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전원생활, 낭만만 생각하면 큰코 다친다!
도시민들이 귀촌을 너무 쉽게 생각해 치밀한 계획과 준비 없이 결행하면 정착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막상 귀촌 생활을 시작했지만 소득 문제, 자녀 교육, 원주민 텃세 등의 현실적인 벽에 부딪혀 좌절을 맛본 이들이 적지 않다. (...) 귀촌하면 누구나 오롯이 전원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이다. 오히려 일자리를 구하거나 펜션, 가공식품, 음식점, 체험·관광시설 등 귀촌 창업을 통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귀촌인이 태반이다.
결국 귀촌은 유행에 따른 즉흥적·낭만적 결정이 아니라 인생 2막의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 끝에 선택해야 한다.
어떤 땅에 터를 잡을 것인가, 땅테크!
‘전원생활은 입지다.’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중환(1690∼1752)이 『택리지(擇里志)』에서 밝힌 것처럼 주거할 땅을 선택할 때는 지리(풍수), 생리(경제), 인심(사회), 산수(자연)를 두루 고려해야 한다. 인구가 밀집된 도시보다 전원생활에서 더욱 중요하다. 입지 선정은 실제 전원생활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 첫 단추를 끼우는 출발점이다. 여기서부터 잘못되면 이후 집짓기와 초기 전원생활까지 모든 게 틀어진다. 나와 가족의 새로운 제2의 고향이요, 쉼터이자 일터이고 삶터를 구하는 일이다. 전국을 몇 바퀴 돌더라도 꼭 ‘인연의 터’를 만나겠다는 간절한 소망과 끈기 있는 발품이 필요하다.
집 잘못 지으면 몸도 마음도 골병든다, 집테크!
‘집 한 번 지으면 10년 더 늙는다.’ 이 한마디는 집짓기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대변한다. 특히 단지형 전원주택이 아닌 농지(논·밭·과수원)나 산지(임야)를 사서 집을 짓는 경우엔 이 말이 더욱 실감난다. 이 경우에는 농·산지 전용 과정을 거쳐 건축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여간 까다롭고 복잡한 게 아니다. 여기에 더해 집을 짓는 과정에서 실제로 겪는 스트레스와 시공업체와의 마찰 등도 피할 수 없다. (...) 도시인이 농·산지를 전용해 전원주택을 짓고자 할 때 대지 면적은 가급적 660m²(약 200평)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수도권과 광역시 이외 읍면 지역에 집을 지을 경우 농어촌 주택에 해당되기 때문에...
전원생활, ‘성공’이 아니라 ‘행복’이 답이다!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만나는 선배란 결국 ‘성공한’ 선도 농업인, 귀농·귀촌인이다. 여기서 성공이란 (귀농인을 예로 들자면) 고부가 작물 재배를 통해 고소득을 올리는 소위 ‘억대 부농’을 말한다. 물론 이들로부터 비단 성공의 결과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의 실패와 좌절, 그것을 딛고 다시 일어선 용기와 열정 등에서 많은 깨달음과 교훈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국 ‘나도 할 수 있다’는 긍정을 넘어 자칫 누구나 귀농에 성공할 수 있다는 잘못된 환상을 심어 줄 가능성이 높다. (...) 사실 ‘성공’이란 단어는 돈, 명예, 권력 등 도시적 가치를 아우른다. 새로운 인생 2막의 터전인 전원으로 들어와 안식, 느림, 힐링 등 전원의 가치를 담고자 한다면, 이 도시의 가치들을 하나씩 내려놓아야 한다.
▣ 작가 소개
저 : 박인호
서울에서 22년간 경제전문기자로 활동하다가, 2010년 가을 일찌감치 새로운 인생2막을 열기 위해 가족과 함께 강원도 홍천 산골로 들어갔다. 기자라는 전문직업인에서 농군으로 변신해 유기농업·자연재배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영농에 종사하는 한편, 경제전문기자의 경력을 십분 살려 ‘전원칼럼리스트’이자 ‘전원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다.
신문과 매거진 등에 귀농·귀촌 컬럼을 쓰는 외에 KBS1라디오 싱싱농수산 ‘귀농귀촌교실’에 고정 출연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서울시농업기술센터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종합센터, 노사발전재단, 농협대학, 공기업 및 민간기업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또 인터넷카페 ‘박인호의 전원별곡-청산에 살어리랏다’를 운영하면서, 도시인의 로망인 귀농·귀촌, 전원생활의 준비 및 실행, 이후 안정적인 정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정보와 노하우, 경험을 나누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전원생활도 재테크다> <인생2막 귀농귀촌-난 이곳으로 간다> <1억으로 짓는 힐링한옥> 등이 있다.
현재 5785㎡(1750평) 규모의 땅에 아내, 두 딸과 함께 집과 창고, 비닐하우스 등을 짓고 각종 밭작물을 재배하며 농부이자 전원전문가의 삶을 사는 그는 앞으로 논과 밭, 과수원이 조화를 이룬 삼위일체형 농장을 만들고, 나아가 가족기업 형태의 6차 산업 농장을 만들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
▣ 주요 목차
여는 글 행복한 자연인 농부로 살아가기 004
1장 시골로 간 경제통
자연의 리듬에 맞춰 사는 전원생활 016
전원의 봄, 생명을 노래하다 / 019
오늘도 벗는다, 그리고 걷는다 / 022
박 씨네 오이가 맛있는 까닭 / 025
도시 내려놓기, 자연인 되기 / 028
직접 보고 느끼고 얻는 즐거움 / 031
전원에서의 전쟁과 평화 / 034
‘대산’ 아닌 ‘행산’을 떠나 보자 / 037
자연의 친구 사귀기 / 040
늘 푸른 겨울 소나무가 주는 교훈 / 043
‘축복의 작물’ 고구마 예찬 / 046
유쾌한 고질병 전원중독증 / 049
2장 전원생활, 낭만만 있는 게 아니다
시골에 대한 몇 가지 착각 / 054
시골 공동체와 사라진 까치밥 / 058
원주민 VS 도시인 / 062
행복한 전원생활의 첫 번째 조건은 ‘이웃’ / 066
‘진짜’가 사라지고 있다 / 070
시골은 시골다워야 시골이다 / 073
시련의 겨울,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 076
전원생활의 불청객 ‘권태’ / 080
3장 전원생활도 전략이 필요하다
자연이 주는 불편함까지 기꺼이 즐겨라 / 086
전원생활은 낭만이 아니라 현실이다 / 089
왜 도시를 떠나 시골로 가는가 / 092
전원생활 준비, 공부부터 시작하라 / 096
이왕이면 ‘트랜스포머 전원인’이 되라 / 099
나쁜 멘토를 조심하라 / 103
도시의 시간 내려놓기 / 106
월 100만 원이면 시골에서 살 수 있을까 / 108
여자 혼자 시골에서 살 수 있을까 / 112
자녀 교육 문제, 어떻게 해야 할까 / 115
4장 농부이자 자연인으로 살아가기
농부로 살면서 깨달은 몇 가지 / 122
베테랑 농부도 피하지 못하는 ‘풍년의 저주’ / 126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땅 구하기 / 130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1 - 똥 살리기, 땅 살리기 / 133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2 - 효자 풀과 치유의 농업 / 136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3 - 뽕나무와 토종 민들레 / 139
못난 옥수수가 채워 주는 마음의 곳간 / 142
농사는 원래 대박이다 / 145
5장 땅 테크! 좋은 땅, 나쁜 땅, 이상한 땅
전원생활도 재테크, 아는 만큼 보인다 / 150
빨리 땅부터 사라고? / 154
입지 선정, 이렇게 해보자 / 157
좋은 땅, 나쁜 땅, 이상한 땅 / 161
땅과의 금지된 사랑 / 165
인연의 땅, 입지 여행을 떠나 볼까 / 169
산 좋고 물 좋은 자연 명당 찾기 / 173
돈 되는 전원 명당 찾기 / 177
좋은 땅 저렴하게 사기 / 181
시골 땅 알박기를 조심하라 / 185
기획 영농 부동산 사기의 덫 피하기 / 188
6 장 집 테크! 좋은 집, 나쁜 집, 이상한 집
내 맘대로 짓기보다 잘 팔릴 전원주택을 지어라 / 194
전원주택도 겉보단 속이다 / 198
집짓기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 202
집짓기 예산, 얼마가 필요할까 / 206
살기좋은 집 터 구하기 / 209
좋은 집, 나쁜 집, 이상한 집 / 212
진정한 힐링 하우스 짓는 노하우 / 216
주거 신토불이 / 219
대안 주거시설 활용법 / 221
주택 관리, ‘맥가이버형’ 인간이 되라 / 224
7장 전원생활, 성공이 아니라 행복이다!
마음을 비울 줄 아는 지혜 / 230
진짜 농민이 되려면 법을 알아야 한다 / 234
지속 가능한 전원생활을 위한 재테크 / 238
귀농 / 귀촌, 6차 산업에서 길을 찾아라 / 241
6차 산업 선진국 일본의 사례에서 배운다 / 245
‘과열’ 귀농 / 귀촌 어떻게 해야 할까 / 249
경쟁이 일상이 되어 버린 시골에서 살아남기 / 253
‘성공’ 아닌 ‘행복’ 귀농이 정답이다 / 256
맺는 글 시골에서 부르는 만학의 노래 / 260
전원생활, 낭만만 생각하면 큰코 다친다!
도시민들이 귀촌을 너무 쉽게 생각해 치밀한 계획과 준비 없이 결행하면 정착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막상 귀촌 생활을 시작했지만 소득 문제, 자녀 교육, 원주민 텃세 등의 현실적인 벽에 부딪혀 좌절을 맛본 이들이 적지 않다. (...) 귀촌하면 누구나 오롯이 전원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이다. 오히려 일자리를 구하거나 펜션, 가공식품, 음식점, 체험·관광시설 등 귀촌 창업을 통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귀촌인이 태반이다.
결국 귀촌은 유행에 따른 즉흥적·낭만적 결정이 아니라 인생 2막의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 끝에 선택해야 한다.
어떤 땅에 터를 잡을 것인가, 땅테크!
‘전원생활은 입지다.’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중환(1690∼1752)이 『택리지(擇里志)』에서 밝힌 것처럼 주거할 땅을 선택할 때는 지리(풍수), 생리(경제), 인심(사회), 산수(자연)를 두루 고려해야 한다. 인구가 밀집된 도시보다 전원생활에서 더욱 중요하다. 입지 선정은 실제 전원생활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 첫 단추를 끼우는 출발점이다. 여기서부터 잘못되면 이후 집짓기와 초기 전원생활까지 모든 게 틀어진다. 나와 가족의 새로운 제2의 고향이요, 쉼터이자 일터이고 삶터를 구하는 일이다. 전국을 몇 바퀴 돌더라도 꼭 ‘인연의 터’를 만나겠다는 간절한 소망과 끈기 있는 발품이 필요하다.
집 잘못 지으면 몸도 마음도 골병든다, 집테크!
‘집 한 번 지으면 10년 더 늙는다.’ 이 한마디는 집짓기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대변한다. 특히 단지형 전원주택이 아닌 농지(논·밭·과수원)나 산지(임야)를 사서 집을 짓는 경우엔 이 말이 더욱 실감난다. 이 경우에는 농·산지 전용 과정을 거쳐 건축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여간 까다롭고 복잡한 게 아니다. 여기에 더해 집을 짓는 과정에서 실제로 겪는 스트레스와 시공업체와의 마찰 등도 피할 수 없다. (...) 도시인이 농·산지를 전용해 전원주택을 짓고자 할 때 대지 면적은 가급적 660m²(약 200평)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수도권과 광역시 이외 읍면 지역에 집을 지을 경우 농어촌 주택에 해당되기 때문에...
전원생활, ‘성공’이 아니라 ‘행복’이 답이다!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만나는 선배란 결국 ‘성공한’ 선도 농업인, 귀농·귀촌인이다. 여기서 성공이란 (귀농인을 예로 들자면) 고부가 작물 재배를 통해 고소득을 올리는 소위 ‘억대 부농’을 말한다. 물론 이들로부터 비단 성공의 결과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의 실패와 좌절, 그것을 딛고 다시 일어선 용기와 열정 등에서 많은 깨달음과 교훈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국 ‘나도 할 수 있다’는 긍정을 넘어 자칫 누구나 귀농에 성공할 수 있다는 잘못된 환상을 심어 줄 가능성이 높다. (...) 사실 ‘성공’이란 단어는 돈, 명예, 권력 등 도시적 가치를 아우른다. 새로운 인생 2막의 터전인 전원으로 들어와 안식, 느림, 힐링 등 전원의 가치를 담고자 한다면, 이 도시의 가치들을 하나씩 내려놓아야 한다.
▣ 작가 소개
저 : 박인호
서울에서 22년간 경제전문기자로 활동하다가, 2010년 가을 일찌감치 새로운 인생2막을 열기 위해 가족과 함께 강원도 홍천 산골로 들어갔다. 기자라는 전문직업인에서 농군으로 변신해 유기농업·자연재배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영농에 종사하는 한편, 경제전문기자의 경력을 십분 살려 ‘전원칼럼리스트’이자 ‘전원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다.
신문과 매거진 등에 귀농·귀촌 컬럼을 쓰는 외에 KBS1라디오 싱싱농수산 ‘귀농귀촌교실’에 고정 출연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서울시농업기술센터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종합센터, 노사발전재단, 농협대학, 공기업 및 민간기업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또 인터넷카페 ‘박인호의 전원별곡-청산에 살어리랏다’를 운영하면서, 도시인의 로망인 귀농·귀촌, 전원생활의 준비 및 실행, 이후 안정적인 정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정보와 노하우, 경험을 나누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전원생활도 재테크다> <인생2막 귀농귀촌-난 이곳으로 간다> <1억으로 짓는 힐링한옥> 등이 있다.
현재 5785㎡(1750평) 규모의 땅에 아내, 두 딸과 함께 집과 창고, 비닐하우스 등을 짓고 각종 밭작물을 재배하며 농부이자 전원전문가의 삶을 사는 그는 앞으로 논과 밭, 과수원이 조화를 이룬 삼위일체형 농장을 만들고, 나아가 가족기업 형태의 6차 산업 농장을 만들겠다는 꿈을 갖고 있다.
▣ 주요 목차
여는 글 행복한 자연인 농부로 살아가기 004
1장 시골로 간 경제통
자연의 리듬에 맞춰 사는 전원생활 016
전원의 봄, 생명을 노래하다 / 019
오늘도 벗는다, 그리고 걷는다 / 022
박 씨네 오이가 맛있는 까닭 / 025
도시 내려놓기, 자연인 되기 / 028
직접 보고 느끼고 얻는 즐거움 / 031
전원에서의 전쟁과 평화 / 034
‘대산’ 아닌 ‘행산’을 떠나 보자 / 037
자연의 친구 사귀기 / 040
늘 푸른 겨울 소나무가 주는 교훈 / 043
‘축복의 작물’ 고구마 예찬 / 046
유쾌한 고질병 전원중독증 / 049
2장 전원생활, 낭만만 있는 게 아니다
시골에 대한 몇 가지 착각 / 054
시골 공동체와 사라진 까치밥 / 058
원주민 VS 도시인 / 062
행복한 전원생활의 첫 번째 조건은 ‘이웃’ / 066
‘진짜’가 사라지고 있다 / 070
시골은 시골다워야 시골이다 / 073
시련의 겨울,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 076
전원생활의 불청객 ‘권태’ / 080
3장 전원생활도 전략이 필요하다
자연이 주는 불편함까지 기꺼이 즐겨라 / 086
전원생활은 낭만이 아니라 현실이다 / 089
왜 도시를 떠나 시골로 가는가 / 092
전원생활 준비, 공부부터 시작하라 / 096
이왕이면 ‘트랜스포머 전원인’이 되라 / 099
나쁜 멘토를 조심하라 / 103
도시의 시간 내려놓기 / 106
월 100만 원이면 시골에서 살 수 있을까 / 108
여자 혼자 시골에서 살 수 있을까 / 112
자녀 교육 문제, 어떻게 해야 할까 / 115
4장 농부이자 자연인으로 살아가기
농부로 살면서 깨달은 몇 가지 / 122
베테랑 농부도 피하지 못하는 ‘풍년의 저주’ / 126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땅 구하기 / 130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1 - 똥 살리기, 땅 살리기 / 133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2 - 효자 풀과 치유의 농업 / 136
자연과 함께하는 농사짓기 3 - 뽕나무와 토종 민들레 / 139
못난 옥수수가 채워 주는 마음의 곳간 / 142
농사는 원래 대박이다 / 145
5장 땅 테크! 좋은 땅, 나쁜 땅, 이상한 땅
전원생활도 재테크, 아는 만큼 보인다 / 150
빨리 땅부터 사라고? / 154
입지 선정, 이렇게 해보자 / 157
좋은 땅, 나쁜 땅, 이상한 땅 / 161
땅과의 금지된 사랑 / 165
인연의 땅, 입지 여행을 떠나 볼까 / 169
산 좋고 물 좋은 자연 명당 찾기 / 173
돈 되는 전원 명당 찾기 / 177
좋은 땅 저렴하게 사기 / 181
시골 땅 알박기를 조심하라 / 185
기획 영농 부동산 사기의 덫 피하기 / 188
6 장 집 테크! 좋은 집, 나쁜 집, 이상한 집
내 맘대로 짓기보다 잘 팔릴 전원주택을 지어라 / 194
전원주택도 겉보단 속이다 / 198
집짓기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 202
집짓기 예산, 얼마가 필요할까 / 206
살기좋은 집 터 구하기 / 209
좋은 집, 나쁜 집, 이상한 집 / 212
진정한 힐링 하우스 짓는 노하우 / 216
주거 신토불이 / 219
대안 주거시설 활용법 / 221
주택 관리, ‘맥가이버형’ 인간이 되라 / 224
7장 전원생활, 성공이 아니라 행복이다!
마음을 비울 줄 아는 지혜 / 230
진짜 농민이 되려면 법을 알아야 한다 / 234
지속 가능한 전원생활을 위한 재테크 / 238
귀농 / 귀촌, 6차 산업에서 길을 찾아라 / 241
6차 산업 선진국 일본의 사례에서 배운다 / 245
‘과열’ 귀농 / 귀촌 어떻게 해야 할까 / 249
경쟁이 일상이 되어 버린 시골에서 살아남기 / 253
‘성공’ 아닌 ‘행복’ 귀농이 정답이다 / 256
맺는 글 시골에서 부르는 만학의 노래 / 260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