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 출판사서평
감각의 철학자 들뢰즈, 베이컨을 만나다
이번에는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거기에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을 짝지었다. 경험론 철학자 베이컨과 동명이며 2013년 [루치안 프로이트의 초상을 위한 세 연구]로 미술작품 경매 최고가를 갈아치운(2013년 피카소 [알제의 여인들]에 의해 깨짐) 바로 그 화가다.
우리 시대의 전방위 인문학자 박정자 얘기다. 철학자 사르트르 푸코 데리다 보드리야르, 작가로 고흐 마네 마그리트, 문학으로 로빈슨 크루소 등등을 종횡무진 엮어 온 왕성한 필력의 저자가, 이번에는 ‘감각의 철학자’ 들뢰즈와 ‘고깃덩어리의 화가’ 베이컨을 ‘햅틱(Haptic)’이라는 키워드로 한데 엮어 선보인다. 부제 ‘들뢰즈의 감각으로 베이컨의 그림 읽기’부터 중의적이다. ‘들뢰즈의 감각으로’ 저자가 베이컨의 그림을 읽는 것이기도 하고, 동시에 들뢰즈의 ‘감각으로 베이컨의 그림 읽기’를 엿보는 것이기도 하다.
들뢰즈와 베이컨은 생전에 딱 한 번 만났다. 들뢰즈가 그의 베이컨론(論)인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1981)를 탈고하기 직전이다. 감각으로 베이컨 그림을 더듬어 나가는 여정의 모델을 이미 들뢰즈가 제시한 셈이니 박정자의 [눈, 손, 햅틱]은 어찌 보면 그에 대한 오마주이지만, 동시에 들뢰즈도 미처 살아 보지 못한 햅틱 세상을 사는 저자가 처음부터 다시 쓰는 베이컨론이기도 하다. ‘감각(sensation)’은 회화뿐 아니라 영화를 거쳐 예술 일반과 생활로까지 나아가는 들뢰즈 철학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므로, 감각으로 베이컨을 읽는 경험은 곧 들뢰즈 철학을 실전에 적용해 보는 좋은 연습일 수 있다.
그림을 만진다? 그림이 나를 만진다!
그림과 ‘만지다’를 은유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은 생소하지 않다. 우리는 소중한 그림을 눈으로 ‘어루만지듯’ 찬찬히 뜯어보기도 하고, 어떤 그림은 오랫동안 잔영을 남기며 우리의 가슴을 ‘어루만진다’. 그러나 베이컨에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정말로 그림이 캔버스에서 튀어나와 우리의 눈을, 몸을, 몸속 전체와 촉각으로 와 닿는다!
사실은, 원래 그림은 시각뿐 아니라 촉각과도 관계 맺었다. 서양미술사는 촉각적 그림과 시각적 그림의 교대에 다름 아니라고 저자는 정리한다. 열쇠는 원근법과 선과 색에 있다.
어찌 보면 미술의 역사는 이 촉-시각적 세계의 교대에 다름 아니다. 중세의 비잔틴 미술은 시각적이고 고딕 미술은 촉각적이며, 르네상스에서 19세기까지의 원근법적 미술은 촉-시각적이고, 모더니즘 이후 20세기의 추상화는 시각적이다.
시각적이라는 말과 촉각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한마디로 회화 공간이 평면적이냐 입체적이냐의 차이이다. 르네상스 이후 19세기 사실주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을 지배한 원근법이 바로 이런 입체감 즉 촉각성을 만들어 내는 기법이었다.
회화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드로잉은 눈과 직결되고, 그 위에 물감을 칠하는 색칠은 손과 연관이 있다. 선은 눈[眼]적(visual)이고 색채는 손[手]적(manual)이다.
그럼 베이컨의 그림은? 그의 그림은 ‘눈적’인 것과 ‘손적’인 것의 혼합이며 시각과 촉각의 혼합이다. 그러나 시각보다는 좀 더 촉각적이다. 다름 아닌 햅틱이다. _책머리에
손과 촉각의 중요성은 디지털 시대인 현대에 들어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시각과 촉각의 융합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빛에 대한 감각은 시각적이고, 색채에 대한 감각은 차라리 촉각적이다. 햅틱한 시각이라는 것은 정확히 색채에 대한 ‘감각(sense of colors)’이다. _09 햅틱
출발은 역시 베이컨 그림의 그로테스크함이다. 흔히 무섭다, 폭력적이라고도 하는 베이컨 그림의 특징은 소재가 아니라 그것을 형상화한 결과, 즉 부풀고 일그러지고 왜곡되고, 신체 한 부분이 뭉텅 잘리거나 아예 사지가 절단되어버리기도 한 ‘형상(대문자 Figure)’ 때문이다. 영혼 있는 신체라기보다 한갓 고깃덩어리와도 같아져 버린 베이컨의 인체 형상은 아니나 다를까, 화가 자신 강하게 의식한 ‘고기와 자신과의 동질감’이 배경에 깔려 있다.
고기는 그의 연민의 대상이다. 그는 정육점에 걸려 있는 고기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정육점에 가면 나는 항상 저기 동물의 자리에 내가 없음을 보고 놀랍니다.” 베이컨은 오로지 도살장 안에서만 종교화가가 된다. _07 베이컨적 서사성
제대로 그림을 짚어 가며 읽는 베이컨론
세계 구석구석의 명작 회화들을 앉은 자리에서 LCD 화면으로나마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 세상이라도, 베이컨의 작품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이 그림이 저 그림 같을 정도로 비슷비슷한 것들이 많을뿐더러, 작품 제목조차 ‘삼면화’ ‘~에 관한 세 연구’ 식으로 엇비슷하기 때문이다. 어떤 그림은 제목이 그냥 [회화]인가 하면, 같은 삼면화(tryptich) 구성에 제목도 [인체 연구]로 똑같은, 그러니까 ‘1970년의 [인체 연구] 삼면화’라 불리는 작품이 두 개 있기까지 하다. 컬러 도판을 곁들이지 않고서 베이컨 그림의 형상과 색채를 얘기하는 것은 공허한 울림일 수밖에 없다.
[감각의 논리] 영어판을 내면서 들뢰즈도 본책(제1권)보다 훨씬 큰 부록(제2권)에 97개의 베이컨 도판(컬러와 흑백)을 담아 펴냈다. 그러나 기존의 [감각의 논리] 국역판이나 해설서는 도록은 생략했으며, 본문 사이사이에 집어넣은 도판은 적기도 하고 작아서 옹색할 정도였다. 저작권이 멀쩡하게 살아 있는 작가에 관한 책을 출판할 때 흔히 겪는 어려움이다.
[눈과 손 그리고 햅틱]은 자주 언급되는 작품 중심으로 엄선한, 무려 44개의 컬러 도판을 넉넉한 크기로 삽입해 이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 이제껏 이런 베이컨 책은 없었다.
누가 ‘지식의 수입상’을 말하는가
프랑스학 기반의 인문학자로서 박정자의 학문은 순 한국산이다(학부, 석사, 박사를 모두 서울대에서 했다). 1970년대 말 처음 미셸 푸코를 소개할 때로부터 사르트르와 플로베르, 다시 푸코와 마그리트, 데리다와 반 고흐, 마이클 잭슨이며 애플 등으로 ‘넘나들이’를 감행하는 동안 그의 관심은 줄곧, ‘요즘 저기서 누가 뜨고 있다’가 아니라 ‘여기서 이 관점이 필요 하겠다’를 떠난 적이 없다. 명예교수 타이틀을 가진 이들 중 아직도 청춘들과 호흡하고 소통하며 왕성한 집필 양을 자랑하는 몇 안 되는 필자들 가운데 박정자를 넣을 수 있는 비결이다.
“어느 나라의 어떤 사상을 가져왔느냐가 아니라, 그 사상을 도구로 하여 이 땅의 지식인들이 각 시대의 고민에 어떻게 맞닥뜨려 왔느냐가 더 중요하다.”
마치 박정자를 두고 한 것 같은 기시감마저 주는 이 말은 기실, 공맹유학과 조선성리학을 전공하고 최근 [한국철학사]를 펴낸 한 저자의 인터뷰 요지다.
▣ 작가 소개
저 : 박정자
朴貞子
이화여고와 서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불문학 박사를 받았다. 학위논문 제목은 「비현실의 미학으로의 회귀 - 사르트르의 ''집안의 백치''를 중심으로」이다. 푸코에 관심이 많아 『성의 역사』 제 1권 ''앎에의 의지''를 『성은 억압되었는가?』라는 제목으로 번역했는데, 이는 1979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푸코를 소개한 책이다. 그 후 푸코의 전기 『미셸 푸코』(디디에 에리봉), 『만화로 읽는 푸코』 등의 입문서와 『비정상인들』,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등의 푸코의 저서를 번역했다. 조선일보 기자, 상명대 불어교육과 교수, 사범대 학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상명대 명예교수이다.
앙리 르페브르의 『현대세계의 일상성』으로, 광고 등 대중문화가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을 제시했고, 베르나르-앙리 레비의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으로 현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참신한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빈센트의 구두』,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시선은 권력이다』 등이 있다. 사르트르와 푸코에 관련된 자신의 글을 모은 홈페이지 (http://www.cjpark.pe.kr)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 중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와 『시선은 권력이다』는 문화관광체육부에서 교양추천 도서로 선정되었고, 『마이클 잭슨에서 데리다까지』는 우수 교양도서로 선정되었으며,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이것은 Apple이 아니다』는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지난 5년간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조형예술 전공 학생들에게 플라톤의 현대성을 강의하면서 플라톤과 현대 예술과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강의 내용을 좀 더 많은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플라톤의 예술노트』와 『플라톤의 몸 이야기』를 편집 저술하였다.
▣ 주요 목차
책머리에: 강렬한 색채, 정교한 논리
프랜시스 베이컨 도판 목록
1 형상, 윤곽, 아플라: 베이컨 회화의 세 요소
형상(Figure)
형상의 의미 / 삽화성의 거부, 언어와 색채의 대립
윤곽(contour)
아플라(aplat)
다양한 아플라들 / 아플라와 근접 시각
2 삼면화(Triptych)
기다림, 그러나 스펙터클의 부재
증인들
삼면화와 리듬
수축과 팽창
베이컨에서 추락의 의미
흘러내리는 살
3 다이어그램(Diagram)
다이어그램의 정치적 의미
퍼스에서 가져온 다이어그램 개념
그래프와 다이어그램
대재난(catastrophe)
추상화
추상표현주의
이젤 회화의 종말
베이컨이 택한 제3의 길
베이컨의 다이어그램
미켈란젤로 그리고 로보캅
기관 없는 신체
4 클리셰(Cliche)
상투성과의 싸움: 베이컨과 세잔
우연성
사진, 추상화, 그리고 제2의 구상
5 힘을 그리다(Rendre visible)
비명
공포가 아니라 비명
죽음의 공포
6 감각(Sensation)
베이컨과 세잔의 공통점과 차이
운동, 경련
감각과 리듬
7 베이컨적 서사성(Narrative)
안간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는 몸
거울
미소
히스테리
인간과 동물의 동일성
얼굴의 해체 / 고기에 대한 연민! / 되기(becoming)의 세계
8 베이컨 회화의 시기 구분
풀잎적 성격의 풍경화
말레리슈
베이컨의 말기 그림
9 햅틱(Haptic)
이집트 미술과 햅틱
고딕 아트
고전주의 미술의 시각성, 미켈란젤로의 예외성
색채주의(colorism)
광학주의(luminism)
모듈레이션, 색의 조율
10 베이컨에게 영감을 준 사람들
베이컨과 실존주의
베이컨과 엘리엇
베이컨과 프루스트, 비자발적 기억
베이컨과 네덜란드 미술 그리고 보들레르
후기
감각의 철학자 들뢰즈, 베이컨을 만나다
이번에는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거기에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을 짝지었다. 경험론 철학자 베이컨과 동명이며 2013년 [루치안 프로이트의 초상을 위한 세 연구]로 미술작품 경매 최고가를 갈아치운(2013년 피카소 [알제의 여인들]에 의해 깨짐) 바로 그 화가다.
우리 시대의 전방위 인문학자 박정자 얘기다. 철학자 사르트르 푸코 데리다 보드리야르, 작가로 고흐 마네 마그리트, 문학으로 로빈슨 크루소 등등을 종횡무진 엮어 온 왕성한 필력의 저자가, 이번에는 ‘감각의 철학자’ 들뢰즈와 ‘고깃덩어리의 화가’ 베이컨을 ‘햅틱(Haptic)’이라는 키워드로 한데 엮어 선보인다. 부제 ‘들뢰즈의 감각으로 베이컨의 그림 읽기’부터 중의적이다. ‘들뢰즈의 감각으로’ 저자가 베이컨의 그림을 읽는 것이기도 하고, 동시에 들뢰즈의 ‘감각으로 베이컨의 그림 읽기’를 엿보는 것이기도 하다.
들뢰즈와 베이컨은 생전에 딱 한 번 만났다. 들뢰즈가 그의 베이컨론(論)인 [프랜시스 베이컨: 감각의 논리](1981)를 탈고하기 직전이다. 감각으로 베이컨 그림을 더듬어 나가는 여정의 모델을 이미 들뢰즈가 제시한 셈이니 박정자의 [눈, 손, 햅틱]은 어찌 보면 그에 대한 오마주이지만, 동시에 들뢰즈도 미처 살아 보지 못한 햅틱 세상을 사는 저자가 처음부터 다시 쓰는 베이컨론이기도 하다. ‘감각(sensation)’은 회화뿐 아니라 영화를 거쳐 예술 일반과 생활로까지 나아가는 들뢰즈 철학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므로, 감각으로 베이컨을 읽는 경험은 곧 들뢰즈 철학을 실전에 적용해 보는 좋은 연습일 수 있다.
그림을 만진다? 그림이 나를 만진다!
그림과 ‘만지다’를 은유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은 생소하지 않다. 우리는 소중한 그림을 눈으로 ‘어루만지듯’ 찬찬히 뜯어보기도 하고, 어떤 그림은 오랫동안 잔영을 남기며 우리의 가슴을 ‘어루만진다’. 그러나 베이컨에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정말로 그림이 캔버스에서 튀어나와 우리의 눈을, 몸을, 몸속 전체와 촉각으로 와 닿는다!
사실은, 원래 그림은 시각뿐 아니라 촉각과도 관계 맺었다. 서양미술사는 촉각적 그림과 시각적 그림의 교대에 다름 아니라고 저자는 정리한다. 열쇠는 원근법과 선과 색에 있다.
어찌 보면 미술의 역사는 이 촉-시각적 세계의 교대에 다름 아니다. 중세의 비잔틴 미술은 시각적이고 고딕 미술은 촉각적이며, 르네상스에서 19세기까지의 원근법적 미술은 촉-시각적이고, 모더니즘 이후 20세기의 추상화는 시각적이다.
시각적이라는 말과 촉각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한마디로 회화 공간이 평면적이냐 입체적이냐의 차이이다. 르네상스 이후 19세기 사실주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을 지배한 원근법이 바로 이런 입체감 즉 촉각성을 만들어 내는 기법이었다.
회화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인 드로잉은 눈과 직결되고, 그 위에 물감을 칠하는 색칠은 손과 연관이 있다. 선은 눈[眼]적(visual)이고 색채는 손[手]적(manual)이다.
그럼 베이컨의 그림은? 그의 그림은 ‘눈적’인 것과 ‘손적’인 것의 혼합이며 시각과 촉각의 혼합이다. 그러나 시각보다는 좀 더 촉각적이다. 다름 아닌 햅틱이다. _책머리에
손과 촉각의 중요성은 디지털 시대인 현대에 들어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시각과 촉각의 융합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빛에 대한 감각은 시각적이고, 색채에 대한 감각은 차라리 촉각적이다. 햅틱한 시각이라는 것은 정확히 색채에 대한 ‘감각(sense of colors)’이다. _09 햅틱
출발은 역시 베이컨 그림의 그로테스크함이다. 흔히 무섭다, 폭력적이라고도 하는 베이컨 그림의 특징은 소재가 아니라 그것을 형상화한 결과, 즉 부풀고 일그러지고 왜곡되고, 신체 한 부분이 뭉텅 잘리거나 아예 사지가 절단되어버리기도 한 ‘형상(대문자 Figure)’ 때문이다. 영혼 있는 신체라기보다 한갓 고깃덩어리와도 같아져 버린 베이컨의 인체 형상은 아니나 다를까, 화가 자신 강하게 의식한 ‘고기와 자신과의 동질감’이 배경에 깔려 있다.
고기는 그의 연민의 대상이다. 그는 정육점에 걸려 있는 고기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정육점에 가면 나는 항상 저기 동물의 자리에 내가 없음을 보고 놀랍니다.” 베이컨은 오로지 도살장 안에서만 종교화가가 된다. _07 베이컨적 서사성
제대로 그림을 짚어 가며 읽는 베이컨론
세계 구석구석의 명작 회화들을 앉은 자리에서 LCD 화면으로나마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 세상이라도, 베이컨의 작품이라면 얘기가 다르다. 이 그림이 저 그림 같을 정도로 비슷비슷한 것들이 많을뿐더러, 작품 제목조차 ‘삼면화’ ‘~에 관한 세 연구’ 식으로 엇비슷하기 때문이다. 어떤 그림은 제목이 그냥 [회화]인가 하면, 같은 삼면화(tryptich) 구성에 제목도 [인체 연구]로 똑같은, 그러니까 ‘1970년의 [인체 연구] 삼면화’라 불리는 작품이 두 개 있기까지 하다. 컬러 도판을 곁들이지 않고서 베이컨 그림의 형상과 색채를 얘기하는 것은 공허한 울림일 수밖에 없다.
[감각의 논리] 영어판을 내면서 들뢰즈도 본책(제1권)보다 훨씬 큰 부록(제2권)에 97개의 베이컨 도판(컬러와 흑백)을 담아 펴냈다. 그러나 기존의 [감각의 논리] 국역판이나 해설서는 도록은 생략했으며, 본문 사이사이에 집어넣은 도판은 적기도 하고 작아서 옹색할 정도였다. 저작권이 멀쩡하게 살아 있는 작가에 관한 책을 출판할 때 흔히 겪는 어려움이다.
[눈과 손 그리고 햅틱]은 자주 언급되는 작품 중심으로 엄선한, 무려 44개의 컬러 도판을 넉넉한 크기로 삽입해 이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 이제껏 이런 베이컨 책은 없었다.
누가 ‘지식의 수입상’을 말하는가
프랑스학 기반의 인문학자로서 박정자의 학문은 순 한국산이다(학부, 석사, 박사를 모두 서울대에서 했다). 1970년대 말 처음 미셸 푸코를 소개할 때로부터 사르트르와 플로베르, 다시 푸코와 마그리트, 데리다와 반 고흐, 마이클 잭슨이며 애플 등으로 ‘넘나들이’를 감행하는 동안 그의 관심은 줄곧, ‘요즘 저기서 누가 뜨고 있다’가 아니라 ‘여기서 이 관점이 필요 하겠다’를 떠난 적이 없다. 명예교수 타이틀을 가진 이들 중 아직도 청춘들과 호흡하고 소통하며 왕성한 집필 양을 자랑하는 몇 안 되는 필자들 가운데 박정자를 넣을 수 있는 비결이다.
“어느 나라의 어떤 사상을 가져왔느냐가 아니라, 그 사상을 도구로 하여 이 땅의 지식인들이 각 시대의 고민에 어떻게 맞닥뜨려 왔느냐가 더 중요하다.”
마치 박정자를 두고 한 것 같은 기시감마저 주는 이 말은 기실, 공맹유학과 조선성리학을 전공하고 최근 [한국철학사]를 펴낸 한 저자의 인터뷰 요지다.
▣ 작가 소개
저 : 박정자
朴貞子
이화여고와 서울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불문학 박사를 받았다. 학위논문 제목은 「비현실의 미학으로의 회귀 - 사르트르의 ''집안의 백치''를 중심으로」이다. 푸코에 관심이 많아 『성의 역사』 제 1권 ''앎에의 의지''를 『성은 억압되었는가?』라는 제목으로 번역했는데, 이는 1979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푸코를 소개한 책이다. 그 후 푸코의 전기 『미셸 푸코』(디디에 에리봉), 『만화로 읽는 푸코』 등의 입문서와 『비정상인들』,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등의 푸코의 저서를 번역했다. 조선일보 기자, 상명대 불어교육과 교수, 사범대 학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상명대 명예교수이다.
앙리 르페브르의 『현대세계의 일상성』으로, 광고 등 대중문화가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을 제시했고, 베르나르-앙리 레비의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으로 현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참신한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빈센트의 구두』,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시선은 권력이다』 등이 있다. 사르트르와 푸코에 관련된 자신의 글을 모은 홈페이지 (http://www.cjpark.pe.kr)를 운영하고 있다. 저서 중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와 『시선은 권력이다』는 문화관광체육부에서 교양추천 도서로 선정되었고, 『마이클 잭슨에서 데리다까지』는 우수 교양도서로 선정되었으며,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이것은 Apple이 아니다』는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지난 5년간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조형예술 전공 학생들에게 플라톤의 현대성을 강의하면서 플라톤과 현대 예술과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강의 내용을 좀 더 많은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플라톤의 예술노트』와 『플라톤의 몸 이야기』를 편집 저술하였다.
▣ 주요 목차
책머리에: 강렬한 색채, 정교한 논리
프랜시스 베이컨 도판 목록
1 형상, 윤곽, 아플라: 베이컨 회화의 세 요소
형상(Figure)
형상의 의미 / 삽화성의 거부, 언어와 색채의 대립
윤곽(contour)
아플라(aplat)
다양한 아플라들 / 아플라와 근접 시각
2 삼면화(Triptych)
기다림, 그러나 스펙터클의 부재
증인들
삼면화와 리듬
수축과 팽창
베이컨에서 추락의 의미
흘러내리는 살
3 다이어그램(Diagram)
다이어그램의 정치적 의미
퍼스에서 가져온 다이어그램 개념
그래프와 다이어그램
대재난(catastrophe)
추상화
추상표현주의
이젤 회화의 종말
베이컨이 택한 제3의 길
베이컨의 다이어그램
미켈란젤로 그리고 로보캅
기관 없는 신체
4 클리셰(Cliche)
상투성과의 싸움: 베이컨과 세잔
우연성
사진, 추상화, 그리고 제2의 구상
5 힘을 그리다(Rendre visible)
비명
공포가 아니라 비명
죽음의 공포
6 감각(Sensation)
베이컨과 세잔의 공통점과 차이
운동, 경련
감각과 리듬
7 베이컨적 서사성(Narrative)
안간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는 몸
거울
미소
히스테리
인간과 동물의 동일성
얼굴의 해체 / 고기에 대한 연민! / 되기(becoming)의 세계
8 베이컨 회화의 시기 구분
풀잎적 성격의 풍경화
말레리슈
베이컨의 말기 그림
9 햅틱(Haptic)
이집트 미술과 햅틱
고딕 아트
고전주의 미술의 시각성, 미켈란젤로의 예외성
색채주의(colorism)
광학주의(luminism)
모듈레이션, 색의 조율
10 베이컨에게 영감을 준 사람들
베이컨과 실존주의
베이컨과 엘리엇
베이컨과 프루스트, 비자발적 기억
베이컨과 네덜란드 미술 그리고 보들레르
후기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