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추사, 추사의 서화 그리고 조선말기의 정치에 대한 치열한 논쟁의 단초를 제기하다.
“우리가 알아왔던 추사 김정희는 추사가 아니었다.”
괜히 어깃장을 놓자는 게 아니다. 이런 주장을 하게 된, 또는 놀라운 깨달음을 얻게 된 시초는 우리 서화에 대한 기존 해설의 빈약함과 왜곡에서 출발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며 현란한 용어를 구사하는 해설가들 앞에서 일단 고개를 끄덕이긴 했지만, “알게는 된 것 같은데 뭐가 보인다는 걸까?” 하는 내면의 의구심은 잠재우지 못했다.
현역 화가인 저자는 한국화, 나아가 중국을 포함한 동양화에 대해 큰 의문을 품어왔다. 우리의 그림은 왜 이리 단순한 표현에 머물고 있는가? 우리가 잘 모르는, 표현상의 어떤 암묵적 제약이 있기 때문일까? 반대로, 혹시 그 제약이란 것이 어떤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많은 서화들을, 특히 진경산수화가 등장하기 전후의 서화들을 읽어내면서 저자는 일종의 벽을 느끼게 되었다. 이를 풀기 위해 그림 자체뿐 아니라 주류 성리학과 비주류 실학 및 고증학, 아울러 당대의 정치적 맥락 등을 꼼꼼히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이는 저자를 감춰진 비밀을 추적해 들어가는 탐정(?)으로 만들어놓았다.
그 첫 번째 대상으로 저자는 추사에 집중했다. 추사가 살았던 시대는 세도정치가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다. 정조가 승하한 후 자기 아버지 세대에서 조선 실학의 꽃망울이 꺾이는 과정을 두 눈으로 지켜보며 성장한 추사는 실학의 씨앗 격인 고증학에 눈을 돌리게 된다. 배움의 최종 목표를 ‘치국평천하’에 두고 있는 유자(儒者)라면 마땅히 자신의 배움을 세상의 밝은 도리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배우고 그렇게 길러진 사람들이 조선의 선비들이다. 김정희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문예인이기 이전에 정치인이었던 김정희가 10년의 세월을 고증학에 바쳤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무렵 추사의 속내를 가늠할 수 있는 찬문이 남아 있다.
?實在書(핵실재서) 책에 쓰여 있는 것의 실상을 조사하여
窮理在心(궁리재심) 마음속 답답함에 이치를 세우고자 하나
攷古證今(고고증금) 옛 것을 상고하여 오늘의 증거로 삼고자 하여도
山海崇心(산해숭심) 산같이 높은 위업을 바다같이 깊은 물이 막아서네
(*이 찬문에 대해 최완수 선생은 “사실을 밝히는 것은 책에 있고, 이치를 따지는 것은 마음에 있는데, 옛날을 살펴 지금을 증명하니, 산과 바다처럼 높고 깊다”라고 해석하였다.)
이 찬문을 통해 추사가 고증학에 몰두했던 이유가 드러난다. 옛 경서의 뜻을 헤아려 마음속 답답함을 풀어내고 오늘의 문제에 증거로 쓰기 위함이란다. 일견 당연한 듯 보이는 문장이나, 조금만 깊이 생각해보면 이는 성리학에 대한 도전장과 다름없다. 성리학은 공자의 가르침을 주자가 해설한 것을 정설로 삼으며, 조선이 주자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았다는 것은 주희를 공자의 공식 대변인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나 같다. 이렇듯 이미 주희가 공자의 가르침을 알기 쉽게 다 설명해주었는데, 무엇이 답답하다는 것이고 무엇을 증명하고자 한다는 것인가. 추사는 조선의 성리학자들을 향해 “공자께서는 그리 말씀하신 적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고증학을 연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추사가 조선에 공자를 직접 모셔오려 했던 것은 조선 성리학의 폐해와 허구성을 바로잡기 위함이었다.
추사의 큰 뜻은 효명세자(후일 익종으로 추존)의 스승으로서 왕세자가 부왕 순조의 대리청정을 하고 있을 때 잠시 펼쳐지려 했으나, 그의 요절로 꺾이고 만다. 복권한 안동김씨들은 추사를 제1의 위험인물로 표적 삼았다. 그들의 세도를 흔들림 없이 했던 것은 조선성리학이라는 이념의 독점이었는데, 추사는 바로 그 이념에 근본적인 도전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들은 어떻게든 추사를 제거하려 했고, 추사는 이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는 한편 정치적 의지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했다. 그 장치란 다름 아닌 그의 서화였다. 자신의 복귀를 위한 노력과 흥선대원군을 통한 정치적 목표의 추구는 모두 정적들이 알아볼 수 없는 서화 속으로 감춰지게 된다. 그가 숨겨놓은 한 글자, 하나의 선과 점도 쉬 보아서는 안 되는 이유는 가장 암울했던 시기를 살았던 천재 김정희의 정치관과 정책 방안이 교묘하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그의 서화 속에 숨어 있는 추사의 뜻을 밝혀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며, 독자들은 저자의 흥미진진한 논지 전개를 따라가며 과연 오늘날 누가 추사의 본 모습을 제대로 밝혀내고 있는지 판정하게 될 것이다.
▣ 작가 소개
저자 : 이성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는 20회의 국내외 개인전과 동아미술상 수상작가전을 비롯한 150여 회의 단체전 그리고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현역 화가이다.
30년간 작가이자 교육자로 활동하면서, 지나치게 문헌 연구 중심으로 경도된 미술 이론들을 접하며 많은 문제점과 병폐를 절감하였다. 이에 화석화된 미술사 연구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작품 중심의 연구 풍토를 환기시키고자, 정설로 자리매김 된 기존 한국미술사에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바른 미술사는 어떻게 정립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화가의 눈으로 확인한 추사의 모습을 기록하였다.
▣ 주요 목차
글을 시작하며
1부 천재가 설계한 미로
모질도 ??圖
추사 읽기
계산무진 谿山無盡·조화첩 藻花牒·산숭해심 유천희해 山崇海深 遊天戱海
사서루 賜書樓·잔서완석루 殘書頑石樓·죽로지실 竹爐之室·일로향실 一爐香室
2부 대밭에 묻힌 추사
신안구가 新安舊家
설백지성 雪白之性
지란병분 芝蘭?芬
불가의 친구
선면산수도
공유사호편애죽 公有私呼扁愛竹
3부 추사의 가면극
화법유장강만리 서집여고송일지 畵法有長江萬里 書執如孤松一枝
오악규릉하집개 육경흔시사파란 五岳圭楞河執槪 六經?木氏史波瀾
경경위사 經經緯史
황룡가화 黃龍嘉禾
황화주실 黃花朱實·황화주실수령장 黃花朱實壽令長
숭정금실 崇禎琴室
춘풍대아능용물 추수문장불염진 春風大雅能容物 秋水文章不染塵
직성유관하 수구만천동 直聲留關下 秀句滿天東·삼십만매수하실 三十萬?樹下室
차호명월성삼우 호공매화주일산 且呼明月成三友 好共梅花住一山
일독이호색삼음주 一讀二好色三飮酒
대팽두부과강채 고회부처아여손 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
강성계하다서대 동자편중유옥배 康成階下多書帶 董子篇中有玉杯·만수기화천포약 일장수죽반상서 万樹琪花千圃葯 一莊修竹半狀書酒
일광출동여왕월 옥기상천위백운 日光出洞如旺月 玉氣上天爲白雲
글을 마치며
추사, 추사의 서화 그리고 조선말기의 정치에 대한 치열한 논쟁의 단초를 제기하다.
“우리가 알아왔던 추사 김정희는 추사가 아니었다.”
괜히 어깃장을 놓자는 게 아니다. 이런 주장을 하게 된, 또는 놀라운 깨달음을 얻게 된 시초는 우리 서화에 대한 기존 해설의 빈약함과 왜곡에서 출발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며 현란한 용어를 구사하는 해설가들 앞에서 일단 고개를 끄덕이긴 했지만, “알게는 된 것 같은데 뭐가 보인다는 걸까?” 하는 내면의 의구심은 잠재우지 못했다.
현역 화가인 저자는 한국화, 나아가 중국을 포함한 동양화에 대해 큰 의문을 품어왔다. 우리의 그림은 왜 이리 단순한 표현에 머물고 있는가? 우리가 잘 모르는, 표현상의 어떤 암묵적 제약이 있기 때문일까? 반대로, 혹시 그 제약이란 것이 어떤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많은 서화들을, 특히 진경산수화가 등장하기 전후의 서화들을 읽어내면서 저자는 일종의 벽을 느끼게 되었다. 이를 풀기 위해 그림 자체뿐 아니라 주류 성리학과 비주류 실학 및 고증학, 아울러 당대의 정치적 맥락 등을 꼼꼼히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이는 저자를 감춰진 비밀을 추적해 들어가는 탐정(?)으로 만들어놓았다.
그 첫 번째 대상으로 저자는 추사에 집중했다. 추사가 살았던 시대는 세도정치가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다. 정조가 승하한 후 자기 아버지 세대에서 조선 실학의 꽃망울이 꺾이는 과정을 두 눈으로 지켜보며 성장한 추사는 실학의 씨앗 격인 고증학에 눈을 돌리게 된다. 배움의 최종 목표를 ‘치국평천하’에 두고 있는 유자(儒者)라면 마땅히 자신의 배움을 세상의 밝은 도리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배우고 그렇게 길러진 사람들이 조선의 선비들이다. 김정희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문예인이기 이전에 정치인이었던 김정희가 10년의 세월을 고증학에 바쳤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무렵 추사의 속내를 가늠할 수 있는 찬문이 남아 있다.
?實在書(핵실재서) 책에 쓰여 있는 것의 실상을 조사하여
窮理在心(궁리재심) 마음속 답답함에 이치를 세우고자 하나
攷古證今(고고증금) 옛 것을 상고하여 오늘의 증거로 삼고자 하여도
山海崇心(산해숭심) 산같이 높은 위업을 바다같이 깊은 물이 막아서네
(*이 찬문에 대해 최완수 선생은 “사실을 밝히는 것은 책에 있고, 이치를 따지는 것은 마음에 있는데, 옛날을 살펴 지금을 증명하니, 산과 바다처럼 높고 깊다”라고 해석하였다.)
이 찬문을 통해 추사가 고증학에 몰두했던 이유가 드러난다. 옛 경서의 뜻을 헤아려 마음속 답답함을 풀어내고 오늘의 문제에 증거로 쓰기 위함이란다. 일견 당연한 듯 보이는 문장이나, 조금만 깊이 생각해보면 이는 성리학에 대한 도전장과 다름없다. 성리학은 공자의 가르침을 주자가 해설한 것을 정설로 삼으며, 조선이 주자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았다는 것은 주희를 공자의 공식 대변인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나 같다. 이렇듯 이미 주희가 공자의 가르침을 알기 쉽게 다 설명해주었는데, 무엇이 답답하다는 것이고 무엇을 증명하고자 한다는 것인가. 추사는 조선의 성리학자들을 향해 “공자께서는 그리 말씀하신 적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고증학을 연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추사가 조선에 공자를 직접 모셔오려 했던 것은 조선 성리학의 폐해와 허구성을 바로잡기 위함이었다.
추사의 큰 뜻은 효명세자(후일 익종으로 추존)의 스승으로서 왕세자가 부왕 순조의 대리청정을 하고 있을 때 잠시 펼쳐지려 했으나, 그의 요절로 꺾이고 만다. 복권한 안동김씨들은 추사를 제1의 위험인물로 표적 삼았다. 그들의 세도를 흔들림 없이 했던 것은 조선성리학이라는 이념의 독점이었는데, 추사는 바로 그 이념에 근본적인 도전을 해왔기 때문이다. 그들은 어떻게든 추사를 제거하려 했고, 추사는 이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는 한편 정치적 의지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했다. 그 장치란 다름 아닌 그의 서화였다. 자신의 복귀를 위한 노력과 흥선대원군을 통한 정치적 목표의 추구는 모두 정적들이 알아볼 수 없는 서화 속으로 감춰지게 된다. 그가 숨겨놓은 한 글자, 하나의 선과 점도 쉬 보아서는 안 되는 이유는 가장 암울했던 시기를 살았던 천재 김정희의 정치관과 정책 방안이 교묘하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그의 서화 속에 숨어 있는 추사의 뜻을 밝혀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며, 독자들은 저자의 흥미진진한 논지 전개를 따라가며 과연 오늘날 누가 추사의 본 모습을 제대로 밝혀내고 있는지 판정하게 될 것이다.
▣ 작가 소개
저자 : 이성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저자는 20회의 국내외 개인전과 동아미술상 수상작가전을 비롯한 150여 회의 단체전 그리고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현역 화가이다.
30년간 작가이자 교육자로 활동하면서, 지나치게 문헌 연구 중심으로 경도된 미술 이론들을 접하며 많은 문제점과 병폐를 절감하였다. 이에 화석화된 미술사 연구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작품 중심의 연구 풍토를 환기시키고자, 정설로 자리매김 된 기존 한국미술사에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바른 미술사는 어떻게 정립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화가의 눈으로 확인한 추사의 모습을 기록하였다.
▣ 주요 목차
글을 시작하며
1부 천재가 설계한 미로
모질도 ??圖
추사 읽기
계산무진 谿山無盡·조화첩 藻花牒·산숭해심 유천희해 山崇海深 遊天戱海
사서루 賜書樓·잔서완석루 殘書頑石樓·죽로지실 竹爐之室·일로향실 一爐香室
2부 대밭에 묻힌 추사
신안구가 新安舊家
설백지성 雪白之性
지란병분 芝蘭?芬
불가의 친구
선면산수도
공유사호편애죽 公有私呼扁愛竹
3부 추사의 가면극
화법유장강만리 서집여고송일지 畵法有長江萬里 書執如孤松一枝
오악규릉하집개 육경흔시사파란 五岳圭楞河執槪 六經?木氏史波瀾
경경위사 經經緯史
황룡가화 黃龍嘉禾
황화주실 黃花朱實·황화주실수령장 黃花朱實壽令長
숭정금실 崇禎琴室
춘풍대아능용물 추수문장불염진 春風大雅能容物 秋水文章不染塵
직성유관하 수구만천동 直聲留關下 秀句滿天東·삼십만매수하실 三十萬?樹下室
차호명월성삼우 호공매화주일산 且呼明月成三友 好共梅花住一山
일독이호색삼음주 一讀二好色三飮酒
대팽두부과강채 고회부처아여손 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
강성계하다서대 동자편중유옥배 康成階下多書帶 董子篇中有玉杯·만수기화천포약 일장수죽반상서 万樹琪花千圃葯 一莊修竹半狀書酒
일광출동여왕월 옥기상천위백운 日光出洞如旺月 玉氣上天爲白雲
글을 마치며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