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pop1002.jpg

  • 기본
  • 저자순
  • 출판사순
  • 발행일자순
  • 신간도서순
  • 가격순
    • 품절/절판표시
세상의 절반은 어떻게 사는가 
교유서가, 발행일:2017/11/17 (제이컵 A. 리스)

18,000원16,200원 (0%할인) + 810원 (5% 적립)
 0점 리뷰(0)

130년 전 뉴욕의 빈민가 탐사보도130여 년 전 뉴욕 인구의 4분의 3이 거주한 공동주택. 뉴욕 맨해튼 동쪽 지구인 이스트사이드는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과밀한 지역이었는데, 2.6제곱킬로미터당 29만 명이 거주하는 전례가 없는 밀도를 보였다. 여의도(약 2.9제곱킬로미터)에 세종시 인구(약 28만 명)가 밀집해 있었던 셈이다. 상업이 번창하…
수량:
녹파잡기 - 조선 문화예술계 최고의 스타 평양기생 66명을 인터뷰하다 - 
휴머니스트, 발행일:2017/11/20 (한재락)

15,000원13,500원 (0%할인) + 675원 (5% 적립)
 0점 리뷰(0)

1. 기생에 대한 조선시대 최초의 단행본이자 심층 인터뷰집조선시대 단행본 중에 기생을 주제로 한 것은 『녹파잡기』가 유일무이하다. 조선시대에는 인물의 용모와 특징을 묘사하고 평가하는 품제(品題)의 대상을 사대부에 한정했다. 그런데 한재락은 조선 사회에서 천한 대접을 받았던 기생만을 따로 모아 그들의 용모와 예술적 소양 등을 평가하여 기록을…
수량:
설문대 할망 손가락 
알렙, 발행일:2017/10/31 (문무병)

13,000원11,700원 (0%할인) + 585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두 하늘 이야기 
알렙, 발행일:2017/10/31 (문무병)

15,000원13,500원 (0%할인) + 675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촛불혁명의 뿌리를 찾아서 
썰물과밀물, 발행일:2017/11/20 (김종철)

16,000원14,400원 (0%할인) + 720원 (5% 적립)
 0점 리뷰(0)

최초의 80년대 민주화운동사지은이가 해방공간 이후 전국 최대의 조직이었던 민통련 대변인을 지냈기 때문인지 1980년대 민주화운동사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운동의 시작과 과정, 결과를 알고 있었고, 운동의 방향이 바뀌는 발화점 또한 기억하고 있었다. 이처럼 80년대 민주화운동사는 저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으나 하나로 정립한 기…
수량:
근대지식과 역사의 발견 - 신채호의 역사 서술을 중심으로 - 
소명출판, 발행일:2017/08/30 (김수자)

17,000원17,000원 (0%할인) + 510원 (3% 적립)
 0점 리뷰(0)

수량:
서유견문 - 한국 보수주의의 기원에 관한 성찰 - 
아카넷, 발행일:2017/11/15 (유길준)

36,000원32,400원 (0%할인) + 1,620원 (5% 적립)
 0점 리뷰(0)

『서유견문』은 왜 한국 보수주의의 원점인가?유길준은 『서유견문』을 통해서 비서구사회에서 서양의 근대를 수용했을 때 필연적으로 출현하는 보수의 존재양태를 자신만의 방식대로 보여주었다. 저자는 유길준의 개화 개념과 실학 정신을 통해 한국 보수주의의 한 기원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18…
수량:
내일을 비추는 거울 - 충북 국보의 심상지리 - 
고두미, 발행일:2017/11/15 (김덕근)

10,000원9,000원 (0%할인) + 450원 (5% 적립)
 0점 리뷰(0)

 
수량:
깡깡이마을 100년의 울림 - 산업 
호밀밭, 발행일:2017/10/27 (깡깡이예술마을사업단)

10,000원9,000원 (0%할인) + 450원 (5% 적립)
 0점 리뷰(0)

한국 근대조선의 발상지 ‘깡깡이마을’, 그 두 번째 이야기한때 수리조선업과 원양어업 등의 호황으로 전성기를 누렸지만 1980년대 이후 조선경기 불황과 인구 고령화로 날로 쇠퇴해가던 깡깡이마을은 지금 문화마을로 변신하고 있다.깡깡이마을은 어선을 수리하기 좋은 지형에 1887년 한국…
수량:
미완의 제국 가야 
주류성, 발행일:2017/11/20 (서동인)

22,000원19,800원 (0%할인) + 990원 (5% 적립)
 0점 리뷰(0)

한국인의 형성 과정을 추리할 수 있는 B.C 3세기 ~ A.D 3세기까지의 가야사를 새로 쓰다 우리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최종적으로 ‘한국인은 누구이며,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이런 근원적인 질문은 고대 한국인의 형성과정과 한국인의 원류에 대한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가 2011년에 『흉노…
수량: