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송 연암집 (2021.1)

고객평점
저자박지원 지음. 길진숙 풀어 읽음
출판사항북드라망, 발행일:2021/01/25
형태사항p.240 A5판:21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90351546 [소득공제]
판매가격 12,000원   10,80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54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낭송 연암집』 풀어읽은이 인터뷰


1. 연암 박지원의 문장은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날까지 연암의 글이 읽히고 사랑받는 것은 어떤 매력이 있어서일까요?


개성을 그렇게 주장하고, 창의성과 단독성을 그렇게 갈구하지만, 우리들이 추구하는 건 집단화된 개성과 보편화된 창의성과 사회화된 단독성입니다. 이것을 자신의 정체성이라 여기며 살고 있습니다. 갇힌 줄도 모른 채 갇혀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일까요? 이상하게도 뭔가 답답한 듯 울체를 자주 경험합니다. 보편타당이라는 규정력 안에서, 주체적이라는 착각 속에서 관성대로 살고 있는 듯하지만, 내 몸 어디엔가 해소되지 않는 답답함과 해명되지 않는 혼란스러움이 쌓여 있기 때문입니다. 나의 욕망을 나도 모르고, 진짜 내가 누구인지 나도 모르니, 몸이 반응해 버린 것입니다.
저는 연암의 글을 읽었을 때, 이 뚫리지도 풀리지도 않던 울체가 해소된 듯 시원했습니다. 연암 박지원의 글은 일종의 해방구였습니다. 조선시대 선비의 작품에서 예상되는 바, 저의 선입견일 수 있지만, 그 무거움, 보수성, 엄격함, 고루함, 규칙성, 위계성, 당위성, 보편성 따위는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오히려 ‘하고 싶은 것’, ‘말하고 싶은 것’을 매우 경쾌하게, 아주 유연하게 표현했습니다. 연암의 글은 어떤 법에도, 어떤 스타일에도, 어떤 가치에도 얽매이지 않은, 자유롭고 대담하고 독창적이고 예리하지만, 또한 따뜻하고 유머가 넘칩니다. 연암만의 방식으로 세상의 이치와 삶의 방향을 표현했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문장을 구성했습니다. 연암은 글을 통해 지금-여기-나에게 필요한 ‘삶의 출구’가 무엇인지를 알려주며 읽는 이들에게 말을 겁니다. 연암의 글은 세상의 모든 권위, 경계를 뛰어넘어 우리 앞에 펼쳐진 하늘과 땅, 삼라만상과 사람들에게 말을 걸고, 그들의 정기에 접속하여 새로운 관계와 길을 만드는 경지를 보여 줍니다.
연암은 말했습니다. 우주만물이 책이라고. 하늘과 땅 사이에 흩어져 있는 모든 것들이 책의 정기라고. 그런데 하늘과 땅이 비록 오래되었으나 끊임없이 만물을 낳고, 해와 달이 오래되었으나 그 빛은 날로 새롭습니다. 하늘과 땅, 해와 달. 삼라만상은 한순간도 똑같지 않으므로, 연암의 글은 매번 다르게 구성되었습니다. 하여, 연암의 글은 접속할 때마다 새롭습니다. 그리고 그 접속으로 우리들은 새로운 삶과 새로운 스타일을 구상하게 됩니다. 연암의 글은 투명하고 통쾌하게 우리들의 갈 길을 열어 줍니다. 연암의 글이 200여 년의 시간적 거리를 뛰어넘어 여전히 매력적인 건, 이 때문이 아닐까요?


2. 이번 『낭송 연암집』에서는 연암이 중년 이후에 쓴 글들을 중심으로 엮었다고 하셨는데요. 가장 자유롭고 빛나던 젊은 시절이 아닌 벼슬하던 만년의 글들을 모으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암집』을 읽으면서 유독 눈길을 끌었던 것은 연암 박지원이 수령 생활을 했을 때 썼던 글이었습니다. 연암이 40대까지 썼던 글들은 많이 알고 있었지만, 50대 이후 벼슬살이 하던 시절의 글들은 낯설었던 터라, 그랬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낯설음 때문에 50대 이후 만년의 글에 주목한 것은 아닙니다. 연암이 백수 시절 친구들과의 우정을 통해 갈고 닦았던 바 그 ‘자유로운’ 삶의 방향과 철학이 수령의 직무를 수행할 때도 변함없이 지속되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독서에 매진하는 선비는 천하를 경륜할 수 있다’는 연암의 존재론적 확신이 실제 수령 생활을 통해 너무나 창발적으로 현실화되었음을, 그 만년의 글들은 여실히 증명하고 있었습니다. 연암의 지행합일에 대한 경탄, 자기 확신에 대한 감동이 만년의 글을 읽으며 몰려왔습니다.
연암 박지원의 집안은 18세기 당대의 명문가였습니다. 반남 박씨 연암 집안은 선비 집안답게 청렴하고 빈한했지만 영·정조시대 사대부들의 여론을 이끌 정도로 지도적인 위치에 있었습니다. 주류의 길로 나아간다면 연암의 앞날은 탄탄대로였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연암 박지원은 권력관계 안으로 들어가는 걸 싫어했습니다.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방식에 알러지가 있었다고 해야 할까요. 명령에 순종하고 틀에 맞추는 생활이 체질적으로 안 맞았던 것 같습니다. 연암은 자유롭게 살고 싶은 대로 살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사대부의 표준적인 욕망에서 도주하여, 뜻이 맞는 벗이자 스승들과 공부하고 글 쓰며 18세기 사대부의 삶의 방향과 지성에 지각변동을 일으켰습니다. 이처럼 젊은 시절 연암은 빛나는 문장으로, 자유로운 백수로 지행합일의 삶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런데 50대의 연암에게 신분상의 변화가 일어난 겁니다. 집안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벼슬살이를 시작한 것이지요. 연암은 지방 관아의 현감으로 재직합니다. 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궁벽한 지역의 말단 관리지만 벼슬은 벼슬인지라 자유로움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약간의 미심쩍은 생각으로 50대 이후의 글을 읽었습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연암도 자유를 포기하고 굴복한 것인가? 혹시 변절? 제 의심은 기우에 불과했습니다. 가만 생각해 보면,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일을 하는 건,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요 의무가 아닌가요? 연암은 이런 차원에서 직업 전선에 뛰어든 것이지 가치관이 바뀌어서 관리가 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놀라운 건, 연암이 수령직에 너무나 성실했으며, 너무나 창발적으로 일했다는 사실입니다. 연암의 생각과 행동은 벼슬살이하면서도 독창적이고 생기발랄했으며 유연했습니다. 관료주의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 사심이나 욕심 하나 없이 성실하게 백성의 마음을 헤아리고 상황에 딱 맞게 일을 처리했습니다. 이 시절의 글 또한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획기적인 내용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제게 연암 만년의 글들은 백수 시절에 쓴 글 이상의 감동과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반백세를 넘는 나이의 제게는 연암 만년의 삶의 태도가 GPS와 같았습니다. 어떤 지위에 있든, 어디서 살든, 그 현장에서 성의와 성심을 다해, 사심도 탐욕도 부리지 않으면서, 생기발랄하게 능동적으로 창발적으로 살아가는 것, 그것 외에 무엇이 있겠습니까? 그래서 이번 『낭송 연암집』을 기획할 때 고민하지 않았습니다. 제게 삶의 좌표를 제시해 준 연암 만년의 글을 널리 알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3. 연암이 지역의 수령을 하면서 쓴 글들을 보면, 다른 벼슬아치들과의 갈등으로 수령 생활이 편치 않았던 듯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암이 수령 관직에 나아가고 쉽게 포기하지 않았던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연암은 젊은 시절에도 그랬지만, 만년에 벼슬살이를 하면서도 관직에 연연하지 않았습니다. 먹고 사는 일의 엄중함 때문에 벼슬길에 들어섰지만, 권력관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단호히 거부했습니다. 영남의 작은 고을, 안의에서 현감으로 재직하면서 그동안 갈고 닦은 것, 뜻으로 간직했던 바를 정말 신나게 정성껏 실천했을 뿐입니다. 관아의 환경을 바꾸고, 젖먹이 어미의 마음으로 백성의 삶을 돌봤습니다. 체질적으로 게을렀던(?) 연암에게는 이것만으로도 너무 바빴습니다. 그래서 다른 데 신경 쓸 겨를이 없었습니다. 권력 구도를 저울질하며 이름을 내거나 돈을 모으거나 상관의 눈치를 보며 아첨하는 따위에는 아예 관심이 없었습니다. 연암은 정말 유능하고 좋은 태수였습니다.
연암은 1791년 충청도의 면천 군수로 부임합니다. 안의 현감 시절, 연암은 의옥에 관한 소견서를 잘 썼습니다. 이때 충청감사 한용화는 도내의 흉년으로 조세감면 혜택을 청하는 장계를 조정에 올려야 했습니다. 연암의 친구였던 공주 판관 김기응은 공문서에서도 뛰어난 글솜씨를 보였던 연암을 추천합니다. 연암의 장계로 조정의 윤허를 받자, 충청감사는 연암을 자기 측근으로 끌어들이려고 심리관으로 임명합니다. 그리고는 도내 수령들의 고과를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합니다.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려는 감사의 편애와 꼼수를 연암은 견딜 수 없었습니다. 구속받기 싫어하고 아첨을 싫어했던 성정의 소유자 연암은 이를 거절합니다. 충청감사는 이를 괘씸하게 여겨 연암의 고과를 깎아내립니다. 참 치졸하지만, 상명하복의 관료사회에서 늘 일어나는 일이지요. 그러나 이런 정도로 연암의 패기를 꺾을 수는 없었지요. 연암은 이를 묵과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병을 핑계로 사직서를 제출합니다. 연암에겐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할 책임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아첨하거나 타협하면서까지 관직을 유지할 마음은 조금도 없었습니다. 다행인지 이 일로 연암의 관직 생활이 끝나지는 않습니다. 1800년 8월 양양 부사로 임명되거든요. 양양에 가서도 신흥사의 중들을 징계하는데, 강원 감사의 미온적인 처리에 불만을 가졌던 연암은 부임한 지 1년도 채 안 되어 병을 핑계로 사직서를 내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연암의 관직 생활은 여기서 끝납니다. 연암은 관료로서 임무에 충실했지만, 그렇다고 벼슬살이에 안주한 적은 없습니다. 연암은 수령의 임무가 주어지면 아주 기껍게 일했습니다. 그러나 그뿐,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을 때는 단호하게 떠났습니다. 막힘없이 떠나고 막힘없이 부임했던 연암. 이것이야말로 욕심에 사로잡히지 않는 자유의 모습이 아닐까요?


4. 이 책에서 독자들이 꼭 읽었으면 하는 글들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 낭송집은 연암의 슬기로운 수령 생활을 보여 주는 글들을 많이 실었습니다. 편편이 모두 훌륭하고 흥미롭지만, 제가 처음 『연암집』을 읽었을 때 새로운 발견인 것처럼 눈에 번쩍 뜨이고 신기했던 글 두 편을 소개할까 합니다.
한 편은 연암이 친구였던 대구판관 이단형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이 당시 영남 일대는 극심한 흉년으로 백성들이 굶주림에 시달려 대대적인 진휼이 시행되었습니다. 진휼 시행의 주체는 수령들인데, 진휼이 쉽지 않았습니다. 굶주리는 백성을 한 사람도 빠뜨리지 않아야 하고, 나눠주는 곡식을 모자라지 않게 준비해야 합니다. 이런 가운데 대구판관 이단형은 연암에게 편지를 보내 진휼의 고단함을 하소연합니다. 연암이 이 편지에 답장을 합니다.
연암의 답장은 반전 그 자체입니다. 연암은 친구를 위로하고 달래지 않습니다. 진휼에 관한 태도를 바꾸라고 제안합니다. 백수였던 그대와 내가 갑자기 임금의 은혜를 입어 부자 영감이 되어, 뜰에 수십 개의 커다란 가마솥을 걸어놓고 1,400여 명의 부황들어 굶주린 동포들을 한 달에 세 번씩 먹이는 즐거움을 만끽하니, 즐거움 중에 이보다 더한 즐거움이 어디 있느냐고 말합니다. 이렇게 상황을 다르게 보고, 다른 마음으로 대처하면, 무수한 웃음 소(笑)자가 뒤따를 것이라고 합니다. 놀랍지 않은가요? 연암에게 진휼은, 동포들에게 밥을 먹이는 행운이자 천재일우의 기회였던 것이지요. 이런 마음으로 진휼을 한다면 받는 사람들의 마음 또한 어떻겠습니까? 상식의 전복! 놀랍지 않습니까?
또 한 편은 안의 현감 시절, 살인 사건을 심의하고 올린 보고서입니다. 연암은 셜록 홈즈처럼 살인 사건의 해결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습니다. 연암은 함양 마을에 사는 한조롱이라는 처녀가 물에 빠져 죽은 사건의 재심을 맡았습니다. 조사한 관리들은 자살이라고 판정했습니다. 그러나 연암은 원한에 의한 자살이라고 보았습니다. 한조롱이가 곁방살이를 했는데, 집주인 장수원이 한조롱이를 평소에 유린하고 폭행한 것이 자살의 원인이라고 추리했습니다. 한조롱이가 자신의 머리털 한 줌을 간직하고 죽었기 때문입니다. 연암은 이 한 줌의 머리털을 단서로 삼아 장수원에게 강간미수의 형률을 내립니다. 연암은 이렇게 보고합니다. “조롱이 목숨을 걸고 저항한 자취도 오직 이 머리털뿐입니다. 몸은 비록 골백번 문드러지더라도 이 머리털이 남아 있는 한, 이 한줌의 적디적은 머리털로도 옥사의 전체를 판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연암은 한조롱이의 마음을 읽고, 남겨 놓은 단서를 간과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이 두 편만 보아도, 연암이 수령 생활을 어떻게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마음들이 만년의 글들에 면면히 담겨 있습니다. 이 만년의 글을 읽으면, 틀림없이 연암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박지원
조선 후기 정조 때의 실학자로, 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이다. 박제가, 홍대용, 유득공 등과 사귀면서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받아들여 백성들의 살림을 윤택하게 하고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용후생의 북학사상을 주창했다. 정조 즉위 초에 홍국영에게 노론 벽파로 몰려 신변이 위험에 처하자 황해도 연암 골짜기에서 직접 농사를 지으며 살기도 했다.

44세 때인 정조 4년(1780)에 청나라 황제의 진하사절인 삼종형 박명원을 따라 연경(북경), 열하 등지를 여행했다. 이때 보고 들은 것들과 느낀 것들을 독특한 형식에 담은 기행문 〈열하일기〉로 세상의 주목을 받았으며, 사대부들 사이에서 열렬한 호응과 격렬한 반발을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늦은 나이에 벼슬을 얻어 지방 관리로 지내기도 했으나 순조가 즉위하자 병을 핑계로 초야로 들어가 생을 마쳤다. 문학 작품으로는 〈허생전〉,〈양반전〉,〈호질〉,〈광문자전〉 등이 있다.


옮긴이 : 길진숙
이화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필동의 ‘사이재’에서 밥과 책과 글을 나누며, ‘지천명’(知天命)의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연암, 붓다, 공자, 장자, 맹자, 사마천, 김부식, 일연, 푸코, 들뢰즈, 푸시킨, 고골, 도스토옙스키 등 멋진 스승들을 만나 이 고단하고 번뇌 가득한 사바세계를 즐겁게 헤쳐 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18세기 조선의 백수 지성 탐사』,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 등이 있고, 함께 쓴 책으로 『고전 톡톡』, 『인물 톡톡』, 『루쉰, 길 없는 대지』 등이 있다. 함께 번역하고 엮은 책으로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전2권)가 있으며, 『낭송 춘향전』, 『낭송 열하일기』, 『낭송 18세기 소품문』을 함께 풀어 읽었다.

 

목 차

머리말 _ 연암의 ‘슬기로운’ 수령 생활 그리고 글쓰기 8

 1부 | 선비란 글을 읽는 사람이다! 21

 1-1. 우리는 본래 선비로소이다 22
 1-2. 선비란 글 읽는 사람 24
 1-3. 왜 글을 읽는가? 26
 1-4. 책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31
 1-5. 어버이 상을 치를 때, 더더욱 공부하라! 34
 1-6. 샛길로 가는 것은 사심(私心)이 앞섰기 때문이다! 39

 2부 | 연암의 목민심서(牧民心書) 45

 2-1. 거취에 흔들리지 말고, 스스로 엄중하라! 46
 2-2. 작은 고을의 수령이 된다는 것 51
 2-3. 비 맞은 도롱이를 잊지 마시오 54
 2-4. ‘돈 많이 버는’ 좋은 태수를 바라지 마오 58
 2-5. 정성 ‘성’(誠) 한 글자에 힘써라! 63
 2-6. 오행, 이용·후생·정덕(利用・厚生・正德)의 도구! 67

 3부 | ‘슬기로운’ 수령 생활 75

 3-1. 구휼, 이보다 더한 즐거움이 어디 있으랴 76
 3-2. 구휼에도 예법이 필요 81
 3-3. 구휼의 어려움, 공진이냐 사진이냐? 89
 3-4. 은의가 넘치면 받는 이의 마음이 구차해진다! 94
 3-5. 연암은 셜록 홈즈 : 주범과 종범을 가려라! 97
 3-6. 처녀 한조롱의 주검, ‘한 줌의 머리털’이 말하는 것! 100

 4부 | 연암이 여가를 즐기는 법 : 함께 즐겨라! 103

 4-1. 버려진 관사를 살린 연암의 손길 104
 4-2. 주변을 바꾸면 새롭게 보인다! 107
 4-3. 연암이 하풍죽로당을 세운 까닭은? 111
 4-4. 신선 놀음도 친구가 있어야! 115
 4-5. 혼자 즐기기보다 여럿이 함께 즐기기 바라오! 120

 5부 | 공감의 정치, 마음을 세심하게 살펴라! 125

 5-1. 과부의 닳고 닳은 엽전에 숨겨진 사연 126
 5-2. 함양의 박씨 여인이 죽은 까닭은? 131
 5-3. 젖먹이 어미의 마음으로 도망노비 문제를 건의하다! 135
 5-4. 서얼의 벼슬길을 허하소서! 140
 5-5. 뉘우친 자에게는 선처를 허하소서! 154
 5-6. 죄지은 자의 진의도 성실하게 파악하라! 166

 6부 | 벼슬살이의 어려움, 그럼에도 해학이 넘치는 연암! 171

 6-1. 연암이 받은 봉변, 되놈의 옷을 입었대! 172
 6-2. 남을 해치는 말, 부풀린 말! 175
 6-3. 탐욕을 없애는 해독약은 어디에? 182
 6-4. 귀양살이하는 이서구에게 보내는 편지 187
 6-5. 연암이 사직서를 낸 이유 192
 6-6. 이미 엎지러진 물은 닦아서 말끔하게! 197
 6-7. 연암의 인사고과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 200

 7부 | 세상살이에 대한 연암의 랩소디 205

 7-1. 한 해가 다 가도록 무엇을 하고 있느냐? 206
 7-2. 할아버지가 된 연암의 기쁨! 209
 7-3. 하나하나 구체적으로 알려다오! 211
 7-4. 공책을 보내노니, 글로 가득 채우길 213
 7-5. 과거 공부에나 매달리는 시시한 선비는 되지 마라! 215
 7-6. 평생 가난했던 선비를 슬퍼하며 218
 7-7. 내 뉘와 함께 보고 듣고 냄새 맡고 깨우치리오! 223
 7-8. 눈으로 보지 않고 먼저 마음으로 정하지 말라! 226
 7-9. 참모습을 모르는 이명과 코골이 230
 7-10. 양양 원님 연암의 탄식 233

연암 박지원 연보 237 

 

역자 소개

상품요약정보 : 의류
상품정보고시
거래조건에 관한 정보
거래조건
재화 등의 배송방법에 관한 정보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주문 이후 예상되는 배송기간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 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반품비용 등에 관한 정보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제품하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순변심, 착오구매에 따른 청약철회가 불가능한 경우 그 구체적 사유와 근거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재화등의 교환ㆍ반품ㆍ보증 조건 및 품질보증 기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재화등의 A/S 관련 전화번호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대금을 환불받기 위한 방법과 환불이 지연될 경우 지연에 따른 배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및 배상금 지급의 구체적 조건 및 절차 배송ㆍ교환ㆍ반품 상세설명페이지 참고
소비자피해보상의 처리, 재화등에 대한 불만처리 및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분쟁처리에 관한 사항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거래에 관한 약관의 내용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상품 상세설명페이지 및 페이지 하단의 이용약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