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 가공선

고객평점
저자고바야시 다키지
출판사항잇북, 발행일:2018/01/20
형태사항p.192 46판:19
매장위치문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85370101 [소득공제]
판매가격 9,000원   8,1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405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일본 노동운동의 기폭제가 된 『게 가공선』
그들은 살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게 가공선』은 고바야시 다키지의 가장 뛰어난 작품일 뿐만 아니라 자본가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며 노예나 다름없이 가혹한 대우를 받던 노동자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걸작이다.
1929년 [센키戰旗] 5, 6월호를 통해 세상에 처음 나온 이 소설은 8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일본인들 사이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물론 영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한국어 등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또 1930년에 신 쓰키지 극단新築地劇?이 『북위 50도 이북』으로 제목을 바꿔서 처음 연극 무대에 올린 뒤로 일본에서는 최근까지도 꾸준히 연극 무대에 오르고 있고, 1953년과 2009년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이처럼 이 작품이 80여 년의 오랜 세월 동안 국경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고바야시 다키지가 『게 가공선』이라는 소설을 통해 리얼하게 묘사한 노동자의 억압적인 근로환경, 자본주의의 폐해가 빚어낸 갑과 을의 불합리한 관계, 자본가들의 노동자에 대한 인권 탄압 및 노동력 착취 등이 현재의 노동 현장에서도 고스란히 재현되면서 독자들의 공분을 샀고, 더불어 독자들은 이 작품을 자기들의 처지와 심정을 대변해주는 자기 고백서처럼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게 가공선』은 도대체 어떤 작품일까?
우선 ‘게 가공선’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우리에겐 낯선 ‘게 가공선’은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오호츠크 해의 캄차카 반도 해역에서 이루어진 북양어업에 사용된 배로 통조림 공장의 설비를 갖춘 공선工船이다. 여름철 어기가 되면 화물선을 개조한 게 가공선과 부속 소형 어선인 가와사키부네가 북방 해역으로 나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활동하는데, 가와사키부네가 모선인 게 가공선에서 바다로 나가 ‘게’를 잡아오면 모선에서 즉시 게를 통조림으로 가공하는 이동 통조림 공장과 같은 어선이었다.
그 모선인 ‘핫코 호’가 이 소설의 무대다.
‘게 가공선’은 ‘공선’이지 함선이 아니기 때문에 항해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낡고 위험한 배가 개조되어 투입되었다. 또 공장도 아니기 때문에 노동법규도 적용되지 않았다. 그로 인해 법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고, 해상의 폐쇄공간인 배 안에서는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 일대의 빈곤층에서 모집한 노동자에 대한 자본가들의 비인도적 학대가 자행되었다. 일본 정부 또한 북양어업의 진흥이라는 구실을 내세워 자본가들과 결탁하여 그들의 만행을 묵인하는 태도를 취했다.
이 작품은 구축함의 호위를 받으며 캄차카 근해로 출어한 게 가공선 내에서 벌어진 노예 노동의 실태를 통해 국가적 산업의 제국주의적 본질을 까발리고, 노동자의 자연발생적인 투쟁을 다이내믹한 집단 묘사로 그리고 있다.
작품을 완성한 후 고바야시는 이 작품의 의도에 대해 ‘센키’ 파의 평론가인 구라하라 고레히토?原惟人에게 보낸 편지에서 개개인의 인물이 아니라 집단을 그리려고 했다는 점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여러 가지 형식상의 노력을 했다는 점 등을 밝힌 후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 작품은 ‘게 가공선’이라는 특수한 하나의 노동 형태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게 가공선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아니다.
ⓐ 이 작품에서는 식민지, 미개척지에서 자행되는 착취의 전형을 볼 수 있다. ⓑ 이러한 착취는 도쿄, 오사카 등 대공업지대를 제외하면 여전히 일본 노동자들의 80퍼센트가 실제로 겪고 있는 일이다. ⓒ 또한 다양한 국제적 관계, 군사 관계, 경제 관계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편의가 있다.
이 작품에서는 미조직 노동자를 다루고 있다. 그런데 노동자를 미조직 상태로 유지하려는 자본주의가 오히려 자연발생적으로 노동자를 조직화하게 만들었다.
자본주의가 미개척지와 식민지에 어떤 ‘무자비한’ 형태로 침입하여 끊임없이 원시적인 ‘착취’를 하고, 관료와 군대를 ‘문지기’ ‘파수꾼’ ‘경호원’으로 삼아 만족할 줄 모르는 학대를 가하였는지, 그리고 얼마나 급격하게 자본주의적 사업을 하는지를 말하고자 했다.
프롤레타리아는 제국주의적 전쟁에 절대적으로 반대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이유로 그래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 ‘노동자’가 일본 내에 과연 몇 명이나 있을까? 그러나 지금 이것을 알아야만 한다. 긴급한 문제다.
그저 단순히 군대 내의 신분적인 학대를 그리는 것만으로는 인도주의적인 분노조차 불러일으킬 수 없다. 그 배후에서 군대 자체를 움직이는 제국주의의 기구, 제국주의 전쟁의 경제적 근거를 다룰 수가 없다.
제국군대-재벌-국제관계-노동자.
이 네 가지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게 가공선이야말로 가장 좋은 무대였다.”

소설에 등장하는 ‘게 가공선’은 실제 존재했던 ‘하쿠아이博愛 호’를 모델로 한 것으로, 일본 적십자사 병원선 용도로 1898년 영국 조선소인 로브니츠 앤드 컴퍼니Lobnitz & Company가 제작한 것이다. 평상시에는 상하이 항로 우편선으로, 의화단 사건(1900)과 러일전쟁(1904) 시에는 병원선으로 가동되었다. 그 후 오래도록 방치되다 1926년에 매각되어 북양어업 게 가공선으로 급조되어 무리하게 조업을 강행하면서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던 중 노동자 사망사건이 발생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게 가공선]은 이처럼 북양어업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노동자(하급선원)들에 대한 가혹한 처우, 관리자들의 부당한 폭리를 폭로하며, 미처 깨닫지 못해서 으레 그런 줄 알고 무심코 넘기는 바람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그냥 당하고만 있던 노동자들을 각성시키고 움직이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작품으로 인해 일본에서는 노동운동이 본격화하게 되었다.

작가 소개

저 : 코바야시 타끼지
Takiji Kobayashi,こばやし たきじ,小林 多喜二
 20세기 초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대표적 작가. 아끼따 현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에 홋까이도오로 이주, 백부의 빵 공장 일을 도우며 통학했다. 졸업 후 홋까이도오 척식은행에 다니면서 글쓰기를 시작했고 1920년대 중반부터 하야마 요시끼, 막심 고리끼 등을 읽으며 프롤레타리아 작가로서 자각을 지니게 된다. 1928년, 사회주의 이론가인 쿠라하라 코레히또를 만나 그의 예술론에 크게 영향받았으며, 그해 『1928년 3월 15일』을 내놓으며 세상에 알려진다. 1929년에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게 가공선』을 발표하는데, 먼 바다를 떠도는 거대한 배를 무대로 자본주의의 착취 구조를 드러내고 노동자의 자각과 투쟁을 역동적으로 그려내어 그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읽힌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수준을 사상의 영역으로까지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일본 근대문학에도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밖에 『부재지주』 『공장세포』 『당 생활자』 등의 소설과 다수의 산문을 집필했다. 일본공산당에 대한 혹독한 탄압이 계속되면서 지하조직으로 옮겨가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집필과 헌신적 활동을 계속하다 1933년 2월에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 끝에 사망한다. 경찰 당국은 사인을 정확히 규명하기를 거부했을 뿐 아니라 2차대전 종전 후에도 그의 작품들을 금서 취급하는 등 사후에도 철저하게 박해받았다. 최근 경제위기로 인해 노동 현실이 척박해지면서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서 『게 가공선』이 다시 인기를 끌며 새로이 주목받았다.  

 

역 : 전설

全說
일본 문학 전문 출판기획자와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도련님』 『인간의 조건』(전6권) 『하늘과 바다가 만나는 곳』 『열구-그때 우릴 미치게 했던 야구』 『고양이 모양을 한 행복』 등이 있다.

목 차

사진으로 보는 『게 가공선』 - 6
게 가공선 - 9
덧붙이는 말 - 173
작품 해설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걸작 〈게 가공선〉 - 175
고바야시 다키지 연보 - 182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