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1부에서는 나무, 숲, 교목, 관목, 잎, 뿌리, 줄기, 가지, 꽃, 열매 등 나무의 일반적인 속성들과 관련된 한자이야기를 들려준다. 근본 본(本)은 나무가 땅에 뿌리내린 모습이며, 저녁 묘(杳)는 나무 밑으로 해가 지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아침 단(旦)은 나무 위로 해가 떠오르는 모습일 것이다. 삼(森)은 나무가 한 없이 늘어서 있는 모습이이다. 우주간의 모든 현상을 의미하는 삼라만상(森羅萬象)도 삼에서 유래했다. 나무가 울창한 곳에 가면 그 누구도 쉽게 근접할 수 없다. 이런 모습이 바로 삼엄(森嚴)이다. 간(幹)은 나무의 줄기이다. 줄기는 나무를 버티는 힘이다. 도심을 통과하는 중심도로를 우리가 간선(幹線)도로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신문사에서 편집의 모든 것을 총괄하는 이도 주간(主幹)이라 한다. 저자는 이런 식으로 나무한자의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게 해 숲으로의 한자여행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2부에서는 소나무, 측백나무, 살구나무, 밤나무, 자두나무 등 우리가 잘 아는 나무와 모밀잣밤나무, 모감주나무, 초피나무 등 잘 모르는 나무를 골고루 40종을 골라 그에 얽힌 한자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책을 읽는 방법 중의 하나는 나무가 인간의 어떤 측면과 가까운가를 알아채는 일이다.
첫째, 춘하추동의 시간과 관련된 한자 중에 나무와 관련된 말이 많다. 음력 2월은 매견월(梅見月)이다. 매화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음력 삼월은 앵두꽃이 피기 때문에 앵월(櫻月)이라 한다. 5월 즈음을 향운(香雲)이라 한다. 꽃이 만발하면 향기가 구름처럼 자욱하기 때문이다. 벽오동꽃은 여름에 피어 음력 7월을 오월(梧月)이라 한다. 이즈음 방에 누워서 벽오동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듣는다면 무척 운치 있을 것이다. 이 비가 오동우(梧桐雨)다.
둘째, 인간이 머무는 곳에도 나무가 빠지지 않는다. 회화나무는 중국의 조정(朝廷)에 많이 심었다. 그래서 조정을 괴정이라 불렀고, 특히 중국 주나라 때 외조(外朝)에는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었는데, 삼공(三公, 태사·태부·태보)이 이를 향해 앉았다 해서 삼괴(三槐)’로 부르기도 했다. 중국 천자가 거처하는 곳은 괴신(槐宸)이다. 왜? 회화나무를 좋아해서 침실 맡에 심었기 때문이다. 나무엔 인간만 깃드는 것이 아니라 동물도 깃든다. 특히 회화나무의 썩은 껍질엔 개미가 많이 산다. 그래서 옛날에 개미를 괴안국(槐安國)이라 불렀다. 한편, 중국 주나라 무왕(武王)의 동생이었던 소백(召伯)이 남국을 순행할 때 감당(甘棠)나무 아래 머물러 송사를 처리했다. 이런 연유로 팥배나무 아래, 즉 당음(棠陰)은 관청을 의미한다. 옛날 정치에 관심을 두지 않으려는 사람들은 복사나무가 무성했던 곳에 소를 풀어놓고 지냈다. 그래서 소를 도림처사(桃林處士)라 한다.
셋째, 나무는 지식을 전파하는 수단이었다. 출판의 판목으로 많이 쓰였던 것이다. 배나무는 재질이 아주 단단해서 대추나무와 함께 책을 만드는 판목(版木)으로 많이 사용했다. 그래서 배나무와 대추나무를 의미하는 이조(梨棗)는 출판을 의미한다. 가래나무는 나무의 왕이다. 워낙 고급목재인지라 목수를 재인(梓人)이라 부를 정도였다. 가래나무는 왕의 관을 짜거나, 국가에서 중요한 책을 만들 때만 사용했다. “책을 상재(上梓)했다”고 할 때 재(梓)는 바로 가래나무다.
넷째, 나무는 오래 산다. 그래서 수명과 관련된 한자에 나무가 많이 들어 있다. 그 중에서도 참죽나무(椿)는 특히 오래 산다. 그래서 장수를 의미하는 춘년(椿年), 춘수(椿壽), 춘령(椿齡), 대춘(大椿)에는 모두 참죽나무가 보인다.
다섯째, 나무만큼 일상용품으로 많이 쓰인 재료가 있을까. 밤나무로는 신주를 만들었다. 그래서 신주를 율주(栗主)라 한다. 밤나무로 만든 다갈색 붓은 율미필(栗尾筆)이다. 소동파가 이 율미필로 시를 썼다. 오동나무로는 주로 악기를 만들었다. 오동으로 만든 거문고를 동군(桐君)이라 불렀다. 악기에 ‘자네’를 붙인 운치있는 발상이다. 계수나무로는 수레를 만들었다. 이 계거(桂車)는 아주 아름다웠다고 한다. 도끼는 모밀잣밤나무(柯)로 만드는 것이 으뜸이다. 도낏자루를 부가(斧柯)라고 한다. 이처럼 나무로 만든 물건과 그 물건을 부르는 예스러운 이름은 끝이 없으며 요즘에 쓰이는 것들도 많다.
여섯째, 저자는 나무와 관련된 편견을 계속 꼬집는다. 조선시대 사대부 강희안이 지은 『양화소록』이 대표적 사례로 불려온다. 꽃을 기른다는 의미의 양화(養花)가 잘못이라는 것이다. 이는 나무를 꽃으로만 인식하는 폐단이 스며있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버드나무를 나타내는 한자는 류(柳)와 양(楊)이다. 보통 양은 능수버들을, 류는 능수버들을 제외한 버드나무를 의미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저자는 꼭 그렇지는 않고 어원을 따져보면 오히려 거꾸로라고 주장한다. 나무 목과 토끼 묘(卯)를 합성한 류가 류(流)와 통하여 ‘흐르다’라는 뜻을 지니고 긴 가지가 흐르는 듯한 모습, 즉 능수버들을 뜻하기 때문이다.
3부에서는 나무의 철학을 다룬다. 저자는 죽은 나무에서 꽃 피는 고목생화의 일화를 알려주면서 나무의 죽음은 곧 삶이라고 말한다. 또한 나무의 이치인 목리(木理)를 말한다. 3부에서는 전반부와 달리 저자 개인의 체험을 많이 녹여서 서술했다. 한 대목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고등학교 시절까지 땔감으로 소죽을 끓이고 방을 데우기 위해 리어카를 끌고 나무를 하러 갔습니다. 지금도 베어 온 나무를 자르면서 겪었던 일을 잊을 수 없습니다. 나무를 자르다보면 어떤 경우에는 아주 쉽게 잘리고, 어떤 경우에는 아주 힘듭니다. 나무의 원리를 모를 땐 무조건 톱을 갈아서 힘껏 잘랐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한참 하다보면 지쳐서 계속할 수 없습니다. 나무를 자주 자르다보면 점점 나무의 원리를 알아갑니다. 나무를 자를 때 결대로 자르면 훨씬 쉽습니다. 혹 상처 난 자리에는 톱이 지나가기 어렵습니다. 나무는 상처 난 자리에 다시는 병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아주 단단하게 방어벽을 칩니다. (…) 나무의 결과 무늬를 보면 나무의 삶을 알 수 있습니다. 잘라진 나무의 결과 무늬를 보고 있노라면 눈물 날 만큼 아름답습니다. 나무의 결과 무늬는 나무가 살았던 흔적입니다. 나무의 흔적이 아름다운 것은 결대로 살았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결이 있습니다. 사람도 결대로 살 때 아름답습니다. 나무의 이치인 목리(木理)는 곧 사람의 이치인 인리(人理)이자 교육의 이치인 교리(敎理)입니다.”(336~338쪽)
풍부한 고전의 사례 인용
이 책에 나오는 나무의 한자이름은 대부분 고전(古典)에서 끌어온 것이다. 이 책의 묘미는 바로 고전 속의 흥미로운 일화를 만나는 것에 있다. 그 중 재미있는 이야기들이다.
-중국 파공(巴?)에 사는 사람이 뜰의 귤열매를 쪼개니 그 안에 두 노인이 바둑을 두고 즐거워하고 있었다. 그 이후 바둑의 즐거움을 일컬어 귤중지락(橘中之樂)이라 했다. (귤)
-중국 당나라 최신명(崔信明)은 풍락오강냉(楓落吳江冷), 즉 “단풍이 찬 오강에 떨어지네”라는 시를 남겼다. 그러나 정세익(鄭世翼)은 이 시를 보고 명성이 높았던 최신명에게 실망했다. 이 구절은 “보는 바가 듣는 바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단풍나무)
-신라 말 도선(道詵)은 『도선비기(道詵秘記)』에서 “5백년 뒤 오얏, 즉 이(李)씨 성을 가진 왕조가 들어설 것”이라 예언했다. 그래서 고려 중엽 이후에는 한양에 자두나무(李)를 심었다가 베곤 했다. 예언이 적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복사나무)
-뽕나무 가지는 창문을 만드는 원료였다. 가난한 사람은 집 근처에 심은 뽕나무 가지로 창문을 만들었다. 그래서 뽕나무로 만든 창문, 즉 상호(桑戶)는 가난한 집을 뜻한다. 가난한 집의 뽕나무 창문은 양쪽에서 여는 게 아니라 한쪽에서만 열 수 있었다. 갑골문에 나오는 호는 한쪽에서만 열 수 있는 글자다. (뽕나무)
-날다람쥐는 날고, 나무를 타고, 헤엄치고, 달리고, 흙을 파는 다섯 가지 재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어느 것 하나 전문성이 없기에 궁지에 빠지는 일이 많다. 이런 경우를 오서기궁(梧鼠技窮)이라 한다. 날다람쥐처럼 여러 일을 수박 겉핥기로 하지 말고 한 가지라도 잘 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오동나무)
-오동의 열매는 멀리서 보면 도깨비 방망이처럼 보인다. 자세히 보면 그 모양이 사람의 젖을 닮았다. 그래서 오동의 열매를 동유(桐乳)라 한다. 유(乳)는 조(爪), 자(子), 을(乙)을 합한 회의문자다. 조는 손을 아래로 향해 쥐는 모양을, 을은 유방을 뜻한다. 이 글자는 젖먹이로 하여금 젖을 향하게 하는 글자다. (오동나무)
-느릅나무의 다른 이름은 춘유(春楡) 혹은 유유(柳楡)다. 춘유는 느릅나무가 봄의 나무라는 뜻이고, 유유는 봄에 버드나무와 함께 이 나무로 불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봄에 느릅나무로 불을 얻은 것을 유화(楡火)라 한다. 옛날에는 철마다 불을 얻는 나무를 법으로 지정했다. 여름에는 대추나무와 살구나무, 늦여름에는 뽕나무와 산뽕나무, 가을에는 떡갈나무, 겨울에는 회화나무와 박달나무로 불을 취했다. 이러한 규정은 조선시대 법전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나온다. (느릅나무)
-중국 동진(東晋)시대 유명화가인 고개지(顧愷之)는 이웃집 아가씨를 사모했다. 속내를 전달할 수 없었던 그는 그녀를 그림으로 그려 가시 침으로 가슴을 찔렀다. 이에 묘하게도 고개지가 사모한 아가씨의 가슴에 가시가 박혀 병이 났다. 고개지는 그때를 노려 아가씨 집에 찾아가 낫게 했다. 이를 두고 극침자심(棘針刺心)이라 한다. (가시나무)
이 책이 나오기까지
나무에 대한 인문학적 저술을 펴내온 저자는 나무를 알려면 나무의 근본부터 파고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중국사를 전공한 저자는 평소 한자의 어원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해왔는데 한자의 기원을 알면 알수록 거기엔 나무와 관련된 내용들이 많았다고 한다. 저자가 이 책을 쓰기 위해 참조한 사전류는 아주 많다.
기원전 2세기에 전한(前漢)에서 오경(五經) 해석을 종합한 사전 형식의 책 『이아(爾雅)』. 『이아』를 발전시켜 후한의 유희(劉熙)가 편찬한 『석명(釋名, 8권)』. 저자가 한자 어원 공부에서 특히 자주 활용하는, 후한의 허신(許愼)이 지은 『설문해자(說文解字, 15권)』. 『설문해자』를 바탕으로 만든 『옥편(30권, 543)』. 청나라 초 장옥서(張玉書) 등이 편찬한, 표제자(表題字) 4만7천자의 초대형 사전인 『강희자전(康熙字典, 42권)』 등 방대하다.
이런 중국 사전류 말고도 저자가 특히 애독한 책은 우리나라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보군옥(大東韻譜群玉)』이다. 현재 전반부가 10권으로 번역돼 있는 이 책은 원나라 음시부(陰時夫)의 『운부군옥』에 기초해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편찬한 것으로 퇴계 학단의 박람강기가 유감없이 정리된 문화유산이다. 20권 20책의 방대한 이 책은 단군시대부터 당시까지 지리·국호(國號)·성씨·인명·효자·수령(守令)·선명(仙名)·목명(木名)·금수(禽獸) 등 11개의 항목을 한자의 운(韻)별로 정리·수록하고 있다.
이런 책들을 통해 나무와 관련된 한자들을 찾아내는 것은 저자에게 매우 행복한 일과였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책이 있다. 일본의 기념비적인 동양 학자이자 한학자인 모로하시 데츠지(諸橋轍次)가 편찬한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이다. 일생을 사전 편찬 작업에 바친 모로하시의 이 사전에서 저자는 나무 목(木)자로 이루어진 한자가 총 몇 자인지 궁금해서 찾아봤다. 모두 1,610자가 수록돼 있었다. 우리는 이번에 나온 『나무열전』에서 그 대부분을 만나볼 수 있다. 펼처보기
작가 소개
지은이 : 강판권
1961년 경남 창녕의 명산 화왕산 북쪽 기슭에서 농부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 때까지 농사일을 거들며 살았다. 1981년 계명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해 역사 학도의 길로 들어선 후, 대학원에서는 중국 청말 정치외교사를 공부해 석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1999년 여름,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농업으로 전공 분야를 바꿔 <중국의 청대 농업경제사>로 경북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수학(樹學)과 생태역사학을 구축하기 위해 나무와 생태 답사에 전념하고 있다. 나무 관련 책으로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세기》 《공자가 사랑한 나무, 장자가 사랑한 나무》 《차 한 잔에 담은 중국의 역사》 《중국을 낳은 뽕나무》 《나무열전》 《세상을 바꾼 나무》 《미술관에 사는 나무들》 《은행나무》 《조선을 구한 신목, 소나무》 《선비가 사랑한 나무》 《나무철학》 《자신만의 하늘을 가져라》 《회화나무와 선비문화》 《나무를 품은 선비》 등이 있으며, 전공 서적으로 《청대 강남의 농업경제》 《중국 황토고원의 산림훼손과 황사》 《청대 강남의 잠상농업과 잠상기술》《생태로 읽는 사기열전》 등이 있다.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 차
추천의 글
머리말
제1부 숲을 바라보며
나무란 무엇인가
나무가 많은 숲
키 작은 나무
키 큰 나무
뿌리
줄기와 가지
껍질
잎
꽃
열매
제2부 숲에서 줍는 한자
공작 벼슬을 얻은 소나무
신맛 열매를 가진 매화
서쪽으로 기운 측백나무
씨앗이 개를 죽이는 살구나무
껍질이 귀신 같은 회화나무
향기 나는 향나무
가시가 많은 대추나무
봄에 햇볕을 받아 싹이 올라는 참죽나무
산에서 자라는 돌배나무
열매로 점을 친 복사나무
신령스런 기운이 내리는 팥배나무
강인한 생명력을 자랑하는 버드나무
껍질로 불을 밝힌 자작나무
가지가 부드러운 뽕나무
하늘로 향하는 등나무
잎이 짝을 이루는 편백
밤송이가 주렁주렁 달린 밤나무
나무 중의 우두머리 가래나무
가시 돋친 가시나무
'마상이' 재료로 쓰인 느릅나무
새싹으로 차를 만드는 차나무
속이 빈 오동
평생 더부살이하는 칡
종이는 만드는 닥나무
홀을 만든 계수나무
목걸이 구슬 같은 열매 맺는 앵두
꽃이 줄지어 있는 산앵도나무
주렁주렁 열매가 많이 달리는 자두나무
갈고리 모양 도낏자루를 만든 모밀잣밤나무
열매에 씨앗이 꽉 차 있는 석류
바람 타고 열매가 날아가는 단풍나무
가지에 열매가 콩처럼 달린 초피나무
뗏목을 만든 풀명자
무성한 덤불 같은 개암나무
액체로 칠하는 옻나무
가시로 시위하는 귤
뭔가 많이 가진 박달나무
열매가 사람을 즐겁게 하는 상수리나무
벼처럼 생긴 대나무
꽃이 실처럼 엉켜 있는 모감주나무
제3부 숲을 나오며
나무의 죽음
나무의 이치
죽어서 집을 만드는 나무
주춧돌과 기둥
용마루와 들보
서까래
방과 마루
지도리
문
맺음말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