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희지 평전

고객평점
저자궈롄푸
출판사항연암서가, 발행일:2016/04/15
형태사항p.534 국판:22
매장위치예술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94054841 [소득공제]
판매가격 25,000원   22,5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1,125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 출판사서평

당태종이 가장 애호하고 존경하고 극찬했던 ‘서성(書聖)’ 왕희지
*공자(孔子)의 ≪춘추(春秋)≫가 끼친 영향에 비견되는 왕희지의 서체와 서예론
*국내 최초 유일하게 소개되는 본격 ≪왕희지·왕헌지 평전≫

고대 중국에서 문자는 줄곧 권력의 수단이자 일종의 아이콘으로 지배계층집단 전체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문화 권력으로 작용해 왔다. 그 집단의 전유물이자 고급언어로서 한자(漢字)의 서체는 서예가의 미적 취향이 반영된 도덕적 인품과 사상까지 내포한다고 강조되었고 나아가 글씨의 풍격(風格)이나 스타일은 단순한 예술의 범위를 넘어서서 사상과 윤리를 포함한 문화 전반의 문제로 확장되었다.

당나라 태종이 가장 애호하고 존경했던 서예가로 극찬한 왕희지의 서체는 당시의 지식인 집단에 요구된 광범한 의미의 스타일이었으며, 그가 남긴 모든 자취들은 당나라 이전까지 중국 서예의 역사와 성과를 집대성한 이상적이면서도 예술가다운 것이었다. 왕희지의 글씨 스타일과 서예론은 당태종 시대뿐만 아니라 이후까지 서체와 서예의 태도라는 측면에서 강력한 모범이자 지침이 되었다.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공자(孔子)의 ≪춘추(春秋)≫가 유가(儒家) 지식인들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과도 비슷하다.

오랜 세월 동안 ‘서성(書聖)’으로 떠받들어 온 왕희지에 대해 소개하고 평가한 전기(傳記)나 평전(評傳)이 서예의 역사가 오래됐음에도 우리나라에는 저서든 번역서든 전혀 없을 뿐더러 중국 내에서도 희귀하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왕희지 본인에 대한 심층적 소개나 연구에 집중한 책은 더욱이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것은 서진(西晉)과 동진(東晉)의 두 왕조에 걸친 역사의 격변기를 거친 왕희지의 삶, 개인사에 대한 기록 문화가 일천했던 당시의 시대적 한계로 인해 그에 대한 기본 자료가 부족했고 전문 연구자들도 많지 않았으며 그와 관련된 자료들은 진품이 극히 드문 그의 일부 작품들과, 일화(逸話)나 전설들이 대부분인 산발적으로 남아 있는 기록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열악한 상황이라 그의 전기나 평전을 쓰기란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음이 분명했다.

이 책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 서성으로 추앙받던 왕희지와, 서예의 대가로 이름을 날린 그의 아들 왕헌지 부자(父子)가 정치적.사상적.문화적.예술적인 차원에서 차지했던 자리와 그 의미를 포괄적으로 서술한 역작이다. 이 평전에서 저자는 노장사상(老莊思想)과 현학(玄學) 및 그것들을 반영하는 ‘청담(淸談)’이 유행하고 개성과 풍류를 중시하고 문학과 예술의 ‘아름다움[美]’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나던 그 시기를 살았던 그들의 모습을 최대한 생생하게 설명하고자 했다. 혼란한 정세 변화 속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내면서도 꿋꿋한 개성을 추구하고, 약물중독으로 고통스러운 생애 내내 서예의 대가로 도약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던 왕희지의 삶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재미와 감동이 있다. 당태종에 의해 정립된 신화라고 할지라도 그는 충분히 추앙받을 만한 신분적 배경과 인품, 재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저작에는 일반적인 평전들이 그러하듯이 주인공에 대한 저자의 주관적인 애호가 담긴 약간은 지나친 듯한 호평들이 종종 눈에 띈다. 그럼에도 최근까지 중국에서 나온 10여 종의 왕희지 평전 가운데 이 책이 가장 권위 있는 저술로 평가되고 있는 것은 그런 단점을 넘어설 만큼 면밀하게 조사 분석한 객관적인 자료들과 합리적인 서술들이 풍부하게 담겨 있기 때문이다.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

왕희지(王羲之, 307~365, 자는 일소[逸少])는 동진(東晉) 건국에 공을 세운 왕도(王導)의 사촌동생 왕광(王曠)의 아들이며 비서랑(秘書郞)을 시작으로 호군장군(護軍將軍), 우군장군(右軍將軍), 회계내사(會稽內史) 등을 역임하여 왕우군(王右軍)으로도 불린다. 그는 한나라 때 생겨난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의 실용서체를 예술적인 서체로 승화시켜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진다. 서예에 뛰어났던 당(唐) 태종(太宗)이 극찬 애호하여 성가가 높아진 그의 글씨는 시대가 지나면서 중국 서예의 모범이 되었다. 오늘날 그의 진적(眞跡)은 전해지지 않으나 적지 않은 모사본과 탁본이 전하며, 이 중 가장 이름 높은 <난정서蘭亭序>는 유려한 행초(行草)의 최고 경지를 보여준다. 또한 그의 아들인 왕헌지(王獻之)도 서예의 대가로 명성을 날려, 부자(父子)를 아울러 ‘이왕(二王)’이라고 부른다.

▣ 작가 소개

저자 : 궈롄푸
郭廉夫
남경예술학원(南京藝術學院) 미술계(美術系)를 졸업하고 강소미술출판사(江蘇美術出版社)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중국미술가협회 회원으로서 수많은 전시회에 작품을 발표하였다. 현재는 삼강학원(三江學院) 예술학원(藝術學院) 교수로 있다. 그 외에 학술 분야에서는 ≪미술사론(美術史論)≫과 ≪서법연구(書法硏究)≫ 등의 학술지에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색채미술(色彩美術)≫ 등 10여 종의 저작을 국내외에서 출판하기도 했다.

역자 : 홍상훈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제대학교 중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수의 학술논문 외에 저서로 ≪하늘을 나는 수레≫(문화관광부 추천도서), ≪그래서 그들은 서천으로 갔다-서유기 다시 읽기≫, ≪전통 시기 중국의 서사론≫, ≪한시 읽기의 즐거움≫(문화관광부 추천도서), ≪한시에서 배우는 마음 경영≫, ≪중국문화와 함께 익히는 한문≫, ≪중국 고전문학의 전통≫(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서유기≫(공역), ≪중국소설비평사략≫, ≪베이징≫, ≪홍루몽≫, ≪완역 두보율시≫(공역), ≪시귀의 노래-완역 이하 시집≫(문화관광부 추천도서), ≪별과 우주의 문화사≫, ≪손오공의 여행≫, ≪유림외사≫(공역), ≪양주화방록≫(공역,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 주요 목차

일러두기
역자의 말

왕희지 평전

제1장 개략적인 생애
1. 시대 환경
2. 가계
3. 젊은 명사
4. 결혼에 얽힌 일화
5. 두 차례의 반란
6. 벼슬길
7. 은퇴의 맹서
8. 만년의 은거생활
9. 일화들
1) 《도덕경(道德經)》을 써서 거위와 바꾸다 | 2) 부채에 글을 써서 빈민을 구제하다 |
3) 먹물이 나무에 3푼[分]이나 스며들다

제2장 정치사상
1. 애민(愛民) 사상
1) 창고를 열어 구휼하다 | 2) 금주령(禁酒令)을 통한 양곡 절약
2. 개혁을 간언하다
1) 조운(漕運)을 재개하다 | 2) 탐관오리에 대한 징계
3. ‘어리석은 정치[??之政]’에 반대하다
4. 정치적 이상
5. 피아의 역량을 헤아려 정책을 결정하다
1) 북벌에 대한 태도 | 2) 은호(殷浩)의 북벌에 반대하다

제3장 철학적 관점
1. 유가와 도가의 종합
2. 자녀의 결혼을 마무리하려 하다
3. 생사관(生死觀)
제4장 미학사상
1. 자연 숭상과 허정무위(虛靜無爲)의 미적 이상
2. 명사풍류(名士風流)와 인격미(人格美)의 추구
1) 명사풍류란? | 2) 풍류의 표현 형식 | 3) 인격미의 추구
3. 서예 미학 사상
1) 중의(重意) | 2) 자연스럽고 풍류 넘치는 아름다움

제5장 서예
1. 서예의 전성기
2. 사승(師承)
3. 성취와 대표작
해서 | 행서 | 초서
4. ‘서성(書聖)’을 만들어낸 주요 요소

제6장 왕희지의 서예론
1. 〈자론서(自論書)〉
2. 〈위부인의 〈필진도〉 뒤에 붙임〉
3. 〈필세론 12장(筆勢論十二章)〉
1) 베껴 쓰기[創臨] | 2) 마음 일깨우기[啓心] | 3) 형세 살피기[視形] | 4) 점찍기[說點] |
5) 바깥으로 꺾인 갈고리 쓰기[處戈] | 6) 굳세고 장엄함[健壯] | 7) 가르쳐 깨우침[敎悟] |
8) 관채[觀彩] | 9) 요점[開要] | 10) 절제[節制] | 11) 잘 살피기[察論] | 12) 성취의 비유
[譬成]
4. 〈백운선생 서결[記白雲先生書訣]〉

제7장 문학 분야의 성취
1. 〈난정서(蘭亭序)〉의 문학적 가치
2. [난정시(蘭亭詩)]

제8장 몇 가지 논쟁점
1. 생졸년
1) 서기 321~379년 | 2) 서기 305~363년 | 3) 서기 307~365년 | 4) 서기 303~361년
2. 〈난정서(蘭亭序)〉의 진위
3. 막사에서 겪은 위험
4. 왕희지 대필자(代筆者)

왕헌지 평전

제1장 생애와 사상의 풍모
1. 젊어서 명성을 날리다
2. 초서와 예서, 그림에 뛰어나다
3. 결혼과 벼슬살이
4. 사상의 풍모

제2장 창작 사상 및 서예
1. 옛 법의 변통(變通)
2. 서예
3. 대표작
1) 〈낙신부(洛神賦)〉 | 2) 〈압두환(鴨頭丸)〉 | 3) 〈중추첩(中秋帖)〉

제3장 이왕(二王) 서예의 비교 및 그 영향
1. 이왕 서예의 비교
2. 이왕 서예의 영향

부록
왕희지·왕헌지 연표
왕희지 가족의 세계(世係)
필진도(筆陣圖)
왕희지와 왕헌지의 주요 서예 작품 목록
난정(蘭亭)의 모임 참석자 42명 명단
〈난정서〉의 진위 논쟁에 관하여

작가 소개

목 차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