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동유라시아의 대제국

고객평점
저자모리베 유타카
출판사항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발행일:2025/09/20
형태사항p.519 46판:19
매장위치사회과학부(B1) , 재고문의 : 051-816-9500
ISBN9791127493981 [소득공제]
판매가격 20,800원   18,720원  (인터넷할인가:10%)
포인트 0점
배송비결제주문시 결제
  • 주문수량 

총 금액 : 0원

책 소개

대제국의 위용을 떨치며 동유라시아에 큰 영향을 미친

당 왕조의 290년 역사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중국 당나라는 618년부터 907년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동부에 존재했던 대제국으로, 문화적, 인종적, 언어적으로 복잡하고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왕조였다. 당 황실 자체가 선비족의 혈통과 연관되어 있으며, 당나라 역사를 살펴보면, 곳곳에 투르크계 기마유목민이나 이란계 소그드인, 혹은 한반도 출신의 인물 등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활약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당 시대의 역사를 개설한 것으로, 당나라 역대 황제의 업적을 바탕으로 대외전쟁, 경제, 사회제도, 궁궐 내 권모술수를 들여다보며, 동유라시아 제국 290년의 흥망을 자세하게 그린다.

동유라시아라는 넓은 관점에서 당 제국을 바라봄으로써, 이 시기를 전후한 중국 역사를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모리베 유타카

1967년 출생. 전공은 당대사, 오대사, 동유라시아사이다. 쓰쿠바대학 대학원 역사ㆍ인류학연구과에서 박사과정 단위 취득 퇴학. 문학박사이며, 간사이대학 문학부 조교수, 준교수를 거쳐, 현재 동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소그드인의 동방활동과 동유라시아 세계의 역사적 전개』(2010년), 『안록산-‘안사의 난’을 일으켰던 소그드인』(2013년)이 있고, 편집한 책으로는 『아시아에서 문화 시스템의 전개와 교류』(2012년), 『소그드인과 동유라시아의 문화교섭』(2014년) 등이 있다.


옮긴이 : 권용철

1983년에 구리에서 출생했다. 2017년에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ㆍ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후연구원,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24년 3월부터 경기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2019년), 『고려사 속의 원 제국』(2024년)이 있고, 50여 편의 학술논문을 집필했다. 번역기획공동체 ‘창(窓)’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몽골족의 역사』(2012년), 『킵차크 칸국』(2020년), 『칭기스의 교환』(2020년), 『몽골제국』(2020년), 『랍반 사우마의 서방견문록』(2021년), 『중국의 역사』(2022년), 『실크로드 세계사』(2023년), 『천하와 천조의 중국사』(2023년), 『남북조시대』(2024년), 『내몽골 분쟁』(2024년)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 차

당 역대 황제 계보도

당 전도-성당(盛唐)시대의 판도

머리말


서장 당의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공간-‘중국’이란 무엇일까?

‘중국’의 범위 | 당의 지배 공간

2. 시간-시대구분과 시기구분

당송변혁(唐宋變革)이라는 획기(劃期) | 시대구분 논쟁의 시말(始末) |

시기구분이란? | 제2기의 동유라시아 세계 | 시기구분의 특징

3. 시각-당조를 파악하는 방법

당은 귀족제의 시대 | ‘관롱 집단’과 탁발 국가 |

당을 유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 당조의 관점


제1장 동유라시아 제국으로의 비상-7세기

1. 당의 건국

수 말기의 반란 | 이연의 출신 | 이연, 몸을 일으키다 | 수당혁명 |

혁명성공의 배경 | 소그드인의 협력 | 당의 율령 |

‘당령’(唐令)의 복원과 발견 | 당의 관제

2. 이세민, 텡그리 카간이 되다

이세민의 성장 | ‘현무문의 변’과 소그드인 | 현무문의 변이 일어난 배경 |

‘정관의 치’와 명군(明君) 태종의 실상 | 돌궐 제1제국 | 당과 동돌궐 |

동돌궐의 멸망 | 텡그리 카간

3. 태종의 내정과 외정

『씨족지』의 편찬과 ‘팔주국가’의 창출 | 돌궐 유민 | 서역 경영 |

동유라시아 제국의 탄생 | 태종과 현장(玄奘) | 『대당서역기』 | 태종의 사망


제2장 무주혁명(武周革命)-7세기 후반~8세기 초

1. 고종과 무 황후

당조의 세 번째 황제 | 정관 시대의 유풍(遺風) | 고종의 평가 |

무측천, 후궁에 들어오다 | 소의에서 황후로 | 권력의 장악 | 새로운 질서 |

수렴정치 | 고종의 사망

2. 주의 건국

포석 | 당대의 장안과 낙양 | 동란과 밀고 | 요승 설회의(薛懷義) |

혁명을 향한 준비 | 무주(武周)혁명 | 무측천과 법장(法藏) | 무측천을 지탱한 ‘호인’들 |

장역지(張易之)와 장창종(張昌宗) 형제 | 무측천과 도교 | 종언

3. 흔들리는 당의 지배

소그드계 돌궐의 출현 | 돌궐 제2제국 | 거란의 ‘반란’과 발해국의 탄생 |

서역의 공격과 방어 | 전환기로의 서막


제3장 전환기-8세기 전반~8세기 중엽

1. 무위(武韋)의 화(禍)

중종의 복벽(復辟) | 무삼사와 위황후 | 쿠데타 실패 |

중종 암살 | 태평공주와 예종

2. 개원의 치

현종의 시대 | 아베노 나카마로(阿倍仲麻呂)와 세이신세이(井眞成) |

정치의 쇄신 | 천하태평 | 당대 전기 급전제(給田制)와 부역(賦役) |

괄호정책(括戶政策) | 율령군제(律令軍制) | 절도사의 탄생 |

조운(漕運)의 개혁과 화적(和糴) | 불교 탄압

3. 현란한 천보(天寶) 시대

이림보(李林甫)의 등장 | 장구령과의 대결 | 고력사(高力士)의 암약(暗躍) |

‘번장’(蕃將)의 등용 | 국방의 재편성 | 양귀비와 양국충 | 도교신앙

4. 폭풍 전야

소그드계 돌궐의 ‘반란’ | 위구르 제국의 탄생 | 아바스왕조와의 충돌


제4장 제국의 변용-8세기 후반~9세기 전반

1. ‘안사의 난’

안록산 | 은총과 출세 | 배경 | 안록산, 거병하다 | 당조의 반격 |

대연제국과의 공방

2. 당조의 혼미

대종과 환관 | 장안 함락 | 복고회은의 ‘난’ | 번진의 발호 |

당 후반기의 번진 | 위구르와의 견마교역

3. 재정 국가를 향해

소금의 전매와 조운 개혁 | 양세법 | 하북과 하남 번진의 독립 |

경원의 병란 | 혼란의 종식 | 서역의 상실 | 이필(李泌)의 계책 건의 |

구카이(空海)와 사이초(最澄)


제5장 중국형 왕조로의 전환-9세기 전반~중엽

1. 당조의 ‘중흥’

순종의 즉위 | 영정혁신(永貞革新) | 헌종의 등장 | 재정 개혁 |

번진의 평정 | 원화(元和)의 중흥과 헌종의 암살

2. 게으른 황제들

목종의 즉위 | 하삭삼진의 귀순과 이반 | 당, 티베트, 위구르의 삼국회맹 |

청년 황제에서 소년 황제로 | 격화하는 붕당의 싸움 | 당대의 과거

| 우이의 당쟁 | 왕수징 암살 | 감로의 변

3. 종교 탄압의 돌풍

무종의 즉위 | 동유라시아 재편의 태동 | 소의(昭義)의 자립 |

숭불과 폐불 | 마니교 탄압 | 회창의 폐불 | 배외사상의 대두


제6장 이어지는 시대로-9세기 후반~10세기 초

1. 일어나는 군인과 민중

‘소태종’의 치세 | 군대의 연이은 반란 | 강회 번진의 착취 |

절동(浙東)의 구보(裘甫) | 무녕군절도사(武寧軍節度使)와 그 군대 |

냉대받는 서주(徐州)의 병사 | 방훈의 운명

2. ‘황소의 난’

희종(僖宗)과 전령자(田令孜) | 왕선지(王仙芝)와 황소 | 염상(鹽商)과 염적(鹽賊) |

강적(江賊) | 유적(流賊) | 황소, 북상하다 | 장안 입성, 피의 강이 흐르다 |

사타족 | 이극용, 용서를 받다 | 동란의 종언

3. 당의 멸망

희종, 도성으로 돌아오다 | 두 번째 몽진 | 희종 시대의 종언 |

소종(昭宗)과 양복공 | 이무정과 이극용의 대립 | 금군 재건의 실패 |

주온에서 주전충으로 | 주전충, 세력을 확립하다 | 소종의 유폐 |

소종, 봉상으로 | 소종 암살 | 선양


종장 세계사 속의 ‘당송변혁’

1. ‘오대십국 시대’의 관점

당 이후의 세계 | 후량에서 후당으로 | 사타 왕조 |

남중국의 역사적 전개 | 유목 세력과 하남세력

2. 동유라시아 세계 속의 당조

다시 당조를 파악하는 방법 | 거란국의 건국 |

당에서부터 탄생했던 중앙유라시아형 국가


덧붙이는 말

문헌 안내

사진 출전

당 관련 연표

색인

역자 후기

역자 소개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 배송비 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 불가 사유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환불불가
상품군 취소/반품 불가사유
의류/잡화/수입명품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계절상품/식품/화장품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가전/설치상품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자동차용품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CD/DVD/GAME/BOOK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내비게이션, OS시리얼이 적힌 PMP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