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하모니아의 사계 4

고객평점
저자오재원
출판사항이음앤, 발행일:2019/08/31
형태사항p.441 국판:23
매장위치예술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88996967453 [소득공제]
판매가격 18,000원   16,2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81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절판도서 및 품절도서 입니다 매장으로 문의바랍니다.
재고 0인 도서는 수량 부족으로 발송지연이 예상되니 주문 전 문의바랍니다.

책 소개

음악의 숲을 거닐다

 세상 모든 일 다 그렇다고 하지만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천천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0번 마지막 악장을 치듯
 치는 도중 찻물 끓어 그만 의자에서 일어섰나,
곡이 끝나듯
 그렇게 살고 싶다.

황동규,「버클리 풍의 사랑노래」시집 중
[봄날에 베토벤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를 들으며] 중에서

 이 시는 베토벤의 여러 아름다운 곡의 악장들 가운데서도 시인이 가장 사랑하는 악장에 바친 헌사다. 두근대는 가슴으로 이 곡을 듣다 보면 끝머리의 화려함도 없이 끝나는 줄 모르게 끝나버린다. “속도가 느리면서 서정적인 아라우 연주의 그 곡 속에는, 늘 바람 센 미시령의 어느 바람 없는 날 무한 곡선의 호랑나비가 날기도 하고, 바로 전 해에 방문했던 이탈리아 피렌체 근처 시에나 두오모 성당, 오후 두시 햇빛이 정면으로 쏟아져 들어와 스테인드글라스의 모자이크들을 모두 지우며 성당을 온통 빛으로 채우고, 그 빛 속에서 그야말로 온몸으로 무한을 느낀 체험이 재현되기도 했다.” 시인의 글에 또 한 번 공감하며 이 곡을 다시 듣는다. 어디 베토벤, 아라우 뿐이었을까? 바흐, 비발디, 모차르트, 슈베르트, 브람스, 브루크너, 말러가 그렇고 이를 연주하는 오이스트라흐, 바크하우스, 푸르트벵글러, 발터 등 그야말로 이루 셀 수 없는 거장들로 둘러싸인 깊고 울창한 음악의 숲을 사색하며 천천히 거닐 듯 그렇게 살고 싶다.

음악은 우리의 무기력하고 땀에 절어 무거워진 육체를 드높여 완벽한 아름다움으로 도약하게 하는 생명력이 있다. 또한 음악은 우리의 삶 속에서 시대를 감도는 분위기와 리듬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으며 존재한다. 철학자 장자크 루소,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등은 음악애호가이자 아마추어 연주자였다. 그들은 음악적 경험을 서재로 불러들여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피아노를 통해 세계 안에 존재하는 모든 무겁고 심오한 것을 전복시키고자 했다. 건반 위는 열정을 충전하고 절망에 맞서 싸우며 자기 구원을 이뤄낸 성소였다.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에 있어서도 피아노는 모든 감각을 동원해 자신의 샘솟는 철학적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었다. 또한 ‘아프리카의 성자’ 알베르트 슈바이처에게서 파이프 오르간은 철학, 신학, 의학의 그 혼돈 세계속에서 진리를 위한 투쟁의 무기였다. 이렇듯 자기만의 연주는 자유의 길이자 정처 없이 거니는 기쁨이 되었다.

이러한 대가들의 심오한 경지까진 아니더라도 그들처럼 나도 나만의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감상하며 이 환상의 세계인 음악의 숲속에서 나의 학문도 결실을 맺어왔다. 머릿속 어딘가에서 실체 없이 떠돌던 나만의 상념에 윤곽선을 그리려던 꿈도 조금씩 실현되었다. 이처럼 음악은 평범한 나의 일상을 특별한 시간으로 가득 채워주었다. 앞으로도 그렇게 살고 싶다.

황금빛 숲 사이로 파란 가을하늘을 바라보며

 

작가 소개

오재원
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청소년과장

[경력]
- 한양대학교 의료원 전문의 및 의과대학 의학박사 취득
- 미국 The University of Tennessee 알레르기면역학 연구전임의
-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소아알레르기학 연구전임의
- 미국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임상면역학 교환교수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KAAACI) 학술, 간행, 섭외, 국제이사(현)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KAPARD) 총무, 교육, 간행이사 역임
-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KAF) 사무차장 역임
- 미국알레르기 천식임상면역학회(AAAAI) fellow (FAAAAI), 정회원
- 유럽알레르기 임상면역학회(EAACI) 정회원
- 세계알레르기학회(WAO) 정회원, 기후변화특별위원회 위원
- 일본알레르기면역학회 공식학술지(AI) Associate Editor
- KAAACI & KAPARD 공식학술지(AAIR) Associate Editor

[음악경력]
-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Chiron Orchestra 악장 역임
- 미국 Tennessee German Town symphony orchestra 제1바이올린
- 미국 Johns Hopkins Medical Ensemble 제1바이올린
- 미국 Stanford Palo Alto Philharmonic Orchestra 제1바이올린
- 한양의대 Chiron Orchestra 지도교수
- Chiron Ensemble 리더 겸 바이올린

[협연]
- 비발디 [사계] ‘가을’
- 비니야프스키 [로망스]
- 바흐 바이올린협주곡 A단조
- 하이든 바이올린협주곡 제2번

※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서 10년째 매달 [환우를 위한 음악산책] 진행 중

 

목 차

 언제 어디서나 들려오는 동서고금 최고의 걸작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세레나데 제13번,쾨헬번호.525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023

모차르트 초기 피아노협주곡 중 가장 성숙한 수작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피아노협주곡 제9번 Eb장조 <죄놈> 쾨헬번호 271 / 026

모차르트의 위대한 후기 교향곡의 개막을 알리는 전조 작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교향곡 제35번 D장조, 쾨헬번호 385, <하프너> / 029

인간의 본성에 던지는 익살스럽지만 무서운 질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오페라 《코지 판 투테》 쾨헬번호 588 / 032

모차르트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독창성을 발휘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협주곡 제1번 C장조, 작품번호 15 / 035

공식적인 베토벤의 최초 피아노협주곡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협주곡 제2번 Bb장조 작품번호 19 / 038

협주곡의 이상향을 추구한 파격적인 걸작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협주곡 제4번 G장조, 작품번호 58 / 041

베토벤 중기 현악사중주의 서막을 알린 초기 걸작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현악사중주 제4번 C단조 작품번호 18-4 / 044

즐거움으로 가득 찬 노련함으로 현악사중주의 틀을 제시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현악사중주 제30번 작품번호 33-2, 호보켄번호 III:38 <농담> / 047

파리 청중을 위해 작곡한 혁신적 음악기법과 재치 넘치는 야심작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교향곡 제82번 C장조 <곰> 호보켄번호 I-82 / 050

느린 악장에 트럼펫과 팀파니를 사용한 파격적인 교향곡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교향곡 제88번 G장조 호보켄번호 I:88 / 053

모차르트의 죽음을 애도하는 아다지오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교향곡 제98번 Bb장조 호보켄번호 I:98 / 056

비올 기술이 총망라된 화려한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걸작
 마랭 마레_비올 모음집 제2권 <륄리와 생트 콜롱브를 추모하며> / 059

신분 격차의 사회 관습에 대한 비판적 러브스토리
 주세페 베르디 _ 오페라 《루이자 밀러》 / 062

생기 넘치고 고상한 기품의 낭만파 삼중주의 수작
 펠릭스 멘델스존 _ 피아노삼중주 제1번 D단조 작품번호 49 / 065

베토벤을 계승한 독일 고전과 낭만적인 서정성을 겸비한 변주곡
 요하네스 브람스 _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작품번호 35-1, 35-2 / 068

 19세기 낭만주의에 드리워진 20세기 인상주의의 그림자
 프란츠 리스트 _ 피아노협주곡 제2번 A장조 작품번호 125 / 071

종의 맑은 울림이 바이올린 현에 녹아 들어가는 느낌
 니콜로 파가니니 _ 바이올린협주곡 제2번 b단조 작품번호 7 <종> / 074

우아한 첼로와 화려한 피아노의 서정적 조화
 프레데리크 프랑스와 쇼팽 _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서주와 화려한 폴로네즈> C장조 작품번호 3 /
 077

음악으로 구성한 공상적이고 환상적인 세계
 로베르트 슈만 _ <나비> 작품번호 2 / 080

네 개의 음에 숨겨진 낭만적인 의미
 로베르트 슈만 _ <사육제> 작품번호 9 / 083

시, 멜로디, 반주가 완전히 융합된 삼위일체의 걸작
 로베르트 슈만 _ 가곡집 <리더크라이스> 작품번호 39 / 086

슈만이 클라라에게 바친 ‘순결한 결혼선물’
로베르트 슈만 _ 가곡집 <미르테의 꽃> 작품번호 25 중 ‘헌정’ / 089

고흐의 자화상처럼 선명하게 분열된 슈만의 초상
 로베르트 슈만 _ 바이올린소나타 제2번, D단조, 작품번호 121 / 092

음악으로 이루어진 현실과 환각 속의 꿈들
 로베르트 슈만 _ <피아노를 위한 환상소곡집> 작품번호 12 / 095

내용과 형식이 이상적 조화를 이룬 최초의 피아노오중주
 로베르트 슈만 _ 피아노오중주 Eb장조 작품번호 44 / 098

영국인이 쓴 영국답지 않은 교향곡
 레이프 본 윌리엄스 _ 교향곡 제5번 D장조 / 101

애정이 넘치는 작곡가 가정의 일상을 묘사한 교향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_ <가정 교향곡> 작품번호 53 / 104

모차르트 음악과의 융합을 향한 슈트라우스 오페라의 전환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_ 오페라 《장미의 기사》 작품번호 59 / 107

하이든의 고전과 프로코피예프의 현대성의 빛나는 결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교향곡 제1번 D장조, <고전적> 작품번호 25 / 110

청년 쇼스타코비치의 과감한 바그너 비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1번 F단조 작품번호 10 / 113

구소련 공산당의 압력에 눌려 22년 만에 빛을 본 진취적인 걸작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4번 C단조 작품번호 43 / 116

여름

 신비로운 관현악기법과 대담한 표현으로 모차르트를 기려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교향곡 제99번 G장조 호보켄번호 I:99 / 123

런던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하이든의 마지막 교향곡
 프란츠 요세프 하이든 _ 교향곡 제104번 D장조 <런던> 호보켄번호 I:104 / 126

빈의 취향에 맞춘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의 출발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피아노협주곡 제13번 C장조, 쾨헬번호 415 / 129

본격적으로 펼쳐지는 모차르트 작곡의 성숙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교향곡 제36번 C장조 쾨헬번호 425 <린츠> / 132

숨 막히는 궁정에서 써낸 우아하고 유려한 작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디베르티멘토 제17번 쾨헬번호334 / 135

바로크의 틀을 깬 자유롭고 뛰어난 색채감을 보인 오페라 세리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오페라 《이도메네오》 쾨헬번호 366 / 138

평민을 위해 만든 최초 독일어 징슈필 오페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탈출》 쾨헬번호 384 / 141

레오폴트 2세 대관식을 위한 심리 묘사에 중점을 둔 세리아 오페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오페라 《티토 황제의 자비》 쾨헬번호 621 / 144

환상을 자아내는 우울함을 곁들인 가장 멋진 표현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삼중주 제5번 D장조 작품번호 70-1 <유령> / 147

베토벤 피아노협주곡의 분기점이 된 유일한 단조 작품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협주곡 제3번 C단조, 작품번호 37 / 150

라인에 깃든 독일정신과 함께 새 희망과 포부를 펼쳐
 로베르트 슈만 _ 교향곡 제3번 작품번호 97 〈라인〉 / 153

환각 속 내면을 응시하는 고통스러운 낭만주의 정수
 로베르트 슈만 _ 바이올린소나타 제1번 A단조 작품번호 105 / 156

사랑하는 연인에게 전하는 꽃다발 같은 사중주
 로베르트 슈만 _ 피아노사중주 Eb장조, 작품번호 47 / 159

환상곡풍의 슈만 특유의 협주적 완결체
 로베르트 슈만 _ 피아노협주곡 A단조, 작품번호 54 / 162

클라라를 향한 사랑 고백이자 리스트에 대한 우정의 선물
 로베르트 슈만 _ <환상곡> C장조 작품번호 17 / 165

숭고함이 극에 달한 아다지오의 아름다움
 안톤 브루크너 _ 교향곡 제6번 A장조 / 168

남프랑스의 목가적인 풍경이 물씬 풍기는 음악
 조르주 비제 _ <아를의 여인> 제1모음곡, 제2모음곡 / 171

뉴에이지풍의 분위기가 짙게 느껴지는 음악
 에릭 사티 _ <6개의 그노시엔> / 174

프랑스 에스프리와 함께 스페인 정열을 곁들인 걸작
 카미유 생상스 _ 바이올린협주곡 제3번 b단조 작품번호 61 / 177

아름다운 선율의 벨칸토 오페라의 보석
 빈센초 벨리니 _ 오페라 《청교도》 / 180

황금시대 미국 서부영화 같은 이야기
 지아코모 푸치니 _ 오페라 《서부의 아가씨》 / 183

부당하게 행사되는 권력에 대항하는 민중을 상징적으로 묘사
 마누엘 데 파야 _ <삼각모자> 모음곡 제1번과 제2번 / 186

러시아 민요 선율을 활용한 초기 교향곡
 표트르 차이콥스키 _ 교향곡 제2번 C단조 작품번호 17 <소러시아> / 189

바흐를 생각하며 써내려간 버르토크의 마지막 독백
 벨라 버르토크 _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소나타> 작품번호 117, BB124 / 192

‘수학적 대칭성’을 음악에 구현한 근대 현악사중주의 수작
 벨라 버르토크 _ 현악사중주 제4번 C장조, 작품번호 91 / 195

버르토크 말년의 음악적 운명을 암울한 빛깔로 채색
 벨라 버르토크 _ 현악사중주 제6번 D장조, 작품번호 114 / 198

물방울의 섬세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맑은 음의 향연으로 표현
 모리스 라벨 _ <물의 유희> 작품번호 30 / 201

스페인 특유의 향취를 세련된 라벨의 어법으로 재해석
 모리스 라벨 _ <스페인 광시곡> / 204

교향곡 ‘9번’이라는 숫자 자체가 이 작품에서는 유머일 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9번 Eb장조 작품번호 70 / 207

자유를 향한 작곡가의 내적 독백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교향곡 제5번 Bb장조 작품번호 100 / 210

철권 지배에 대한 자유로운 예술인의 가장 강한 저항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E단조 작품번호 125 / 213

파리의 거리를 산책하면서 받은 인상을 담은 작품
 조지 거쉬인 _ <파리의 아메리카인> / 216

가을

 은빛 선율의 쳄발로와 우아한 바이올린의 절묘한 조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_ 바이올린과 쳄발로를 위한 소나타 제1-6번, 작품번호 1014-1019 / 223

모차르트에 열광하는 프라하 청중들에게 바쳐진 헌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교향곡 제38번 D장조, 쾨헬번호 504 <프라하> / 226

가장 처참한 고난의 시기에 천상을 꿈꾸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교향곡 제39번 Eb장조 쾨헬번호 543 / 229

절정기 모차르트의 음악성을 보여주는 심혈을 기울인 역작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피아노협주곡 제23번 A장조 쾨헬번호 488 / 232

비극적 정서를 내포하며 도전을 요구하는 협주곡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피아노협주곡 제24번 C단조 쾨헬번호 491 / 235

암울한 시기에 나온 천의무봉의 실내악적 협주곡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피아노협주곡 제27번 Bb장조, 쾨헬번호 595 / 238

만하임 악파의 영향을 받은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양식의 최고봉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Eb 장조, 쾨헬번호 364 / 241

진흙 속에 핀 연꽃 같은 천상의 마지막 현악사중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_ 현악사중주 <프러시안> 제21번 D장조 쾨헬번호 575,
제22번 Bb장조 쾨헬번호 589, 제23번 F장조 쾨헬번호 590 / 244

피아노 트리오 <대공>에 비견되는 초기 삼중주 걸작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삼중주 제4번 작품번호 11 <거리의 노래> / 247

피아노를 위한 에로이카 교향곡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피아노소나타 제21번 C장조, 작품번호 53 <발트슈타인> / 250

베토벤의 내면과 대면하는 후기 현악사중주의 전조
 루트비히 판 베토벤 _ 현악사중주 제11번 <세리오소> / 253

비극을 극복하는 남성적 패기와 의지가 담긴 고백
 요하네스 브람스 _ <비극적 서곡> D단조 작품번호 81 / 256

소박하고 엄숙한 브람스 음악의 마지막 방점
 요하네스 브람스 _ <네 개의 엄숙한 노래> 작품번호 121 / 259

모든 고뇌가 담긴 브람스 만년의 자장가
 요하네스 브람스 _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인터메조 작품번호 117 / 262

종교적 체념으로 정화된 브람스의 마지막 소나타
 요하네스 브람스 _ 비올라소나타 Eb장조 제2번, 작품번호 120 / 265

브람스의 독창성과 서정성이 만개한 피아노오중주
 요하네스 브람스 _ 피아노오중주 F단조 작품번호 34 / 268

중세와 가톨릭의 환상곡풍 회귀
 안톤 브루크너 _ 교향곡 제5번 Bb장조 / 271

실의에 굴하지 않는 영웅적인 면모를 과시한 아름다운 교향곡
 안톤 브루크너 _ 교향곡 제8번 C단조 / 274

스코틀랜드 민요 선율로 그리움을 노래하다
 막스 브루흐 _ <스코틀랜드 환상곡> Eb장조 작품번호 46 / 277

우수와 정열이 가득한 관능적인 분위기의 근대 바이올린의 걸작
 에르네스트 쇼송 _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시곡> 작품번호 25 / 280

오직 사랑으로 살아가는 여성의 심리를 밀도 있게 그려
 로베르트 슈만 _ 연가곡 <여인의 사랑과 생애> 작품번호 42 / 283

슈만의 어두운 시기를 극복하기 위한 분투의 과정
 로베르트 슈만 _ 교향곡 제2번 C장조 작품번호 61 / 286

슈만의 문학적 상상력과 자아도취적 경향이 잘 드러나
 로베르트 슈만 _ 바이올린협주곡 D단조, WoO.23 / 289

폴란드 민속춤곡을 통해 미묘한 감정과 극적인 분위기를 표현
 프레데리크 프랑스와 쇼팽 _ 마주르카 작품번호 59, 제1-3번 / 292

청년 쇼팽의 애틋한 짝사랑에 대한 영원한 그리움
 프레데리크 프랑스와 쇼팽 _ 피아노협주곡 제2번 F단조, 작품번호 21 / 295

스산한 가을날 러시아의 넓은 지평선을 바라보듯
 표트르 차이콥스키 _ 현악사중주 제1번 D장조 작품번호 11 / 298

미모의 미망인을 위한 은밀한 바이올린과 기타의 이중주
 니콜로 파가니니 _ <바이올린과 기타를 위한 소나타> 작품번호 3 / 301

슈베르트의 작품에 비견될 선율과 보헤미안 색채 풍부
 안토닌 드보르자크 _ 바이올린협주곡 A단조 작품번호 53 / 304

옛 이탈리아의 고풍적 멋과 아름다움을 재해석한 신고전주의 걸작
 오토리노 레스피기 _ <류트를 위한 고풍적 춤곡과 아리아> 모음곡 제3번 / 307

버르토크가 마지막 남긴 미완의 ‘백조의 노래’
벨라 버르토크 _ 비올라협주곡 작품번호 120 / 310

프로코피예프에게서 자극을 받아 쓴 20세기 첼로협주곡의 수작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첼로협주곡 제1번 Eb장조 작품번호 107 / 313

단순하면서도 풍부한 선율로 엮어가는 진솔한 내면의 이야기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첼로소나타 C장조 작품번호 119 / 316

겨울

 신앙의 마음이 격정적으로 고양되는 수난곡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_ <요한 수난곡>, 바흐작품번호 245 / 323

 18세기 기독교와 이슬람, 두 세계 마법사의 대결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_ 오페라 세리아 《리날도》 헨델작품번호 7a / 326

어둡고 절망적인 색채로 그려진 호소력이 강한 장송 소나타
 프레데리크 프랑스와 쇼팽 _ 피아노소나타 제2번 Bb단조 작품번호 35 <장송 행진곡> / 329

바흐의 전통 형식과 새로운 구조의 결합
 프레데리크 프랑스와 쇼팽 _ 피아노소나타 제3번 B단조 작품번호 58 / 332

메피스토펠레스의 사랑을 그린 피아노 난곡 중 난곡
 프란츠 리스트 _ <메피스토 왈츠> 제1번, 작품번호 514 ‘마을 선술집에서의 무도’ / 335

브람스의 음악 경력에 결정적인 이정표가 된 변주곡의 걸작
 요하네스 브람스 _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작품번호 24 / 338

여인의 진정한 사랑에 의한 참혹한 형벌로부터 구원
 리하르트 바그너 _ 오페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 341

예술지상주의자가 그려낸 구원과 해방의 드라마
 리하르트 바그너 _ 오페라 《파르지팔》 / 344

바그너에게 헌정된 ‘바그너 스타일’ 교향곡
 안톤 브루크너 _ 교향곡 제3번 D 단조 <바그너> / 347

교향곡 같은 견고한 구조와 두터운 음향의 현악오중주
 안톤 브루크너 _ 현악오중주 F장조 / 350

해상왕 시몬 보카네그라의 파란만장한 일대기
 주세페 베르디 _ 오페라 《시몬 보카네그라》 / 353

프랑크 특유의 고전적 오르간적인 중후한 울림
 세자르 프랑크 _ 교향곡 D단조 작품번호 48 / 356

시벨리우스 50번째 생일 축하 행사에서 초연
 얀 시벨리우스 _ 교향곡 제5번 Eb장조 작품번호 82 / 359

관현악의 패러다임을 뒤집어엎는 혁신적인 협주곡
 벨라 버르토크 _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Sz.116 BB.123 / 362

독특한 화성과 신비한 음으로 채색된 바로크풍 인상주의 걸작
 클로드 드뷔시 _ <베르가마스크>모음곡 작품번호 75 / 365

고전양식과 20세기음악을 결합한 세련된 신고전주의 결정체
 모리스 라벨 _ 피아노협주곡 G장조 / 368

마녀들의 축제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관현악 기법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_ 교향시 <민둥산에서의 하룻밤> / 371

푸시킨의 민족적인 시정과 차이콥스키 주관이 혼합된 걸작
 표트르 차이콥스키 _ 오페라 《예프게니 오네긴》 / 374

조국에 대한 애착과 동경을 노래한 청년 차이콥스키의 초상
 표트르 차이콥스키 _ 교향곡 제1번 G단조 작품번호 13, <겨울날의 백일몽> / 377

차이콥스키 음악의 전환점이 된 교향곡
 표트르 차이콥스키 _ 교향곡 제3번 D장조, 작품번호 29, <폴란드> / 380

차이콥스키 자신의 모습이 투영된 듯 바이런적인 만프레드
 표트르 차이콥스키 _ <만프레드> 교향곡 작품번호 58 / 383

세기말적 부르주아 사회 히스테리를 억제된 욕망으로 실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_ 오페라 《살로메》 작품번호 54 / 386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그린 세기말 빈 분리주의 대표작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_ 오페라 《엘렉트라》 / 389

사랑하는 이를 위하여 자살을 택한 비련의 여인
 아밀카레 폰키엘리 _ 오페라 《라 조콘다》 / 392

음악이란 생명과 같아서 절대로 없어지지 않는다
 카를 닐센 _ 교향곡 제4번 <불멸> 작품번호 29, Fs.76 / 395

최고 피아니스트의 최고난도 피아노 수작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_ <전주곡> 작품번호 23 / 398

비르투오소 피아니즘의 눈부신 광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_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작품번호 43 / 401

예술적 깊이와 통찰력이 담긴 원숙한 마지막 교향곡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교향곡 제7번 C#단조 작품번호 131 / 404

새로운 피아노협주곡의 방향을 선보이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_ 피아노협주곡 제2번, G단조, 작품번호 26 / 407

제1차 러시아 혁명에 바쳐진 음악적 기념비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11번 G단조 <1905년> 작품번호 103 / 410

 10월 볼셰비키 혁명을 성공시킨 레닌의 초상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12번 D단조 <1917년> 작품번호 112 / 413

나치의 ‘바비 야르 유대인 대학살’에 대한 증언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13번 작품번호 113 <바비 야르> / 416

길고 험한 여정을 거쳐 처음으로 회귀한 마지막 교향곡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_ 교향곡 제15번 A장조 작품번호 141 / 419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