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좋은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공포하며
복된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구원을 공포하며
시온을 향하여 이르기를
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발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
(이사야 52:7).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와 생활 속 거리 두기를 하다 보니 자꾸 움츠러들기도 하고, 생활반경이 축소되면서 가능하면 밖에 나가지 않고 집에서 해결하려는 습성이 생기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아날로그적 삶보다 디지털적 삶이 지배하며 만나서 해결하기보다는 온라인을 통해 해결하려는 성향이 확대되었다. 한편으로는 사람 만나는 것이 그립기도 하지만 동시에 꺼려지기도 하는 묘한 이중성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개인주의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실낙원 이후 스스로 소외시키고 격리시키는 아이러니한 모습이 우리 삶에 나타난 것이다.
선교사들이 잠시 한국에 귀국했다가 코로나19가 발생함으로 선교지로 가지 못하고 한국에 머물러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선교사들의 장기간 부재로 선교사역에 공백이 생겼다. 선교사와 동역하는 현지 지도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지의 관리와 운영이 어려워지고 진행하던 사역이 정체되는 어려움이 돌출되었다. 이런 현상이 선교 활동의 위축을 가져오며 선교사들은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그럼에도 서양 선교사들의 사역은 큰 어려움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도 듣는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어떤 차이가 이런 결과를 만들어냈을까? 선교사 중심의 사역 때문일까? 아니면 사역 중심의 선교 때문일까? 선교지의 지형변화가 예상되고, 선교 형태의 변화도 예측되고 있다. 관계 중심의 선교로 전환해야 한다는 논의도 있다. 이제는 현대선교의 흐름과 방향을 살펴보며 선교정책과 선교방법을 재고할 시기인 듯하다.
이 책은 현대 선교의 다양한 흐름과 이슈를 다룬 11개의 논문을 보완하여 하나로 묶었다. 제1부는 한국교회의 선교와 통일, 제2부는 체제 전환과 통일준비, 제3부는 학원선교, 사회주의권 선교 그리고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1910년 영국의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 100주년을 맞이한 2010년의 한국교회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한국교회의 감리교, 성결교, 장로교, 침례교의 선교정책을 미국장로교와 비교하며 발전 방향을 찾아보았다. 세 번째는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여 이를 기념하는 한국교회는 얼마나 개혁되었는지 또 개혁의 관점에서 통일 선교를 어떻게 진행했는지를 논의하였다. 네 번째는 총체적 갈등의 시대에 평화선교와 평화목회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교회가 남북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는 헝가리가 사회주의에서 체제 전환되는 과정을 다루며, 체제 전환 이후의 변화를 한반도 통일과 연결하여 교훈과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여섯 번째는 헝가리가 체제 전환하면서 과거사 청산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가를 분석하며 통일 한국의 과제인 과거사 청산 원칙을 고찰하며 성경의 교훈을 살펴보았다. 일곱 번째는 조지아의 체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을 통해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여덟 번째는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문제를 다루었고, 아홉 번째는 개정된 사립학교법의 논쟁점과 그것이 기독교 사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했다. 열 번째는 사회주의권 베트남 선교에 관해 장요나 선교사의 사역을 선교학적 관점에서 조명했다. 열한 번째로 우리가 살고 있으면서도 무심한 환경문제를 고찰하며 환경 신학적 대응을 다루었다. 이런 다양한 논의들이 현재 한국교회가 서 있는 위치를 살펴보며 현대 선교의 흐름과 선교 이슈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선교는 우리의 삶을 통해 이루게 된다. 그 선교적 삶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인간과 인간 사이에 서로 화해하며, 삶의 터전인 자연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연을 관리하고 보존하는 청지기의 사명을 감당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 담긴 논의들이 공존하는 길로 가는 선교의 징검다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책의 기꺼이 출판을 맡아주신 박영사 대표님과 수고하신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아울러 하나님이 주신 선물 서하(안나)의 새로운 대학 생활을 응원하고 격려하며 이 책을 펴낸다.
2023년 4월 8일
조은식
작가 소개
조은식
<학력>
미국 세인트 존스 대학교(학사)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석사)
뉴욕대학교 대학원(석사)
오하이오 유나이티드 신학대학원(박사)
<경력>
미국장로교 선교사
필리핀 실리만대학교 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학과 초빙교수
미국 피츠버그 신학대학원 방문교수
미국 콜롬비아 신학대학원 방문교수
한국기독교통일포럼 운영위원
한국기독교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선교신학회 회장
한국기독교대학교목회 및 한국대학선교
학회 회장
숭실대학교 교목실장 역임
국제선교학회 정회원
미국선교학회 정회원
한국기독교사회복지학회 이사
기독교통일학회 부회장
한국키에르케고어학회 회장
현 숭실대학교 교목 및 교수
<저서>
[통일선교: 화해와 평화의 길](미션아카데미, 2007)
[삶에서 찾는 문화선교](숭실대학교 출판부, 2009)
[선교와 통일](숭실대학교 출판부, 2014)
[현대인의 관점에서 본 성서]더삼, 2017)
[통일선교담론](나눔사, 2020)
<역서>
[내 안에 갇힌 하나님](기독교문사, 2001)
<편저>
[한경직 목사의 신앙유산](숭실대학교 출판부, 2007)
<공저>
Building Communities of Reconciliation, Volume II(Nanumsa, 2012)
[선교학 개론]대한기독교서회, 2013)
[성경으로 읽는 북한선교](올리브나무, 2013)
[기독청소년과 통일]기독교통일학회, 2014)
Korean Church, God’s Mission, Global Christianity(Regnum Books International, 2015)
[주여! 70년이 찾나이다]포앤북스, 2015)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박영사, 2020)
[베트남 선교와 비라카미지역 선교 전략]예영커뮤니케이션, 2020)
[동유럽의 체제 전환과 한반도통일](올리브나무, 2020)
[종교와 정치](열린서원, 2022)
목 차
제1부 한국교회의 선교와 통일
Chapter 01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와 한국교회 3
1.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 5
2. 한국 기독교 선교 100년의 과정 7
3. 한국 기독교 선교 100년의 평가 16
4. 1984년 이후의 한국교회 19
5. 한국 기독교 선교 200주년을 향한 과제 32
Chapter 02 한국교회의 선교정책 비교 41
1. 들어가는 말 43
2. 선교사 선정 방법 47
3. 선교지 선정 방법 50
4. 선교사역 결정 52
5. 선교사 훈련 53
6. 선교비 55
7. 선교사 관리 58
8. 자체 평가 62
9. 발전 방향 67
10. 나가는 말 74
Chapter 03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통일 준비 79
1. 들어가는 말 81
2. 종교개혁 500년 전 소고 83
3. 한국 프로테스탄트의 시작 85
4. 종교개혁과 한국교회 87
5. 북한선교의 흐름 91
6. 통일 준비 97
7. 나가는 말 105
Chapter 04 평화통일을 향한 평화선교와 목회 111
1. 들어가는 말 113
2. 분단과 평화통일 114
3. 평화선교와 목회 125
4. 나가는 말 134
제2부 체제전환과 통일준비
Chapter 05 헝가리 체제전환이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 143
1. 들어가는 말 145
2. 체제전환 이전의 헝가리 146
3. 헝가리의 체제전환 배경 151
4. 체제전환 이후의 변화와 한반도통일 164
5. 나가는 말 174
Chapter 06 헝가리의 과거사 청산 문제를 통한 통일한국의 과제 고찰 177
1. 들어가는 말 179
2. 체제전환 이전 정권 181
3. 과거사 청산 문제 185
4. 통일한국의 과거사 청산 원칙 193
5. 성경을 통한 교훈 198
6. 나가는 말 201
Chapter 07 조지아의 체제전환 과정에 관한 소고 205
1. 들어가는 말 207
2. 그루지야의 위치와 역사 208
3. 그루지야에서 조지아로 체제전환 211
4.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 229
5. 나가는 말 231
제3부 학원선교, 사회주의권 선교 그리고 환경
Chapter 08 기독교대학 정체성 구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237
1. 들어가는 말 239
2.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241
3. 기독교대학에 찾아온 위기 243
4. 기독교 정체성 유지 방안 251
5. 교육프로그램 개발 255
6. 나가는 말 263
Chapter 09 사립학교법 논쟁점과 기독교사학의 대처 방안 고찰 267
1. 들어가는 말 269
2. 사립학교법의 취지 271
3. 일제의 종교교육 박해 272
4. 사립학교법 제정과 내용 276
5. 1960년대 이후 사립학교법 개정 278
6. 2005년 개정된 사립학교법 279
7. 2007년 재개정 사립학교법 288
8. 2020년 사립학교법 개정법률안 289
9. 사립학교의 특수성, 자주성, 공공성 293
10. 기독교사학의 대응 296
11. 나가는 말 299
Chapter 10 사회주의권 선교 연구: 베트남 장요나 선교사를 중심으로 305
1. 들어가는 말 307
2. 사회주의권에서의 선교이해 309
3. 나가는 말 327
Chapter 11 환경문제의 재고찰과 환경신학적 대응 335
1. 들어가는 말 337
2.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339
3. 환경문제와 기독교 348
4. 나가는 말 360
역자 소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