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폭넓고 흥미로운 요가의 모든 것
평생을 바쳐 요가를 공부하고 수행해온 일본의 요가 연구가 이토 다케시가 ‘인도 현지의 요가’에 대한 모든 것을 소개한다.
저자는 20대 초반부터 인도 전역과 네팔, 스리랑카, 태국 등 주변 국가를 오가며 현지 조사를 하고, 관련 문헌과 학문적 연구물을 뒤지며 요가의 모든 것을 탐구하였다. 그러한 탐구의 결과물을 신화, 마르마, 차크라, 만다라, 음식 문화, 무술, 사원 등등 각각의 분야별로 나누어 책으로 출간하였다. 이 책은 저자의 평생에 걸친 탐구와 조사의 결과물에 저자가 직접 그린 흥미롭고 독특한 그림과 표를 더해서 요가의 모든 것을 한 권에 집약한 결과물이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이토 다케시 伊藤 武
인도문화연구가, 요가·산스크리트어 전문 강사, YAJ(Yoga Association Japan) 대표,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1979년에 홀로 인도여행을 떠났다. 약 2년간 인도 전역, 네팔, 스리랑카, 태국을 여행하였다. 이후 이 지역들을 여러 차례 재방문하면서 유적 들을 답사해 왔으며, 신화·전설·풍습·무술·음식문화 등 다양한 방면의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해 오고 있다. 재야 인도 연구자로서 주변 지역의 역사나 문화에도 조예가 깊다.
저서로 《비전 마르마 혈 자극 요가》 《도설 인도신비 사전》 《베일을 벗은 인도 무술》 《차크라의 식탁, 2천 년 전의 인도 요리》 《그림으로 풀어보는 요가만다라 입문》 《마음을 단련하는 인도》 《전 아시아를 먹어치우다》 《용이 잠드는 도시》 등이 있다.
옮긴이 : 김재민
동국대 불교대학원 융합요가학과 책임 교수. 동국대 인도철학과 대학원에서 요가 철학을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Sivananda Teacher's Training Course(인도), 한국요가연수원 지도자 과정(서울), Vac Yoga Intensive Course(인도) 등을 이수했고, 한국융연구원 예비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 《Svara Yoga의 사상과 수행체계 연구》 《요가와 문화》(공저)가 있고, 역서로 《차크라의 힘》 《호흡의 힘》 《명상의 힘》 《요가 사전》 《비베카난다의 명상》 《비베카난다의 요 가수트라》 《요가 매트 위의 명상》(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 〈Ṣṭakranirūaṇ의 나디(nāḍī) 관념에 대한 일고찰〉〈하타 요가 자세 수행의 효과〉〈자살 유가족의 회복을 돕기 위한 요가적 패러다임 모색[試論]〉 등을 발표했다.
옮긴이 : 김현덕
경북대 인문학술원 연구원. 일본 도쿄(東京)대학에서 인도문학을 전공하여 《쉬바 숭배서의 링가 발생 이야기》로 석사학위를, 동국대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산스크리트 문법학을 주제로 한 《파니니의 명사격어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논문으로 〈사호다 츠루지(佐保田鶴治)의 요가관〉 〈링가 숭배의 제 기원〉 〈소품반야심경의 멸(滅) 해석〉 〈파니니 문법의 형태론〉 〈산스크리트 복합어의 어순에 관한 고찰〉 〈실담문자 음사 연구〉 등이 있다.
옮긴이 : 양경인
동국대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인도 제종교의 수미산 관념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대 불교학술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였고,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부처님의 생애》 출판 작업을 진행했다. 7세기 중국의 구법승 의정(義淨)의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을 바탕으로 불교 교단사와 율장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논문으로 〈의정의 번역어 치목(齒木)에 관한 고찰〉 〈진기약에 관한 일고찰〉 등이 있다.
목 차
들어가며 ㆍ 013
제1부 지식편
제1장 요가의 기초지식 - 신과 부처
1. 가야트리(Gāyatrī) - 신은 빛이 되어 ㆍ 030
2. 베다(Veda) - 푸루샤, 신체를 토막 낸 사건 ㆍ 039
3. 아트만(Ātman) - 나의 본질은 브라만이다 ㆍ 045
4. 상키야(Sāṁkhya) - 푸루 군과 쿠리 양의 갈등 ㆍ 049
5. 붓다(Buddha) - 상키야 이야기 ㆍ 058
6. 바바 차크라(Bhava-cakra) - 불교를 한 폭의 그림에 담고 ㆍ 065
7. 요가(Yoga) - 마음에 방울 달기 ㆍ 074
8. 아슈탕가(Aṣṭāṇga) - 요가의 체계화 ㆍ 078
9. 사두(Sādhu) - 서원(브라타)을 세운 사람 ㆍ 084
10. 카르마 요가(Karma-yoga) - 일하는 사람을 위해서 ㆍ 088
11. 구루(Guru) - 사제 관계는 부자 관계보다도 중요하다 ㆍ 095
12. 푸라나(Purāṇa) - 인도 신화의 기초지식 ㆍ 101
제2장 요가의 사상 - 《요가수트라》와 《반야심경》
13. 파탄잘리(Patañali) - 요가와 산스크리트의 밀접한 관계 ㆍ 114
14. 요가수트라니(Yoga-sūrāṇi) - 요가는 칫타의 브릿티의 니로다인 것이다 ㆍ 121
15. 라자 요가(Rāja-yoga) - 왕의 요가? 요가의 왕도? ㆍ 132
16. 프라갸파라미타흐리다야(Prajñāpāramitā-hṛdaya) - 여신의 심장 ㆍ 137
17. 칫타(Citta) - 마음이 세상을 만든다 ㆍ 146
18. 상스카라(Saṁskāra) - 마음의 장막(베일) ㆍ 152
19. 니로다(Nirodha) - 멸(滅)하는가? 억제하는가? ㆍ 156
20. 이슈와라(Īśvara) - 쉬바와 관음 ㆍ 161
21. 슌야타(Śūnyatā) - 하나(베단타)도, 둘(상키야)도 아니다 ㆍ 167
22. 타라(Tārā) - 구제의 여신 ㆍ 173
23. 만트라(Mantra) - 일반인도 할 수 있는 간단한 요가 ㆍ 178
24. 탄트라(Tantra) - 바즈라(Vajra)한 세계 ㆍ 182
제3장 요가의 우주관 - 베다의 제단에서 차크라로
25. 만디라(Mandira) - 우주의 비밀 ㆍ 200
26. 링가(Liṅga) - 하늘과 땅을 잇는 것 ㆍ 206
27. 판차부타(Pañca-bhūta) - 추상화된 에너지 ㆍ 213
28. 베디(Vedi) - 매의 제단은 날아간다 ㆍ 216
29. 스투파(Stūpa) - 붓다 디자인 ㆍ 220
30. 바스투 푸루샤(Vāstu-puruṣa) - 전 우주를 한 장의 그림으로 ㆍ 225
31. 로카팔라(Loka-pāla) - 인도 풍수의 주역 ㆍ 231
32. 만다라(Maṇḍala) - CG처럼 ㆍ 239
33. 얀트라(Yantra) - 매트릭스와도 같이 ㆍ 245
34. 메루(Meru) - 수정 가능한 우주 ㆍ 251
35. 가르바 그리하(Garbha-gṛha) - 우주가 탄생하는 곳 ㆍ 260
36. 크슈드라 안다(Kṣudra-aṇḍa) - 소우주로서의 인체 ㆍ 265
제4장 요가의 신체관 - 성(性) 요가에서 하타 요가로
37. 나타 삼프라다야(Nātha-saṁpradāya) - 하타 요가의 대성자 ㆍ 272
38. 슈마샤나 사다나(Śmaśāna-sādhana) - 시체 숲의 종교 ㆍ 279
39. 카팔린(Kapālin) - 가장 부정(不淨)하기에 가장 신성한 사람들 ㆍ 287
40. 하타 요가(Haṭha-yoga) - 성취 머신을 가동시켜라 ㆍ 293
41. 다키니(Ḍākinī) - 마녀들의 전통 ㆍ 298
42. 마니 파드메(Maṇi-padme) - 성性 요가 ㆍ 303
43. 찬다리(Caṇḍālī) - 성취의 에너지 ㆍ 308
44. 마하무드라(Mahā-mudrā) - 죽음의 요가 ㆍ 313
45. 친나 문다(Chinna-muṇḍā) - 하타 요가의 여신 ㆍ 318
46. 아디구루(Ādi-guru) - 구루 이야기의 참뜻 ㆍ 323
47. 아사나(Āsana) - 하타 요가의 골격이 되는 수행법 ㆍ 330
48. 하타 샤스트라(Haṭha-śāstra) - 하타 요가의 교과서 ㆍ 335
제5장 요가의 생리학 - 프라나로 이루어진 신체
49. 프라나(Prāṇa) - 우주에 부는 바람 ㆍ 340
50. 마르만(Marman) - 바람의 교차점 ㆍ 345
51. 아유르베다(Āyurveda) - 인도 의학의 기초지식 ㆍ 350
52. 마르마 비디야(Marma-vidyā) - 급소의 과학 ㆍ 356
53. 슈크슈마 샤리라(Śūkṣma-śarīra) - 이미지의 신체 ㆍ 374
54. 나디(Nāḍī) - 프라나의 길 ㆍ 378
55. 이다 핑갈레(Iḍā-piṅgale) - 달의 길, 태양의 길 ㆍ 384
56. 수슘나(Suṣumṇā) - 인체 우주의 타임터널 ㆍ 388
57. 암리타(Amṛta) - 미세한(스피리추얼) 뇌내 마약 ㆍ 392
58. 판차마야 코샤(Pañcamaya-kośa) - 아른거리는 몸 ㆍ 396
59. 차크라(Cakra) - ‘여는’ 것이 아니라 ‘돌리는’ 것 ㆍ 400
60. 쿤달리니(Kuṇḍalinī) - 원래는 배에 있었다 ㆍ 409
제2부 실천편
제6장 요가의 의학 - 몸과 마음의 건강
61. 차트바리 아리야 사티야니(Catvāri ārya-satyāni) - 치유의 방정식 ㆍ 418
62. 바이샤쟈(Bhaiṣajya) - 감로의 샘을 솟게 하는 비법 ㆍ 421
63. 미타하라(Mitāhāra) - 식사는 조금 부족하게 ㆍ 427
64. 안타르 호마(Antar-homa) - 소화(消化)를 제사의 불[祭火]로 삼다 ㆍ 432
65. 아그니사라 다우티(Agnisāra-dhauti) - 복부의 호마단을 갖추다 ㆍ 436
66. 싯다비디야(Siddha-vidhyā) - 요가와 의학의 완전한 통합 ㆍ 439
67. 브라마차리야(Brahma-carya) - 사정(射精)해야 해? 사정하면 안 돼? ㆍ 444
68. 샤트카르만(Ṣaṭ-karman) - 우선은 입에서 항문까지 깨끗하게 ㆍ 448
69. 리투차리야(Ṛtu-caryā) - 더운 곳에서 요가를 하다니 당치도 않다 ㆍ 457
70. 하리드라(Haridrā) - 황금의 향신료 ㆍ 461
71. 툴라시(Tulasī) - 성지를 만드는 허브 ㆍ 465
72. 칠리(Cillī) - 고행의 향신료 ㆍ 469
제7장 요가의 호흡 - 프라나를 제어하는 사람은 마음을 제어한다
73. 프라나야마(Prāṇāyāma) - 호흡법이 아닌 프라나 기법 ㆍ 474
74. 마나스(Manas) - 눈이 불편한 사람과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 ㆍ 478
75. 나디 쇼다나(Nāḍī-śodhana) - 이미지의 힘이 효력을 내다 ㆍ 482
76. 쿰바카(Kumbhaka) - 항아리는 프라나야마의 모습 ㆍ 487
77. 반다(Bandha) - 참는 것이 그 비결 ㆍ 491
78. 무드라(Mudrā) - 프라나를 봉쇄하다 ㆍ 495
79. 수카 푸르바카(Sukha-pūrvaka) - 좌우의 밸런스와 쿤달리니 각성 ㆍ 499
80. 크리야 요가(Kriyā-yoga) - 신(身)ㆍ구(口)ㆍ의(意)의 일치 ㆍ 504
81. 바스트리카(Bhastrikā) - 프라나를 가열하다 ㆍ 510
82. 바즈라 자파(Vajra-japa) - 《반야심경》의 요가 ㆍ 514
83. 프라나바 프라나야마(Praṇava-Prāṇāyāma) - 전신을 악기로 삼아Aum ㆍ 518
84. 나다 아누산다나(Nāda-anu-saṁdhāna) - 소리를 관하는 수행[觀音行] ㆍ 521
제8장 요가의 아사나 이야기 - 밀교(탄트라) 교의를 신체를 통해 보다
85. 브릭샤 아사나(Vṛkṣa-āsana) - 나무처럼 살다 ㆍ 528
86. 수리야 나마스카라(Sūrya-namaskāra) - 시간의 바퀴 ㆍ 533
87. 피타(Pīṭha) - 신의 자리 ㆍ 540
88. 싱하 아사나(Siṁha-āsana) - 아훔a-hūṁ의 사자 ㆍ 546
89. 쉬르샤 아사나(Śīrṣa-āsana) - 지구를 머리에 얹다 ㆍ 553
90. 부장가 아사나(Bhujaṅga-āsana) - 33의 세계 ㆍ 559
91. 샬라바 아사나(Śalabha-āsana) - 가루다의 신비한 이름 ㆍ 568
92. 할라 아사나(Hala-āsana) - 신체를 경작하여 보물을 얻다 ㆍ 575
93. 맛시야 아사나(Matsya-āsana) - 생명의 기본 형상 ㆍ 584
94. 맛시옌드라 아사나(Matsyendra-āsana) - 이원을 넘어서 ㆍ 589
95. 파슈치못타나 아사나(Paścimottāna-āsana) - 사라스와티의 승리 ㆍ 598
96. 샤바 아사나(Śava-āsana) - 쉬바도 그저 시체일 뿐 ㆍ 605
제9장 요가의 밀교(탄트라) 의례 - 외적인 예배로부터 내적인 예배로
97. 푸자(Pūjā) - 신성한 소꿉놀이 ㆍ 614
98. 아라티(Ārati) - 베다 제단 세팅 ㆍ 619
99. 나마스(Namas) - 요가의 인사 ㆍ 622
100. 시마 반다(Sīmā-bandha) - 영역을 표시하다 ㆍ 628
101. 이슈타 데바타(Iṣṭa-devatā) - 본존불 또는 수호신 ㆍ 634
102. 사카마 가야트리(Sakāma-gāyatrī) - 역시 영험이 있어야 ㆍ 640
103. 프라티슈타(Pratiṣṭhā) - 영혼의 유입 ㆍ 648
104. 디야나(Dhyāna) - 심상화(心象化)에서 시작하다 ㆍ 652
105. 프라사다(Prasāda) - 신의 선물 ㆍ 658
106. 니야사(Nyāsa) - 세계 컬렉션 ㆍ 663
107. 안타르 야가(Antar-yāga) - 탄트라의 라자 요가 ㆍ 667
108. 프라나바(Pra-ṇava) - 옴으로 시작하고 옴으로 끝나다 ㆍ 672
나가며 ㆍ 686
옮긴이들 후기 ㆍ 688
참고문헌 ㆍ 692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