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작가 소개
이정식
서울 출생
경복고등학교 졸업
서울대 사대 지학과 졸업
홍콩(香港)대 중국어문과정 수료
ROTC 14기로 군복무
CBS, KBS 기자
CBS 워싱턴 특파원
CBS 정치부장, 부국장. CBS 청주 · 부산 본부장
CBS 해설위원장, 대구 본부장
CBS 사장
한국방송협회 부회장
(주)CBS노컷뉴스 회장
뉴스 1 사장, 부회장
청주대 신문방송학과 객원교수
사단법인 월드하모니 이사장
예술의 전당, 충무 아트센터 비상임 이사(현)
안중근 의사 홍보대사(현)
(주)서울문화사 사장(현)
수상: 서울대 언론인 대상(2009)
저서: 북경특파원(1985)
기사로 안 쓴 대통령 이야기(1992)
워싱턴 리포트(1995)
이정식의 청주파일(2000)
권력과 여인(2000)
이정식 가곡 에세이 『사랑의 시, 이별의 노래』(2011)
음반: 이정식 애창가곡 1, 2집(2001)
애창가곡 3집(2008)
애창한국가곡집(2011)
독창회(이정식과 친구들 음악회, 2009)
[해설이 있는 가곡음악회] 1~5회 해설진행(2016)
▣ 주요 목차
머리말_ 6
동무생각_ 순수했던 학창시절의 기억 | 23
한 송이 백합 같았던 짝사랑의 여학생 · 27 청라언덕을 찾아서 · 29
대구 사과나무의 시조 · 33 박태준과 〈오빠생각〉 · 36
화류계에서도 애창됐던 〈오빠생각〉 · 39 다시 찾은 청라언덕 · 42 한국 음악계의 선구자 · 43
남대문교회에 세워진 박태준 찬송가비 · 46 막내아들 박문식 씨와의 만남 · 47
희망의 나라로·그 집 앞_
〈희망의 나라로〉를 꿈꾸던 일본 압제하의 조선 민족 | 50
테너 이인범의 레퍼토리 · 53
〈조선의 노래〉를 국가 부르는 심정으로 불러 · 55 미국 유학 중 지은 〈고향생각〉과 〈산들바람〉 · 57 동우회 사건으로 10 개월간 감옥생활 · 61
민족과 친일 사이에서 방황하던 식민지의 예술인 · 62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오페라 〈춘향전〉 · 64 ‘대천 앞바다’로 불린 현제명의 면모 · 67 〈오라〉와 〈그 집 앞〉 · 69
관악캠퍼스의 서울음대 초대 학장 현제명 흉상 · 73
선구자_ 일송정은 있고 선구자는 없고 | 75
봄비를 맞으며 마산으로 · 75
조두남 기념관에서 마산음악관으로 바뀐 사연 · 77 조두남이 쓴 〈선구자〉 작곡의 전말 · 79
조두남에게 가사를 주고 간 시인 윤해영 · 81 윤해영은 친일작가인가 저항시인인가? · 87 윤해영을 친일시인이라고 보는 시각 · 89 윤해영을 저항시인으로 보는 시각 · 92 윤해영 시에 대한 상반된 해석 · 93 조두남에 대한 김영수의 변호 · 95
슬픈 민족역사의 깊은 상흔, 〈선구자〉 · 97
사공의 노래_ 강릉의 노래가 된 황해도 시인의 시 | 103
작사가 함효영 시인 셋째 아들과의 만남 · 103 경포 호숫가에 서 있는 노래비 · 105
고향의 노래·내 맘의 강물_ 친구가 보내온 고향의 시 | 115
성산동 살롱 음악회 · 115 드디어 담배를 끊다 · 118
『내 맘의 강물』 출판 기념 음악회 · 122 노래 잘 부르는 학생 · 126
무작정 상경 후 서라벌 예대 입학 · 126 교사 생활 초기에 지은 〈별〉 · 128
친구가 보내온 시 〈고향의 노래〉 · 131
내 마음 그 깊은 곳에·사랑이여 어디든 가서_
뒤늦게 찾아온 창작의 전성기에 지은 명작 | 134
이안삼의 헤이데이 ( heyday ) · 134
정년퇴임 후 상경하여 새로운 도전 · 138 인터넷 카페 개설 · 140
또 하나의 대표작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 141 새로운 가곡, 클래팝 장르를 열다 · 143 창작의 고통과 기쁨 · 148
해설이 있는 가곡음악회 (해가음) · 152
노 작곡가의 봉사에 성악가들 기꺼이 호응 · 153 유려한 글 솜씨, 적극적인 SNS 소통 · 155
스승 김동진 선생으로부터 많은 영향 받아 · 158
시조묘가 있는 강릉에 갔다가 지은 시 · 107 영화배우도 했던 함효영 시인 · 109 〈승방비곡〉의 마지막 장면 · 110
사업에 성공 후 국회의원에 출마하기도 · 113
강 건너 봄이 오듯·그대 창밖에서_
대표적인 봄의 노래 중 하나가 된 가곡 | 160
노래의 탄생과 성장 · 160
사설시조 〈소식〉을 〈강 건너 봄이 오듯〉으로 바꿔 · 164 오늘날의 임긍수를 있게 한 〈그대 창밖에서〉 · 167 한 번도 못 만난 작사가와 작곡가 · 169 시집에 없는 시 · 171
1973 년 이전에 쓰인 가사 · 172
노래가 된 자신의 시를 시집에 싣지 않은 시인들 · 174 노 (老) 시인의 〈잠 못 이룬 밤〉 · 175 전업 작곡가 · 177
브랜드가 된 평화음악회 · 180
독도의 사랑_ 〈홀로아리랑〉 후편으로 만든 가곡 | 183
조용필, 북측 요청으로 평양에서 〈홀로아리랑〉 불러 · 185 민족의 가슴을 적신 〈홀로아리랑〉 · 187 거센 바람 때문에 독도에 갇히다 · 189 마침내 노래를 만나다 · 191
조그만 얼굴의 외로운 섬 독도 · 194 바람의 선물 · 195
한돌, 통일 이후 부를 노래를 만들다 · 196
홍난파의 〈봉선화〉 작곡 전후_
윤치호 일기에서 발견된 홍난파의 협박 편지 | 207
유학파였던 우리 음악의 선구자들 · 207 윤치호, 홍난파에 유학자금 지원 · 208
홍난파의 당돌한 편지는 러시아 혁명의 영향인 듯 · 210 홍난파는 사비 유학생, 윤심덕은 관비 유학생 · 211
홍난파의 우울했던 1920 년, 〈봉선화〉의 멜로디가 탄생한 해 · 212 홍난파의 공 (功) 과 과 (過) · 214
〈동심초(同心草)〉의 원작자 설도를 찾아서_
중국 사천성에 있는 설도의 흔적 | 217 중국 사천성에 있는 설도의 흔적 · 217 대나무로 가득 찬 망강루 공원 · 219 두 개의 설도 상 · 223
망강루 공원은 설도 기념공원 · 224 마침내 교서 (校書) 가 된 설도 · 225
가곡 〈꿈〉의 원작자 황진이의 묘소_
개성에 복원된 ‘명월 황진이의 묘’ | 227
김억은 황진이를 ‘천재’로, 가람은 ‘뛰어난 예술가’라고 평함 · 229 가람 이병기의 황진이에 대한 설명 · 230
〈독도의 사랑〉을 가곡으로 만든 이유 · 198 노래 캐는 심마니 · 202
지난 시절, 히트곡 낸 후 오히려 상처 받아 · 203 산에 올라 노래를 떠올린다 · 205
〈가고파〉 원본에 대하여_ 내 마음 가 있는 그 벗에게 | 233
<바위고개> 그 후_ 사라진 작사가, 우리 현대사의 아픈 상처 | 241
작곡가 이름만 나와있는 <바위고개> 악보·242 월북 연출가 이서향과 <바우고개> 작사·246
고향의 봄·오빠생각_ 남북이 함께 부르는 고향과 봄의 노래 | 251
〈고향의 봄〉은 고향 창원을 그리며 쓴 동시 · 253 〈오빠생각〉의 최순애를 만나다 · 257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이 없고 · 259
공 (功) 과 과 (過) 를 함께 전시한 이원수문학관 · 260 이원수-최순애 부부의 삶과 사랑 · 264 나의 아내 · 265
그래도 의미 있는 이원수문학관 · 267
우리의 소원_ 원래의 노래 제목은 〈우리의 소원은 독립〉이었다 | 270
안병원, ‘가곡의 밤’ 무대에서 〈우리의 소원〉을 지휘 · 271 부자 (父子) 합작품 · 273
〈우리의 소원〉 노래비를 찾아서 · 276 노래비의 가사는 초기의 것 · 277
우리나라 삽화계의 선구자 안석주 · 278
〈우리의 소원〉이 흘러간 노래가 되기를…… · 280 해방 후 동요 보급 위해 ‘봉선화 동요회’ 창단 · 282
부록 1 _ ‘해설이 있는 가곡음악회’의 기록 | 290
가곡으로 역사를 공부하다 · 291
화려한 〈꽃구름 속에〉에 담긴 슬픈 진실 · 292 바리톤 오현명의 최후의 고백 · 293
같은 시로 지어진 가곡과 가요, 비교해 듣기도 · 294 해설이 있는 가곡음악회, 1 ~ 5 회 프로그램 · 295
부록 2 _ 작곡가 이안삼 인터뷰 | 300
“가곡은 우리의 정서가 담긴, 우리 민족의 자산입니다” · 300
부록 3 _ 작곡가 김효근의 감성 콘서트 | 308
‘그곳에서 울지 마오’ 한 구절 노랫말 쓰는 데 한 달 걸렸다 · 308 ‘ 147 명 예식장 합창’ 뒤 유명해진 〈내 영혼 바람 되어〉 · 310 아내에게 바치는 러브송 3 곡 모두 ‘히트’ · 311
〈황홀한 고백〉에서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말은〉으로 제목 바꿔 · 313 〈눈〉으로 대상 받은 후 팬레터 쏟아지는 등 아이돌급 인기 · 314
부록 4 _ 시인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 | 316
1956 년 명동이 만들어 낸 걸작 · 316
영화배우처럼 잘생긴 용모의 시인 · 321 강원도 인제에서 출생 · 325
수필,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 327 박인환 문학관 개관 · 328
통일의 날 판문점에서 남북합창단 지휘하는 것이 꿈이었건만 · 284
부록 5 _ 우리 가곡처럼 불렸던 〈아! 목동아〉(Danny Boy) | 332
곡 자체의 이름은 런던데리 에어 ( Londonderry Air ) · 332 현제명의 번안으로 널리 알려진 〈아! 목동아〉 · 336 부산에서 다시 만난 〈대니 보이〉 · 338
부록 6 _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 You Raise Me Up | 340
“ 10 월의~~”는 원래는 멜로디뿐인 연주곡 · 340 봄의 노래가 가을 노래로 바뀐 사연 · 342 ‘공동 작사’라는 것은 오해 · 344 가사로 성공한 노래 · 345 You Raise Me Up · 348 성경 속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가사 · 349
부록 7 _ 우리말 〈매기의 추억〉이 울려 퍼진 하얼빈의 정율성기념관 | 352
한국인으로 중국의 대음악가로 추앙받는 정율성 · 352 기념관의 조선 의열단 설명과 약산 김원봉 사진 · 355 형들을 따라 항일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건너가 · 356
부록 8 _ 험난했던 한 오케스트라의 독도 상륙작전 | 359
독도를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 · 359
가곡 〈독도의 사랑〉을 곡목으로 정하고 · 361 험난했던 독도 가는 바닷길 · 363 마침내 독도에 상륙 · 364
속히 추진되어야 할 독도 입도지원센터 건립 · 367
독도 방문은 애국 순례 · 368
부록 9 _ 김동규와 김태촌, 두 콧수염 사나이의 만남 | 371
최고의 ‘주먹’과 최고의 ‘목소리’가 만났다 · 374
부록 10 _ 도시샤(同志社) 대학의 정지용·윤동주 시비(詩碑) | 376
정지용 시비 · 377 윤동주 시비 · 378
이승신 시인의 ‘윤동주 시비 · 381
부록 11 _ 『사랑의 시, 이별의 노래』의 차례 | 384
제품소재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
색상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치수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조자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조연월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품질보증기준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A/S 책임자와 전화번호 |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재화 등의 배송방법에 관한 정보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
주문 이후 예상되는 배송기간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 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반품비용 등에 관한 정보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경우 그 구체적 사유와 근거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재화등의 교환ㆍ반품ㆍ보증 조건 및 품질보증 기준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재화등의 A/S 관련 전화번호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대금을 환불받기 위한 방법과 환불이 지연될 경우 지연에 따른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및 배상금 지급의 구체적 조건 및 절차 |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
소비자피해보상의 처리, 재화등에 대한 불만처리 및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분쟁처리에 관한 사항 |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
거래에 관한 약관의 내용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및 페이지 하단의 이용약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