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이 김선달

고객평점
저자박희병 외
출판사항돌베개, 발행일:2018/01/22
형태사항p.193 국판:23
매장위치문학부(1층)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71998342 [소득공제]
판매가격 12,000원   10,8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54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고전소설의 다양한 변주와 재해석

재판 이야기를 다룬 소설을 우리나라에서는 ‘송사소설’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공안소설’이라 부른다. 명칭은 다르지만 포괄하는 작품의 범위는 대체로 일치한다. 중국의 경우 『포공안』(包公案)을 대표작으로 들 수 있는데, 이 『포공안』의 주인공이 익히 잘 알려진 ‘포청천’(包靑天)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송사소설은 바로 이 책에 실린 세 편 「김봉전」 「유연전」 그리고 「장화홍련전」이다.

고전소설 중에서도 특히 송사소설은 현대에도 다양하게 변주되고 재해석되고 있다. 최근에 「김봉전」 이 바탕이 된 영화 [봉이 김선달]이 나왔고, 「장화홍련전」 의 경우 영화 [장화, 홍련]을 포함해 끊임없이 다양하게 변주되고 재해석되는 대표적인 고전소설이다. 이 책에는 이들 소설의 원형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아냈다. 변주되지 않은 원작의 맛을 이 책을 통해 느껴보자.

한문소설사의 대미를 장식한 봉이 김선달

「김봉전」(金鳳傳)은 개화기 『황성신문』에 연재된 『신단공안』(神斷公案) 속에 포함되어 있다. 『신단공안』은 제목 그대로 공안소설을 표방한 일곱 편의 한문 중단편을 각각 한 회(回)로 삼아 엮은 것이다. 이 중 다섯 편은 『포공안』 등 중국 공안소설의 번안 개작이고, 제4회와 제7회의 두 작품만 구전설화에 근거한 창작으로 인정되는데, 제4회로 편성된 작품이 바로 「김봉전」이다. 「김봉전」은 ‘봉이 김선달 설화’에 바탕을 둔 한문 중편소설로, 『황성신문』에 1906년 6월 28일부터 8월 18일까지 45회에 걸쳐 연재되어 우리 한문소설사의 마지막 장을 장식했다. 이 작품은 작자 미상인데 작품 내에서 계항패사(桂巷稗史)로 자칭하는 이가 개작자일 것이라 짐작된다.

「김봉전」의 배경은 조선 인조 즉위 초의 평양이다. 작품 속의 여러 정황들은 오히려 19세기 후반 내지 개화기의 생활 감각에 더 가까워 보이지만, 작품 말미에 실존 인물 김경징(金慶徵, 1589~1637)을 등장시키기 위해 인조 재위기를 시대 배경으로 삼은 듯하다. 한편 공간 배경을 평양으로 설정한 점은 시대와 사회에 대한 김봉의 불만을 조선 시대의 서도(西道) 차별과 결부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김봉은 타고난 재주가 대단하고 자부심이 드높은 인물이지만 과거 공부에는 뜻을 두지 않았다. 작품 속에 그 이유를 뚜렷이 부각하지 않았으나 그 출신지와 연관된 사정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김봉의 대표적인 이야기가 바로 닭을 봉황이라 하여 상인을 골탕 먹이는 일화와 대동강 물을 파는 내용이다. 김봉의 끝없는 사기 행각과 달변은 사기꾼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김봉은 때를 만나지 못한 영웅이 연속된 좌절 끝에 부득이하게 협잡배의 길을 걷게 된 것으로 그려졌다. 김봉이라는 주인공의 독특한 캐릭터와 사기 행각 이면에 놓인 지향, 차별에 맞서 완전한 자유인이 되기를 꿈꾸었던 주인공의 열망을 작품이 창작된 개화기의 시점에서 살필 때 더욱 의미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 한문소설사의 마지막을 장식한 작품인 만큼 내용과 구성 면에서 고전소설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는 매우 뛰어난 작품이라 하겠다.

우리나라 최초의 송사소설 「유연전」

「유연전」(柳淵傳)은 백사 이항복(1556~1618)이 1607년(선조 40)에 지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이항복의 문집인 『백사집』에 수록되지 않은 채 별도의 책으로 전하다가 훗날의 증보판 문집에 수록되었다. 이 책에서는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유연전』을 저본으로 삼았다.

「유연전」은 실제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이항복은 이원익(李元翼, 1547~1634)에게 유연(柳淵) 옥사(獄事)의 전말을 자세히 듣고 그 요청에 부응하여 이 글을 지었다고 작품 말미에 밝혔다. 유연 옥사는 명종ㆍ선조 때에 매우 유명한 사건이어서 『명종실록』과 『선조실록』에도 몇 차례 언급된 바 있다.

「유연전」은 인물의 일생을 그리는 정통 한문학 양식인 ‘전’(傳)을 표방했으나 단일한 사건을 제재로 삼아 시종일관 각각의 에피소드들이 긴밀하게 연관되는 유기적 구성 방식을 취하며 갈등을 발전시킨 점에서 소설의 요건을 잘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전(傳)이 소설로 전환하는 현상은 17세기 이래의 조선 후기에 새롭게 나타난 것인데, 「유연전」은 그 선구적 작품에 해당한다.

한편 이 작품은 우리나라 소설사상 최초의 송사소설이다. 실재했던 비극적 사건의 추이를 간명하게 서술하는 가운데 판결 과정을 실감나게 재현한 점이 특히 돋보인다.

가장 많은 변주와 해석, 「장화홍련전」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은 박인수(朴仁壽)가 1818년에 지은 한문소설로, 『가재사실록』(嘉齋事實錄)에 실려 있다. 『가재사실록』은 가재 전동흘(1610~1685)과 그 후손의 행장 및 관련 기록을 엮은 책으로, 1865년경에 간행되었다.

「장화홍련전」의 작자 박인수는 전동흘의 6대손인 전만택이 한글 책을 한문으로 옮겨 달라고 청하자 그 대강의 내용을 기록했다고 했다. 전동흘은 이 작품에서 장화와 홍련의 원한을 풀어 준 철산 부사(鐵山府使)인바, 전동흘 사후 130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 후손이 선조의 사적을 기리기 위해 이런 부탁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전동흘은 효종ㆍ현종 때의 무신으로, 선전관, 함경도 병마절도사, 총융사, 포도대장을 역임했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전동흘은 1658년(효종 9) 철산 부사에 임명된바, 당시에 장화와 홍련이 죽음에 이르게 된 원인을 밝혀 그 원혼을 달래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원귀(寃鬼)가 나타나 부사에게 하소연하는 등 허구적 상상이 가미된 설화가 전승되는 과정에서 한글본 「장화홍련전」이 형성되고, 다시 이 한글본을 한문으로 윤색한 것이 박인수의 한문본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계모와 전처 자식의 갈등 및 계모의 흉계를 모티프로 한, 가장 널리 알려진 서사로서 오늘날까지 다양한 변주와 재해석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한국 고전소설사에서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작품이다.

작가 소개

저 : 이항복

任邁
호는 백사白沙. 선조ㆍ광해군 때의 문신으로, 이조판서ㆍ병조판서ㆍ좌의정ㆍ영의정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집인 『백사집』白沙集이 전한다

 

저 : 박인수

朴仁壽
조선 후기의 문인.

 

편역 : 박희병

Hee-Byung, Park,朴熙秉
서울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한국전기소설의 미학』으로 1998년 제3회 성산학술상을 받았으며, 『한국의 생태사상』으로 제40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인문과학 부문 저작상을 받았다. 경성대 한문학과 교수와 성균관대 한문교육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고전산문과 비평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사상사와 예술사에 관심을 갖고 있다. 분과학문의 틀을 넘어서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새로운 글쓰기 방법을 모색하고자 고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 고전인물전 연구』(한길사), 『조선 후기 傳의 소설적 성향 연구』(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선인들의 공부법』,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공저), 『한국의 생태사상 - 돌베개 한국학총서 3』(돌베개), 『거기, 내 마음의 산골마을』(그물코)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나의 아버지 박지원』,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골목길 나의 집』 등이 있다.

 

편역 : 정길수

鄭吉秀
조선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이 있고, 논문으로 「〈광한루기〉 평비評批 분석」, 「〈운영전〉의 메시지」 등이 있으며, 편역서로 『길 위의 노래-김시습 선집』, 『사랑의 죽음』(천년의 우리소설 1) 등이 있다. 한국 고전소설과 조선 시대 한문 산문을 공부하고 있다.

목 차

김봉전 _ 작자 미상
유연전 _이항복 지음
장화홍련전 _박인수 지음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