어판 원서 제목이 “동아시아”를 통해 “문화인류학”의 이론, 역사, 개념 설명을 부각시키고 있다면, 한국어판은 문화인류학으로 설명하는 “동아시아”에 좀더 초점을 맞추어 『문화인류학으로 보는 동아시아』로 하였다. 책의 방향이 결국에는 동아시아의 다양한 모습과 뜻밖의 사실을 드러내며 동아시아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해석하는 데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쉽게 잘 쓰여진 문화인류학 개론서인 한편, 새롭게 이해하는 동아시아 입문서이라는 점이다. 이 책은, 문화인류학의 여러 하위 분야, 주요 학자, 이론과 개념을 초심자도 알기 쉽게 설명하여 문화인류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과, 동아시아 여러 지역의 (의도적으로) 숨겨지고 감춰지고 때로는 무시된 이야기들을 문화인류학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대결과 경쟁을 탈피한 다양성과 공존의 새로운 동아시아의 모습을 그려내는 데에 있다. 동아시아를 통해 문화인류학을 배우고, 문화인류학을 통해 동아시아를 바라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맞춤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문화인류학으로 보면 동아시아가 새롭게 보인다! 
사람들은 고정관념들을 가지며 살아가기도 하는데, 그 중에는 “인간은 자신이 온전히 빠져 있는 문화를 ‘당연한 것’이라고 간주”(25쪽)하거나,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에 대해선 자신이 가장 잘 안다”는 것들도 있다. 그래서인지 자신이 속한 문화권에 대해 이질적인 사람들, 특히 외부의 인류학자들이 쓴 글을 읽을 때면 쉽게 “잘 모르면서 썼다”거나 “왜곡되어 있다”라고 느끼기 쉽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당연시되어 왔던 것들이 인류학자들의 시각을 통해 낯선 것으로 다가왔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일본 인류학자들이 한국의 사교육, 대중문화, 제사, 대마도관광을 말할 때에 이미 “일본 사람들”이라는 그 자체에 일종의 불쾌감과 반발심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리고 잘 모르면서 하는 말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마음을 가라앉히고 다시 읽다보면 우리는, 낯설게 표현된 우리를 다시금 발견하고 좀 더 객관적으로 우리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얻을지도 모른다.


인류학의 강점은 지금까지 당연시되는 것들을 뒤집어보고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인류학은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을 문제시하고, 당연하다는 이유로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것을 드러내며,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바꿔나가는” 학문인 것이다(20쪽). 즉 인류학은 사람들을 혼돈에 빠뜨리는 학문이 아니라 새롭게 보는 방법을 알려주어 열린 시각을 일깨우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동아시아를 새롭게 보도록 돕는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선 물론이고 쉽게 동아시아 이웃 나라와 사람들에 대해 잘 알고 있고, 대동소이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여긴다. 그런데 실은 우리는 우리의 잣대로 재단하고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분명히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오랜 세월 동안 역사적 교류를 해왔기 때문에 공통점이 많이 있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대하면 실은 지금까지는 보지 못했던 낯선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실은 서로를 잘 모른다는 것을 인정할 수도 있다.


문화인류학이 발견하는, 가깝고도 낯설게 존재하는 동아시아 여러 곳의 숨겨진 얘깃거리
이 책은 서울과 도쿄와 베이징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거대한 정치, 경제적 대결과 경쟁 구도로서의 동아시아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문화, 그리고 그만큼의 다양성과 사연이 존재하는 동아시아 여러 곳을 다룬다.


이 책은 “현장 연구”, “민족지”, “문화 상대주의”, “호혜성”, “교환”과 같은 문화인류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을 알기 쉽게 소개하는 한편, “가족과 친족”, “종교”, “젠더와 섹슈얼리티”, “식민지주의”, “종족성”, “국가”, “이민”, “초국가주의”와 같은 문화인류학의 연구 분야들을 동아시아 곳곳을 연결하여 소개한다. 이를테면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지이자 2차 세계대전의 격전지였던 팔라우에서 “식민지주의”의 현재를 연구한다. 그리고 현재의 홋카이도와 그 주변 지역에 오래전부터 거주해온 일본의 선주민인 아이누와 식민지 대만의 야만인으로 불리다 이름을 되찾기 시작한 선주민들을 연구하며 국가와 민족간의 관계, 단일민족주의의 허구성을 밝힌다. 또한 일본과 한국을 오가는 자이니치 코리안 2세의 이야기, 국경선으로 무역과 교류가 가로막힌 대만과 아에야마의 이야기, 홍콩 디아스포라 이야기, 다양한 성적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 이야기 들을 다루며 어느 한 가지 정체성으로만 존재하지 않는, 경계에 존재하는 사람들을 담담하게 조명한다. 한편 각 장의 끄트머리에 “미군기지 문제”, “중국의 한 자녀 정책”, “위안부 문제”, “한국의 일본어 학습 상황”, “동아시아의 학생운동”, “참치와 꽁치 문제”, “헤이트 스피치”, “중국의 싹쓸이 관광”, “몽골국과 내몽골 자치구” 등 동아시아의 최신의 이슈들을 인류학적으로 바라보는 칼럼을 마련했다.


이 책이 가지는 특징 중의 하나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에 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제국 일본’이라는 말을 들어도 실감이 나지 않을지 모르지만, 일본 식민주의의 역사를 이제 잊어버려도 좋은지는 우리가 주체적으로 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186쪽)라는 표현이 말하듯이, 동아시아나 오세아니아 지역의 사람들이 일본 식민주의에 문제 제기를 할 때에 이에 대해 회피할 권리가 아니라 설명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연결되어 이 책의 저자들은 동아시아 곳곳에서 중앙 권력과 자본, 그리고 주류 사회의 편견으로부터 소외되고 잊힌 사람들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서장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어떤 문화가 앞서 있다”거나 “뒤떨어져 있다”라는 발상을 부정하는 것이다. 문화를 진보의 관점에서 비교하는 것이 전혀 무의미하다는 문화인류학적 사고를 체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인류학적인 관점과 방법으로 동아시아 사람들이 거대하고 획일적인 정치 경제적 담론이 야기한 여러 가지 문제들에 직면하여 극복해나가는 모습을 목격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는 것이다.

작가 소개

가미즈루 히사히코
현립히로시마대학 지역연계센터 부교수. 사회인류학 전공. 주요 저작으로는 『交渉する東アジア: 近代から現代まで(교섭하는 동아시아: 근대에서 현대까지)』(共編著, 風響社, 2010), 「八重山にみる日本と台湾の二重性: 台湾人観光の現場から(야에야마에서 보는 일본과 대만의 이중성: 대만인 관광의 현장으로부터)」(小熊誠編 『〈境界〉を越える沖縄(경계를 뛰어넘는 오키나와)』 所収, 森話社, 2016), 『境域の人類学-八重山・対馬にみる「越境」(경계와 영역의 인류학: 야에야마・대마도에서 본 국경 가로지르기)』(共編著, 風響社, 2017) 등이 있다.

목 차

들어가며 5


서장 문화를 배우다, 동아시아를 알다 - 가미즈루 히사히코
1. “당연한 것”을 문제시하는 문화인류학 19
2. 인지와 행동의 기반으로서의 문화 23
3. 마찰을 일으키는 문화 25
4. 사실은 잘 모르는 동아시아 27
5. 이 책의 구성 29
6. 문화인류학적 사고를 향해 32


제1장 현장연구와 민족지 | 문화인류학은 사람을 어른으로 만든다 - 다마키 다케시
1. 어른의 학문 37
2. 문화인류학과 현장연구 38
3. 동아시아에 대한 현장연구와 민족지 43
4. 현장과 문헌 모두에서 얻는 발상 49
5. 타자/자기이해로부터 알게 되는 세계의 지평 속으로 52
칼럼 1 미군기지 문제 58


제2장 가족과 친족 | 한국과 일본의 혈연관계로부터 - 오타 심페이
1. 친족관계와 친족집단 62
2. 일본과 한국의 친족 66
3. 혼인의 유형 73
4. 가족의 유형 76
5.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변화 78
칼럼 2 변화하는 중국의 한 자녀 정책 86


제3장 종교 | 중국의 신, 조상, 귀신을 통해 - 가와구치 유키히로
1. 종교란 무엇인가? 89
2. 동아시아의 종교 92
3. 중국의 종교: 광둥성 광저우시를 사례로 97
4. 살아가기 위한 지침으로서의 종교 109
칼럼 3 연중행사와 환경보호 113


제4장 젠더와 섹슈얼리티 | 한국의 여자다움/남자다움으로부터 - 나카무라 야에
1. “여자”인가 “남자”인가? 117
2. 세 가지의 “성” 118
3. 사회에서 형성되는 젠더 121
4. 성역할 규범: 남자는 괴로워, 여자는 괴로워 128
5.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다양성 132
6. 성을 상대화하다 136
칼럼 4 위안부 문제 140


제5장 사회관계 | 대만의 결혼식을 통해 - 니시무라 가즈유키
1. 누가 낼까? 143
2. 교환 145
3. 국민이라는 연계 153
4. 글로벌 환경과 사회관계 156
5. 사회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162
칼럼 5 동아시아의 화이질서와 조공·책봉관계 166


제6장 식민지주의 | 팔라우의 일본통치 경험으로부터 - 이이타카 신고
1. 긴자대로의 충격 169
2. 식민지 상황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 173
3. 식민지주의와 문화의 구축 176
4. 제국 연구의 시점 183
5. 일본의 식민지주의와 대면하기 185
칼럼 6 센카쿠열도와 독도 191


제7장 종족성 | 대만의 선주민으로부터 - 미야오카 마오코
1. 나와 타자를 구분하기 195
2. 종족성, 민족, “인종” 196
3. 종족성의 동태와 중층성: 대만 선주민의 경우 199
4. 민족 경계의 고정화와 동요: 중국의 소수민족 205
5. 종족성의 비동질성과 일상성: 아이누족의 경우 209
6. 타자이해의 출발점으로서 214
칼럼 7 한국의 일본어 학습 상황 218


제8장 이민 | 홍콩 사람들의 이동으로부터 - 세리자와 사토히로
1. 이민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221
2. 인구통계에 접근하기 225
3. 홍콩인은 누구인가? 226
4. 외국에서 들어오는 이민자가 홍콩을 지탱하고 있다 228
5. 수치를 보고 가설을 세우다 230
6. 홍콩의 신계 지구 232
7. 신계에서 영국으로 233
8. 영국의 중화요리점 비즈니스 234
9. 개인에 주목하는 것도 필요하다 236
10. 홍콩인 디아스포라? 237
칼럼 8 동아시아의 학생운동 244


제9장 초국가주의 | 야에야마와 대만의 국경으로부터 - 가미즈루 히사히코
1. 국경을 넘어 생활하는 사람들 249
2. 초국가주의 시대 251
3. 야에야마와 대만과의 왕래 259
4. 자신에 대한 시선 270
칼럼 9 참치·꽁치 문제 275


제10장 다문화공생 | 자이니치 코리안과의 협력관계로부터 - 니카이도 유코
1. “다문화공생”이라는 이념의 등장 279
2. “다문화공생”이 내포하는 과제 281
3. 일본의 외국인 노동시장의 성립 283
4. 얼굴이 보이지 않는 정주화 287
5. 공생에의 모색 291
6. 협동관계의 확립 294
7. “다문화공생 사회”의 실현을 향해 298
칼럼 10 헤이트 스피치 304


제11장 관광 | 부산과 대마도의 교류로부터 - 니카무라 야에
1. 관광을 연구하다 307
2. 관광을 보는 관점 308
3. 대마도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 314
4. 호스트와 게스트를 생각하다 320
5. 타자이해로서의 관광 324
칼럼 11 중국의 관광 사례 328


제12장 경제 | 몽골의 목축으로부터 - 오자키 다카히로
1. 문화인류학이 다루는 경제는? 331
2. 생업의 역사 332
3. 몽골고원의 가축과 식량 337
4. 음식의 계절성과 비자급적 식량의 존재 340
5. 방목의 방법과 계절 이동 343
6. 사회주의화와 시장화 347
칼럼 12 몽골국과 내몽골자치구 355


제13장 인류학의 응용 | 다양한 선택지의 가능성을 창출하는 학문 - 오자키 다카히로
1. 인류학은 세상에 도움이 될까? 359
2. 내몽골의 개발사 361
3. 황사와 서부대개발 365
4. 생태이민 369
5. 오아시스 프로젝트의 교훈 374


마치며 383
옮긴이의 말 391
찾아보기 405
이 책을 쓴 사람들 411

역자 소개

null

상품요약정보 : 의류
상품정보고시
거래조건에 관한 정보
거래조건
재화 등의 배송방법에 관한 정보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주문 이후 예상되는 배송기간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 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반품비용 등에 관한 정보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경우 그 구체적 사유와 근거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재화등의 교환ㆍ반품ㆍ보증 조건 및 품질보증 기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재화등의 A/S 관련 전화번호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대금을 환불받기 위한 방법과 환불이 지연될 경우 지연에 따른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및 배상금 지급의 구체적 조건 및 절차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소비자피해보상의 처리, 재화등에 대한 불만처리 및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분쟁처리에 관한 사항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거래에 관한 약관의 내용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및 페이지 하단의 이용약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