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간결하면서도 체계적인 서술,
이해하기 쉽게 도표로 정리한 불교 교리 입문서
*40년 불서출판의 명가, 민족사가 펴낸 ‘도표로 읽는’ 입문서 시리즈
‘불교’ 하면 딱딱하고 지루하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도표로 읽는 ○○』 시리즈는 그런 불교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불교의 역사와 교리, 사상을 담으면서도 ‘읽고 싶은 책’을 만들어 보자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 시리즈는 ‘도표’ 하면 떠오르는 전형적 이미지도 버리고 아기자기한 카툰을 통해 도표를 표현함으로써 한 편 한 편 그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꼭 알아야 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담아 불교의 기초를 알고자 하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짧지만 알찬 내용으로 구성하여 교재로 활용하기도 좋다.
*‘도표로 읽는’ 세 번째 시리즈,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
민족사의 ‘도표로 읽는’ 시리즈 첫 번째 책, 『도표로 읽는 불교 입문』(글 이자랑 ‧ 이필원, 그림 배종훈)은 불교는 어렵다는 막연한 선입견을 깬 책으로, ‘2016 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와 ‘올해의 불서 10’에 선정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두 번째 책 『도표로 읽는 경전 입문』(글 정운, 그림 배종훈)은 방대한 불교경전을 체계적으로 분류 · 해설하여 각 경전이 갖는 의미와 핵심 내용, 교훈 등을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번에 ‘도표로 읽는’ 시리즈 세 번째 책,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유튜브채널 ‘법상스님의 목탁소리’를 통해 종교를 초월해 7만여 구독자와 소통하고 있는 법상 스님이 글을 쓰고, 명상카툰과 그림으로 불교를 전해 온 용정운 작가가 도표를 그렸다. 법상 스님 특유의 유려한 필치로 막연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불교 교리를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서술하였고, 섬세하고 아기자기한 용정운 작가의 카툰과 도표는 어려운 불교 교리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담아내 불교를 처음 접한 독자들도 불교 교리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다.
트렌디한 스타일로 불교 본연의 깊이와 지혜를 담아낸
본격 불교 교리 입문서
“불교 공부는 사실 기초라고 여겨온 이 불교교리가 머리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삶으로 체화되고, 깨달아짐으로써 삶이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처음에도 이 공부이고, 공부의 끝에 가서도 결국에는 이 공부 하나만 남는다. (…) 공부를 하면 할수록 이 불교교리에 대해 탄복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떻게 부처님께서는 그 옛날 이 심플한 언어 속에 이토록 깊은 법을 담아내셨을까?”
-법상 스님 머리말 중에서
요즘은 마음치유나 스트레스 해소 등을 목적으로 마음공부와 명상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음공부와 명상의 사상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가르침을 제대로 전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불자, 타종교 신자, 무종교인에 이르기까지 종교와 상관없이 마음공부와 명상과 관련하여 불교 교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이다. 또 ‘내가 누구인지’, ‘삶의 의미는 무엇인지’ 등 삶의 근원에 대한 질문의 답을 얻기 위해 불교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많다.
글을 쓴 법상 스님은 『붓다 수업』(민족사 간행)과 ‘반야심경’ 해설서 등을 통해 불교 교리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집필해 왔는데, 그중에서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는 초심자들이 혼자 불교를 공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불교 교리 책, 혹은 불교대학 교재용으로 쓰이기에도 좋은 도표와 그림을 곁들인 교리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비단 불교 초심자뿐만 아니라, 마음공부와 명상을 통해 불교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도 불교 교리를 너무 어렵지 않게, 트렌디한 스타일로 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불교 본연의 깊이와 지혜를 담아낸 불교 교리 책이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불교 교리를 한눈에 쏙쏙
이 책은 총 일곱 개의 장으로 나누어 편집, 불교 교리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담아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는데,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장 ]연기법’에서는 불교 교리의 기본 바탕을 다룬다. 연기설(緣起說)과 인과(因果)의 법칙 등 불교 교리의 기본을 다지는 장이다.
2장 ‘삼법인’에서는 무상, 무아, 고, 열반 등 불교의 핵심 교리를 다루고 있다.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의 기준을 명확히 이해하고, 불교 수행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가르침을 두루 망라하여 설명하고 있다.
3장 ‘십이처와 십팔계’에서는 육근(六根), 육경(六境), 십이처(十二處), 십팔계(十八界) 등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 ‘여기는 어디인가?’의 삶의 근본적 문제를 다룬다.
4장 ‘오온’은 우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 또 느낌 ‧ 생각 ‧ 의지가 어떻게 생겨나는지에 대해 다룬다. 오온과 오온 무아를 통해 ‘‘나’는 있어? 없어?’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5장 ‘십이연기’에서는 부처가 깨달은 연기법인 십이연기에 대해 다룬다. 십이연기는 구체적으로 노병사(老病死)라는 인간 고(苦)의 문제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또한 어떻게 사라지는지를 연기적으로 밝혀 주는 가르침이다
6장 ‘사성제’에서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주제로 인생이 왜 괴로움인지, 괴로움이 왜 성스러운 진리인지, 괴로움의 12가지 원인과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12가지 길에 대해 다룬다.
7장 ‘불교의 수행법’에서는 중도, 팔정도를 통해 지혜롭고 풍요롭게 사는 법에 대해 다룬다.
“어려울 법한 내용들이 너무 재미있고, 한 장 한 장 넘어갈 때마다 깨달음의 순간들이 이어졌습니다. 앞에서 법문을 듣는 듯한 생생함과 자상하고 인자한 언어로 말씀해 주십니다. (중략) 이렇게 소중한 법문에 제 그림도 한몫을 할 수 있다는 뿌듯함과 법상 스님의 글을 읽어 가며 깨달음의 과정을 밟아 가실 수많은 독자 분들과 그 환희의 순간들을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도 설레었습니다.”
- 용정운 작가 머리말 중에서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는 매우 간결하고 체계적인 서술이 눈에 띈다. 『도표로 읽는 불교 교리』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 편 한 편 그 내용을 알 수 있도록 도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점이 매우 인상적이다. 읽고 보는 것만으로도 불교 교리가 일목요연하게 한눈에 쏙 들어오고, 불교의 윤곽이 그려지고, 어렵게 느껴졌던 불교 교리에 성큼 다가서게 하는 책, 그야말로 입문서다운 입문서, 최상의 입문서라는 입소문이 무색치 않다. 도표를 그린 용정운 작가의 말처럼, 이 책을 통해 어렵게만 느껴졌던 불교 교리를 재미있게 알아가는 환희의 순간들을 맞이하길 바란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법상
동국대 대학원에서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조계종 원로의원 불심도문 큰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다음카페‘ 목탁소리’ 지도법사이자, 군승(軍僧)으로 서울 용산의 원광사 주지 소임을 맡아 생활 속에서 마음을 닦고자 하는 이들의 마음공부를 이끌고 있다.
그는 생활 속에서 쉽게 마음공부와 선을 실천할 수 있는 글을 쓰기 시작했고, 그가 쓴 진지한 깨침의 글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00년, 그의 글과 설법을 듣고 모인 이들이 자발적으로 인터넷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를 만들었고, 이후 목탁소리는 종교와 계층을 초월하여 마음을 밝히고자 하는 모든 이들의 고향과 같은 귀의처로써 불교와 명상, 선 분야의대표적인 웹사이트가 되었다.
저서로는『 선어록과 마음공부』,『 반야심경과 마음공부』,『 반야심경과 선 공부』『, 불교경전과 마음공부』『, 365일 눈부신 하루를 시작하는 한마디』,『 마음공부 이야기』,『 히말라야, 내가작아지는 즐거움』『, 붓다수업』『, 날마다 해피엔딩』『, 눈부신 오늘』 등이 있다. 2005년에는‘ 한국문인’에서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그의 저서『 반야심경과 마음공부』는 불교출판문화협회에서 주관하는 2005년‘ 올해의 불서’로 선정되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에서‘ 장병의 시간’과‘ 법상스님의 목탁소리’를 진행했다. 다음카페 목탁소리에서는 불교교리강좌, 경전강의 등 다양한 동영상 강좌를 들을 수 있으며, 서울 용산 원광사에서 열린 불교강좌‘ 불교아카데미’를 개설해 독자들과함께하고 있다.
그린이 : 용정운
명상 카툰 작가, 불교 그림 작가. 여러 불교 언론 매체에서 명상 카툰을 연재하고, 삽화를 그리고 있다. BTN 불교TV에서 카툰 명상 <일상에서의 작은 깨달음>이 방영되었으며, 같은 제목의 명상 카툰집 『일상에서의 작은 깨달음』으로 2011년 올해의 불서 우수상을, 2012년 불교언론문화상 인물 부분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웹사이트 ‘이미지보리(www.imagebori.com)’를 운영하고 있다.
그림 작업에 참여한 책으로 『눈부신 하루를 시작하는 한마디』, 『내 안에 삶의 나침반이 있다』, 『어린이 반야심경』, 『이 순간』, 『부처님나라 개구쟁이들』, 『불자생활백서』, 『산사일기』 등이 있다.
목 차
머리말 4
1장 연기법
가상현실로 구현한 K팝 공연 14
무지개처럼 나도 세상도 진짜가 아니야 16
양자물리학, 홀로그램과 불교 18
티끌 속에 담긴 우주 21
연기란 무엇인가 24
무분별과 불이중도 26
법(法)의 두 가지 의미 28
연기ㆍ무아ㆍ자비ㆍ중도는 하나 30
인연생기, 인연화합 32
무(無)인데, 인연 따라 유(有)가 생겨났다 34
인과(因果) 끌어당김의 법칙 35
연기법의 생활 실천 38
2장 삼법인
진리의 기준 44
삼법인과 사법인 46
무상 세상 모든 것은 다 변해 47
무상 미시세계의 무상 49 무상
거시세계의 무상 50
무상 죽어도 못 보내 51
무상 변화에 내맡기고 푹 쉬기 52
무아 나 없음의 공허 혹은 자유 53
무아 몸도 소유물도 내가 아니야 54
무아 생각ㆍ성격ㆍ느낌도 내가 아니야 55
무아 내가 산다는 착각 56
고 내 뜻대로 안 되는 세상 58
고 4가지 괴로움 59 고 8가지 괴로움 61
고 집착할 만한 가치가 없다면? 63
열반 고(苦)의 소멸과 완전한 행복 66
열반 나를 괴롭게 하는 세 가지 독(毒) 67
열반 사실 괴로움은 없어, 본래 부처일 뿐 68
3장 십이처와 십팔계
일체법 나는 누구? 여기는 어디? 72
‘나’와 ‘내 밖’에는 무엇이 있을까? 74
육근 6가지 감각기능과 활동 75
육경 6가지 감각 대상 76
내가 오염될 때와 깨끗할 때 78
내가 있어 세계가 있다 80
세상이 아름답게 빛나는 순간 81
십이처 ‘나’와 ‘세상’은 어떻게 생겨날까? 84
십이처 세상 모든 것의 분류법 86
십이처 내가 볼 때만 있다 88
십이처 괴로움이 생기는 이유 90
십이처 나에게 이해된 세상일 뿐 91
십팔계 마음이 생겨나는 과정 93
십팔계 마음이 ‘나’라는 착각 94
십팔계 육식(六識), 괴로움을 내가 만들었다고? 95
십팔계 내가 만든 고(苦)에서 벗어나려면 96
4장 오온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의 실체, 촉 100
느낌ㆍ생각ㆍ의지의 탄생 101
세상 모든 것들의 3가지 분류법 102
이렇게 나라는 착각은 시작되었다 104
오온과 오온 무아 그래서 ‘나’는 있어? 없어? 105
색온(色蘊) 몸은 내가 아니야 106
수온(受蘊) 느낌은 내가 아니야 109
상온(想蘊) 생각은 내가 아니야 112
행온(行蘊) 의지는 내가 아니야 116
식온(識蘊) 마음은 내가 아니야 122
오온 무아 ‘나’는 왜 내가 아닌가 126
괴로움을 소멸하는 오온 128
육체적[色] 괴로움의 소멸 130
감정적[受] 괴로움의 소멸 131
관념적[想] 괴로움의 소멸 132
유위적[行] 괴로움의 소멸 134
인식적[識] 괴로움의 소멸 135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오온 명상 137
5장 십이연기
십이연기와 연기법 140
순관과 역관, 유전문과 환멸문 142
무명(無明) 144
행(行) 145
식(識) 148
명색(名色) 150
육입(六入) 152
촉(觸) 154
수(受) 155
애(愛) 156
취(取) 158
유(有) 159
생(生) 162
노사(老死) 163
6장 사성제
고(苦)와 고의 소멸에 대한 진리 168
고성제 인생이 왜 괴로움이지? 170
고성제 괴로움이 왜 성스러운 진리일까? 171
고성제 괴로움의 진리 받아들이기 172
고성제 괴로움은 거부할수록 지속된다 173
집성제 십이연기와 집성제 176
집성제 12가지 괴로움의 원인 177
집성제 괴로움의 핵심 원인, 무명과 애욕 180
멸성제 괴로움의 소멸 182
도성제 불교에 수행법이 많은 이유 185
도성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12가지 길 187
7장 불교의 수행법
중도 무분별의 지혜 198
중도 있는 그대로 200
중도 모든 교리는 중도의 다른 표현 201
중도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없어 202
중도 받아들임과 모를 뿐 203
팔정도 올바른 삶의 길 206
팔정도 정견(正見) 208
팔정도 정사(正思) 210
팔정도 정어(正語) 212
팔정도 정업(正業) 214
팔정도 정명(正命) 215
팔정도 정정진(正精進) 217
팔정도 정념(正念) 218
팔정도 정정(正定) 219
사념처와 중도, 팔정도 221
몸에 대한 관찰 223
느낌에 대한 관찰 226
마음에 대한 관찰 228
법에 대한 관찰 229
알아차림과 직지인심 240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