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pop1002.jpg

  • 기본
  • 저자순
  • 출판사순
  • 발행일자순
  • 신간도서순
  • 가격순
    • 품절/절판표시
파르테논 마블스 조각난 문화유산 -약탈로 만들어진 대영박물관의 엘긴 마블스 그 뻔뻔한 역사- 
시대의창, 발행일:2015/10/15 (크리스토퍼 히친스 외)

16,800원15,120원 (0%할인) + 756원 (5% 적립)
 0점 리뷰(0)

문화재와 세계문화유산, 역사의 진실은 무엇이고, 우리는 무엇을 지키고 기려야 하는가2012년 설립되어 문화재 환수를 전담하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2015년 10월 현재, 국외에 소재한 우리 문화재 현황은 총 20개국에 걸쳐 16만 342점에 이른다. …
수량:
경성 상계사 -잃어버린 반세기의 기록- 
푸른길, 발행일:2015/10/20 (박상하)

22,000원19,800원 (0%할인) + 990원 (5% 적립)
 0점 리뷰(0)

아직 누구도 가 보지 못한 한국 근대 경제경영사의 기록저자는 “‘경성 상계史’는 어떤 황당무계한 신화가 결코 아니다. 지금이라도 우리가 애써 찾아야 하는 유효한 역사이다.”라고 말하며, 우리 경제경영사의 근대치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잃어버린 반세기 동안…
수량:
러시아와 영국에 있는 한국전적 3 -애스턴의 조선어 학습서 COREAN TALES-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발행일:2015/08/25 (국외소재문화재재단)

18,000원16,200원 (0%할인) + 810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전통과 근대의 역사적 횡단 (2015.8) 
선인, 발행일:2015/08/31 (한영화)

30,000원27,000원 (0%할인) + 1,350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현대의 경계에서 -역사과학에서 조명한 현대 세계사 강의- 
생각의힘, 발행일:2015/09/18 (윤종희)

22,000원19,800원 (0%할인) + 990원 (5% 적립)
 0점 리뷰(0)

자유·평등·풍요의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대의 기획은 위기에 처했다인류는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을 거치며 정치적 해방과 경제적 번영으로의 길을 열어젖혔다. 그후로 수세기가 지난 오늘, 인류는 그 이상에 성큼 다가섰다. 자유·평등·풍요의 이상은 현실이되었다. 신분제,…
수량:
투르크 중앙아시아 투르크 민족의 문화 이야기 -투르크경제문화권의 이해를 위하여- 
다해, 발행일:2015/08/20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15,000원15,000원 (0%할인) + 450원 (3% 적립)
 0점 리뷰(0)

수량:
왕의 책사들 -짧게 읽는 한국사- 
글로북스, 발행일:2015/03/10 (장강)

11,000원9,900원 (0%할인) + 495원 (5% 적립)
 0점 리뷰(0)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 봉건왕조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왕을 도와 국정을 이끌었던 책사들의 역할이 컸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에 있었던 정승, 혹은 그에 버금가는 권력을 가졌던 책사들에 관한 이야기다. 훌륭한 책사는 나라를 흥하게 하고 제…
수량:
전설의 땅 이야기 (2015.10) 
열린책들, 발행일:2015/10/08 (움베르토 에코)

55,000원49,500원 (0%할인) + 2,475원 (5% 적립)
 0점 리뷰(0)

우리는 여전히 유토피아를 꿈꾼다우리 시대 가장 위대한 사상가들 중 한 명이자 작가인 움베르토 에코의 [전설의 땅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미의 역사], [추의 역사], 그리고 [궁극의 리스트]를 잇는 에코 앤솔로지 시리즈의 네 번째 책이다. 에덴동산, 아틀란…
수량:
손정목이 쓴 한국 근대화 100년 -풍속의 형성 도시의 탄생 정치의 작동- 
한울, 발행일:2015/10/05 (손정목)

23,000원23,000원 (0%할인) + 2,475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나눔을 실천한 한국의 명문 종가 (2015.9) 
얼레빗, 발행일:2015/09/17 (김영조)

19,000원17,100원 (0%할인) + 855원 (5% 적립)
 0점 리뷰(0)

섬돌 밑에 굴뚝을 낸 명문종가들[서평] 《나눔을 실천한, 한국의 명문종가》, 김영조, 얼레빗“사실 그것은 우리 종가가 대단한 철학을 가졌다기보다 이웃과 함께 살아야 나도 행복할 수 있다는 지극히 원론적인 얘기로 답할 수 있습니다. 관동지방은 호남지방에…
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