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만두처럼 맛있는 음식은 없다!
만두처럼 다양하게 발전한 음식도 없다!
설날 아침에 떡국에 넣어 먹는 김치만두, 중국음식점에서 고추잡채와 함께 먹는 꽃빵, 단팥소가 들어간 일본의 만주. 국적뿐 아니라 먹는 목적도 먹는 때도 모두 다른 이 음식들의 뿌리는 같다. 동북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은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대표적인 입식(粒食) 문화권이지만, 국수 같은 면식(麵食) 또한 중요한 음식 문화로 발달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화려한 면식이 바로 만두다.
음식칼럼니스트이자 음식 역사 문화 연구자인 박정배는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만두 ― 한중일 만두와 교자의 문화사》에서, 같은 뿌리를 가졌으나 저마다의 자연환경, 음식 문화, 역사 속에서 제각기 꽃피워온 삼국의 만두 문화를 탐구한다.
만두, 첨단 기술의 산물
만두라는 음식 이름에 얽힌 가장 유명한 이야기에는 제갈량이 등장한다. 그가 남만(南蠻)의 반란을 진압하고 귀환하는 길에 노수(瀘水)의 험한 물살에 길이 막히는데, 칠종칠금(七縱七擒)의 주인공 맹획이 사람 머리 49개와 염소와 소를 바쳐야 한다고 권한다. 제갈량은 이를 거절하고 사람 머리처럼 빚은 만두를 대신 바친 후 무사히 강을 건넜다. 이 때문에 그 음식의 이름이 남만인의 머리를 뜻하는 ‘蠻頭’였는데, ‘饅頭’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윈난성 일대에 거주하는 와족(佤族)이 실제로 머리사냥을 하던 풍습을 가지고 있던 것을 모티브 삼아 지어낸 이야기다.
일반적으로 음식 이름이 재료나 조리법을 반영하는 데 비해, 만두라는 이름은 그런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이런 이야기가 붙었을 것이다. 중국의 음식사학자나 언어학자들 또한 만두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을 제기한다. 만두의 만(饅)은 음식을 뜻하는 식(食)과 ‘~을 싸다’라는 뜻의 만(曼)이 합쳐진 글자로, 피로 소를 싼다는 만두의 형태를 반영한다는 주장이 널리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설도 있다. 만두(饅頭, man·tou, 만터우)가 외래어이며, 불경에 기재된 음식인 만제라(曼提羅, mantiluo, 만지라)의 음역이라는 주장이다. 밀의 원산지가 중동임을 감안할 때, 고개가 끄덕여진다. 밀과 함께, 밀을 알곡이 아니라 가루로 만들어 먹는 음식 문화도 함께 전래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에서 만두라는 음식이 탄생하기까지는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전제조건이 있었다. 중동이 원산지인 밀의 현지화, 밀을 곱게 빻아 고운 가루를 만들어내는 제분 기술, 그리고 반죽을 부풀게 하는 발효 기술이다. 북방에는 조와 수수, 남쪽에는 쌀이 있었던 탓에 밀은 중국에서 큰 관심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봄에는 조나 쌀을 심고 가을에는 밀을 심는 이모작이 시작되면서 밀의 공급과 수요가 본격화된다. 맷돌에서 시작해 축력과 수력을 이용한 방아까지, 제분 도구의 발전도 밀의 보급을 도왔다. 술을 빚는 데 사용되던 발효 기술이 밀가루 반죽에 적용되면서 폭신한 피를 만들 수 있었다. 이런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상류층으로 한정되었고, 만두는 상류층이 제사에 올리는 귀한 음식으로 출발했다.
설에는 김치만두, 추석에는 송편
한국에서 만두는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고기와 채소, 때로는 두부와 김치 등을 다져 만든 소를 싸서 찌거나 삶아서 먹는 음식이다. 그러나 만두의 발상지 중국에서 만두는 보다 다양하다. 핵심적인 기준은 밀가루 피의 발효 유무다. 밀가루 반죽을 발효시켜 소를 싸면 부드럽고 폭신한 식감의 만두를 만들어진다. 반면, 우리의 만두처럼 발효시키지 않은 반죽으로 소를 싸면 쫄깃한 식감을 맛볼 수 있다. 어떤 반죽을 쓰느냐에 따라 조리법도 결정된다. 발효하여 부풀어 오르는 반죽으로 만두를 빚으면 굽거나 찌는 방법으로 익혀야 한다. 발효시키지 않은 반죽으로 빚은 만두는 물에 넣어 끓일 수 있다.
다른 조리법을 사용하는 음식이니만큼 이름 또한 다르다. 우리가 만두라 하는 비발효 피로 소를 싼 음식을 중국에서는 교자(餃子, 자오쯔)라 한다. 만두(饅頭, 만터우)는 발효시킨 피로 소를 싼 음식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는데, 다시 분화된다. 소를 넣고 싸는 음식은 포자(包子, 빠오즈), 중국음식점의 꽃빵처럼 소가 없는 음식은 만두(만터우)인 것이다.
한국의 만두에는 왜 이런 식의 구분이 없을까? 고려가요 〈쌍화점〉에서 회회아비가 파는 음식 雙花(당시 발음으로는 상화, 혹은 솽화)를 주목하자. 이 음식이 바로 발효시킨 피에 소를 싼 중국식 만두였다. 허균의 《도문대작》에는 雙花와 饅頭가 동시에 등장하며,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도 만두 만드는 법과 상화 만드는 법이 함께 소개된다. 만두법은 메밀 피에 고기를 싸서 삶는 것이고, 상화법은 팥과 꿀을 넣고 밀가루로 피를 빚어 쪄낸다. 즉 조선 시대까지 발효 만두와 비발효 만두의 구분이 있었고 이름도 달랐던 것이다. 하지만 20세기가 되면서 상화는 사라지고 만두가 모두를 아우르는 이름으로 정착했다.
한반도에서는 얇게 저민 생선살에 고기를 싼 고급 음식 어만두, 배추김치를 두부, 숙주와 함께 다져 소로 쓰는 김치만두 같은 한국식 만두가 발달했다. 가장 특징적인 한국식 변형 만두는 바로 송편이다. 모름지기 음식은 다른 지역이나 문화권으로 전파되면서 현지화되게 마련인데, 멥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반도에서는 쌀가루로 피를 빚어 단맛 나는 소를 넣고 싼 송편이 만들어져 추석을 상징하는 음식이 되었다.
일본 교자의 발음은 한국어?
일본에서는 만두를 ‘만주’로 발음한다. 만주는 주로 식사로 발달해온 중국과 한국의 만두와 달리 과자로 발달한 음식이다. 단맛을 내는 팥소가 만주의 핵심인데, 귀족과 승려 같은 고위층의 다도 의식에서 차를 마실 때 곁들이는 음식으로 정착했다. 고기소를 넣은 만두, 즉 니쿠만(肉まん)이 대중화된 것은 육식 금지가 풀린 메이지 시대 들어서다. 발효시킨 폭신한 피에 단팥소나 고기소를 넣은 일본식 발효 만두는 1965년의 소매점용 찜기 도입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되었고, 한국의 호빵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 음식으로는 드물게 마늘이 듬뿍 들어가는 음식이 교자다. 중국의 자오쯔, 한국의 만두처럼 발효시키지 않은 얇은 피로 고기와 채소 소를 싼 음식으로, 물에 삶아서도 먹지만[스이교자], 기름을 두른 팬에 찌듯이 굽는[야키교자] 조리법을 주로 사용한다. 교자는 전병과 비슷한 중국음식인 꿔티에(鍋貼)의 ‘굽는’ 조리법과 자오쯔의 형태와 이름(餃子)에서 영향을 받은 음식이다.
그런데 중국어로도, 일본어로도 이 한자는 교자(ギョウザ)로 발음되지 않는다. 餃子라는 한자는 한국어 발음으로 정확히 교자가 된다. 교자라는 음식을 먼저 접한 것은 1930년대 만주로 이주한 일본인들이었다. 당시 만주에는 중국인, 일본인뿐 아니라 조선인도 많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그 영향을 받아 ‘교자’로 발음하게 되었다는 것이 유력한 설의 하나다.
이렇듯, 만두는 중동으로부터의 밀 전래와 찌고 삶는 조리 방법이 결합돼 탄생한 동북아시아의 독특한 음식 체계다. 저자는 다양하게 발전한 만두와 교자의 문화사를 한중일 삼국의 음식 관련 문헌 자료는 물론, 고고학적 증거와 언어학 자료까지 섭렵하며 펼쳐 보인다. 저자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하나의 음식 속에 담긴 광대한 역사가 더듬어질 것이다.
작가 소개
음식칼럼니스트·음식 역사 문화 연구자.
한·중·일 음식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고 글을 쓰는 사람이다. 저서로 《음식강산 1, 2, 3》(한길사), 《한식의 탄생》(세종) 등 다수가 있다. 《조선일보》에 〈박정배의 한식의 탄생〉 〈음식의 계보〉 〈박정배의 미식한담〉 등을 연재했고, 《중앙일보》에 〈박정배의 시사음식〉을 연재하고 있다. KBS 1TV 〈밥상의 전설〉과 〈대식가들〉, SBS PLUS 〈중화대반점〉에 고정 패널로 출연했다.
목 차
들어가며 5
1부 | 밀의 재배와 만두의 탄생
1장 •만두의 전제조건, 중국에서의 밀 재배 13
밀의 탄생과 중국 전래 14 •밀의 중국 내 전파와 확산 21 •밀밥과 죽의 시대 32
2장 •만터우와 자오쯔 탄생의 전제조건들 37
밀가루 이전의 분식 38 •시루에 쪄서 먹는 문화 41 •맷돌의 발명과 발전 46
술에서 시작된 발효 기술, 밀가루 반죽으로 53 •중국식 밀가루 음식의 시작, 병의 탄생 57
2부 | 중국에서의 만터우, 자오쯔류 발전
3장 •만터우와 자오쯔란 무엇일까 65
중국인들은 왜 만터우나 자오쯔를 즐겨 먹을까 66 •만터우와 자오쯔라는 이름이 생기기까지 75
4장 •중국 북방인의 주식, 만터우 90
만터우의 기원 91 •만터우 이전의 음식들 96 •서방에서 온 분식 100 •발효병 만터우의 생성과 발전 112
만터우의 다양한 변형과 이름들 123 •만터우 전성시대: 송에서 현재까지 130
5장 •자오쯔보다 맛있는 음식은 없다 138
자오쯔의 고고학 143 •금과 원: 이민족의 자오쯔 문화 154 •명: 자오쯔, 설날 음식이 되다 159
청: 자오쯔와 비엔스, 보보의 공존 162 •자오쯔의 민간 기원설들 168
쌀 문화가 낳은 자오쯔의 변형, 라오완과 탕위안 170
3부 | 한국의 만두와 교자
6장 •한반도 밀 발달 소사 183
7장 •발효병 혹은 만두류 190
발효병의 구분 191 •상화의 역사적 발달 194
8장 •한민족의 비발효 만두 209
비발효 만두류의 시작, 혼돈 210 •수교의 213 •편식(扁食) 215 •한국 특유의 만두 224 •만두와 송편 229
9장 •세시풍속과 연회음식 238
조선 명절과 가례의 필수 음식 239 •세시의 만두 풍속 244 •손님 접대와 선물에 만두를 쓰다 255
10장 •사신들이 경험한 만두들 266
사행길에서 먹은 만두 268 •연경의 만두・교자류 풍속 271 •황제의 하사품 278 •통신사가 본 일본의 만주 280
11장 •외식으로서의 만두 282
외식의 시작 282 •본격 분식 시대의 전개와 만두류의 발전 291
4부 | 일본의 만주와 교자
12장 •일본 만주 발달사 305
만주 이전의 만주류 306 •만주의 시작 310 •무로마치 시대와 에도 시대의 만주 323
다양한 만주의 등장 330 •니쿠만의 등장 335
13장 •일본 교자 발달사 341
교자의 시작 342 •교자의 현지화・일본화 351 •전후 일본에서의 본격적 교자 붐 355
일본식 교자는 무엇인가 364
출처 369
찾아보기 388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